국어 음운 변동 질문

국어 음운 변동 질문

작성일 2024.02.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예비 고1인 학생입니다. 
국어 음운 변동인 교체, 탈락, 첨가, 축약 중에 첨가를 배우고 있는데,
'ㄴ' 첨가라는게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할때 'ㄴ'이 그 사이에 덧붙는 현상]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급여'같은 경우는 [그벼]라고 발음 한다고 하는데 
위에 있는 법칙에 따르면 '급여'는
앞말이 'ㅂ'으로 끝났고 뒷말이 반모음 'j'인 ㅕ로 시작하잖아요
그럼 [급녀]라고 발음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왜 '급여'에서는 'ㄴ'첨가 법칙을 쓰지 않는 건가요?


#국어 음운 #국어 음운의 변동 #국어 음운론 강의 pdf #국어 음운론 #국어 음운표 #국어 음운 문제 #국어 음운론 강의 #국어 음운 체계표 #국어 음운의 변동 문제 #국어 음운 개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ㄴ' 첨가라는게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할때 'ㄴ'이 그 사이에 덧붙는 현상]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급여'같은 경우는 [그벼]라고 발음 한다고 하는데

위에 있는 법칙에 따르면 '급여'는

앞말이 'ㅂ'으로 끝났고 뒷말이 반모음 'j'인 ㅕ로 시작하잖아요

그럼 [급녀]라고 발음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왜 '급여'에서는 'ㄴ'첨가 법칙을 쓰지 않는 건가요?

>>> 'ㄴ'첨가는 사잇소리현상의 일종입니다. 합성명사에서만 적용이 됩니다.

무조건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할때 'ㄴ'이 그 사이에 덧붙는 현상] 이라고 하면 맞지 않습니다.

제가 정리한 'ㄴ'첨가를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급여'는 아래 조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의 말이 ‘ㄴ, ㅁ’으로 시작되면 [ㄴ]소리가 덧나는 명사.

<예>비+물[빈물](빗물), 이+몸[인몸](잇몸), 코+날[콘날](콧날),

바다+물[바단물](바닷물), 아래+마을[아랜마을](아랫마을)

뒤의 말이 모음 ‘ㅣ’나 ‘ㅣ’상향 이중 모음으로 시작되면 [ㄴ]이 하나 혹 은 둘이 겹쳐 나는 명사.

<예>솜+이불[솜:니불](솜이불), 뒤+일[뒨닐](뒷일), 나무+잎[나문닙](나뭇잎),

눈+요기[눈뇨기](눈요기), 밤+윷[밤:뉻](밤윷), 식용+유[시굥뉴](식용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ㄴ첨가는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일어납니다.

급여는 합성어나 파생어같은 복합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국어 음운변동 질문

<굳이 국어를 이렇게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 이문장을 음운변동에 맞춰서 단어씩 분석해서 다시 써주세요. 굳이[굳이] 국어를 [구거를]~~ 이런식으로요. '굳이[구지] 국어를...

국어 음운 변동 질문

... ㄹ의 비음화가 발생합니다 두음법칙은 교체에 들어갑니다! 연음은 절대로 음운변동현상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ㅅ이 ㅆ으로 바뀌는건 된소리되기라는 교체현상입니다

국어 음운 변동 질문

5번에 밭 옆은 합성어나 파생어가 아닌데 왜 반녑 이죠? 바뎝 이라고 발음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표준발음법 29항에 ㄴ첨가가 나오는데요. 그 조항 안에 있는 내용입니다. 잘...

국어 음운 변동 질문

... 국어 음운 변동인 교체, 탈락, 첨가, 축약 중에 첨가를 배우고 있는데, 'ㄴ' 첨가라는게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j'로 시작할때 'ㄴ'이 그 사이에 덧붙는...

국어 문법 음운변동 질문

음운변동 관련 질문인데 잘록이가 잘로기로 발음되는 원리가 뭔가요? 동화인가요? 처음에 오는 ㅇ은 발음이 없습니다 그래서 록의 ㄱ이 뒤로 넘어갑니다 그걸 연음이라고 하고...

고1 국어 음운 변동 질문

할 바를 , 볼 것을 발음 어떻게 하나요 할 바를 --(된소리되기)--> [할빠를] 볼 것을 --(된소리되기, 연음 현상)-->[볼꺼슬] * 연음 현상은 음운 변동에 해당하는 현상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