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수능 중세국어 문법 문제 질문

19수능 중세국어 문법 문제 질문

작성일 2024.01.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3번 문제 5번 해설이 궁금합니당 현대국어 숟가락과 뭇사람의 첫글자 받침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문에서의 이튿날의 예와 숟가락이 같은 예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숟가락의 숟에 대하여, '끝소리가 'ㄹ'인 말(술)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으로 보아 숟가락으로 적게 하였고,

뭇사람에 대해서는, 해당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그냥 ㄹ이 탈락한 형태인 뭇사람으로 쓰게 한 것입니다.

따라서 표기 차이가 생긴 이유는 규정의 적용 여부에 따른 것이며, 본문에서는 국어의 변화 과정을 고려하였을 때, 숟가락이 아니라 숫가락이라고 쓰는 것이 더 부합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대국어에서부터 ㅅ과 ㄷ은 서로 발음이 구분되지 않았으며, 본문에서도 둘의 발음이 다르다는 서술은 나와있지 않으므로, 5번이 틀린 선지입니다.

수능 국어 중세국어 문법문제 질문

... 그러면 이 문제 좀 이상한 문져인건가요? 미리 감사요 ⓑ에 쓰인 관형사형 전성어미는 '기픈'의 '-ㄴ'인데 이 형태는 형대국어의 관형사형 전성어미와 같기 때문에 맞는 말...

수능 국어 중세국어 문법문제 질문

... 미리 감사요 아까도 누가 이런 질문한 것 같은데, ⓑ에 나온 내용 중 '기픈'에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ㄴ'이 사용되었는데, 이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현대국어와 같습니다....

중세 국어 문법 질문드립니다!!

...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듕귁에 달아에서 '달아'에서... 문제는 여기에 연철까지 적용하여 '니러'로 쓰게 되면... 수능에 출제되기 어려운 내용이고 시중 참고서에서도...

수능 국어문제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중세국어 문법 많이 어렵죠. 파이팅입니다.... 있는 문제입니다. 해당 문제와 선지에 나온 모든 용언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시면 추가적으로 질문...

지구과학 21수능 19문제 질문

... 문제에서 A는 B를 관입하고 있다 했으니 일단 A보다 B가 먼저 형성되었습니다. 부정합이라는 것은 퇴적이 중단된 후 융기를 하여 침식 작용이 일어난 후 다시 침강하고...

오늘 수능 지구과학I 19문제 질문요...

... 걸렸어요) 수능처럼 마음가짐먹고 풀었는데 결과는 48점이구요 19문제 2점짜리를 틀렸는데 올해 7월달 일식... (예측가능100%문제 ㅋㅋ 이거 안나오면 뭐...) 질문드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