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매체 질문 관형사형 어미 시제 품사

언어와 매체 질문 관형사형 어미 시제 품사

작성일 2023.12.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미 아이들로 가득 찬 교실“에서
관형사형 어미 ‘-ㄴ’은 ‘차다’라는 동사의 어간에 붙어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건가요?
맞다면 왜 그런건지 설명해주세요


#언어와 매체 #언어와 매체 교과서 #언어와 매체 pdf #언어와 매체 문제 #언어와 매체 수능특강 pdf #언어와 매체 문제집 추천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문제집 #언어와 매체 목차 #언어와 매체 수능특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관형사형 어미 ‘-ㄴ’은 ‘차다’라는 동사의 어간에 붙어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건가요?

-> 네, 과거시제입니다.

동사는

과거 : -(으)ㄴ (예: 먹은 밥, 간 곳)

현재 :-는 (예: 먹는 밥, 가는 곳)

미래 -(으)ㄹ (예: 먹을 밥, 갈 곳)

입니다.

언어와 매체 품사

... 관형사형 어미 '-는'이 형용사에 결합 못 하는 걸 오해하신 거 같아요. 관형사형 어미는 '-는' 말고도 3개 더 있습니다. 2. 형용사로만 쓰입니다.(사전 참고) 3. '있다, 없다'는...

언어와 매체 시제 어미 쉽게 암기

... 근데 너무 외우기가 헷갈리는데 쉽게 암기할 수 있는법좀 알려주세요ㅠ 시제 선어말어미 3개, 관형사형어미 4개로 만들어지는 시제, 별로 복잡하지도 어렵지 않습니다....

관형사형 전성어미 vs 시제 현재형 '은...

시제 현재형으로 쓰는 선어말 어미 '은, 는' 과 관형사형 전성어미로 쓰는 '은, 는'이... 관형사형 어미는 용언의 품사에 따라 기능이 달라집니다. 동사: -은(과거), -는(현재)...

‘있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질문

... 단어인데 관형사형 전성 어미 ‘-는’은 동사에서 현재 시제를 나타낼 때 쓸 수 있는... ♥"-있다"와 "맞다"는 활용형으로 품사를 판단하기 곤란한 단어입니다. 사용된...

언어와매체 품사통용 질문이요!

이 문제 답이 3번인데요 타인을 도움으로써에서 도움은 명사형 전성어미가 적용된거잖아요. 그럼 도움의 품사 자체는 용언니까 품사통용으로 볼 수 있는 거 아닌가요? 명사...

언어와 매체 질문

... '-어'는 명사형 어미관형사형 어미도 아닙니다. 자연스럽게 부사절만 남았네요. [ ] 뒤에 서술어가 오니까 기능도 부사절에 맞구요. '-어'는 연결어미로도 쓰이고...

관형사형 전성어미 -(으)ㄴ 과 -ㄴ 차이

... 언어와 매체를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실례를 무릅쓰고 질문을 드려요. 일단.. 관형사형 전성어미에... 동사의 어간에 '-은'이나 '-ㄴ'이 붙으면 시제가 과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