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학년 도덕(내공80)

중1학년 도덕(내공80)

작성일 2008.10.10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관혼상제의 각각의 절차와 의의 / 형식과 정신 그리고 계승할것 고쳐야할것들을 써주세요

 

 

자세하게 써주세요 따로따로 써주시고요

그럼감사합니다

내공 80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음... 중1의 허접한 답변 ..
 
전통사회에서 관혼상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거치는 커다란 의례입니다. 출산의례에 관한 것도 있지만 흔히 관혼상제를 가장 크게 여겼죠. (중요)


옛날에는관례(성인식)는 과거에 남녀 12세에서 18세 사이에 행해지며 그 의미는 하나의 성인으로 비로소 한 사회(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그에 맞는 책임과 의무를 지워준다는 것이죠, 대부분 양반가문에서 치뤄지는 중요한 절차입니다.남자는 길게 늘어뜨려진 머리를 올려주고 갓을 씌우는 것이 주된 절차고, 여자는 머리에 비녀를 꽂는 것이죠.


지금 이런 모습은 거의 사라졌죠. 청학동 같은 전통마을에서나 볼수 있습니다. 요즘 성인식도 정부에서는 매년 5월세번째주 월요일을 성인의날로 정하고 의식을 거행하지만 극히 일부입니다.


옛날에는 혼례의 절차를 큰대목만 나열하면 의혼(議婚),납채(納寀),연길(涓吉),납폐(納幣),친영(親迎),전안례(奠雁禮),교배례와 근배례,상수와 사돈지,우귀와 현구례 등으로 볼수 있어요,
과거의 혼례는 가문과 가문을 하나의 친척으로 인연을 맺는 것이므로 상당히 신경을 썼죠. 상대의 가문을 봐야하고, 당사자들의 사주도 봐야합니다. 궁합말이에요. 이런 일들은 당사자나 가족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중매쟁이가 대신 양쪽을 오가며 일을 주선합니다. 당연히 중매결혼이죠.
그래서 양가에서 언약을 하면 날짜를 잡고 절차에 따라 치뤄지죠. 요즘처럼 신혼여행은 없읍니다. 여자의 집에서 식이 거행됩니다.

지금은 론레의 장소나 날짜도 많이 변햇죠. 현대에서 찾아볼수 있는 과거의 흔적은 함보내기(사주와 한복과 금품 등의 선물상자)와 폐백이 있겠네요. 페백은 결혼식을 마치고 부부가 된 신랑신부가 정식으로 시댁식구들과 인사하는 자리이죠, 하지만 이것도 식장에서 간소하게 치뤄지죠,
과거에는 신혼 첫날밤 신랑메달기라는 풍습이 있었읍니다. 발바닥을 때리는 행사죠. 신부의 동네의 총각들이 주동이 되서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찾아보기 힘들고 하더라도 신혼 집들이 때나 간혼 행하죠. 결혼식이 끝나자마자 신혼여앵을 떠나니까요.

상례
 
상례의 절차는 대략 이렇습니다.
초종(初終), 수시(收屍), 고복(皐復),부고(訃告),소렴(小殮), 대렴(大殮). 입관(入棺), 발인(發靷), 출상(出喪), 도중정상(道中停喪),영악(靈幄), 설전(設奠), 조문(弔問), 산신제(山神祭), 하관(下棺), 성분(成墳), 반혼(返魂) 등입니다.
사람이 일생을 살다가 마지막으로 행해지는 의례죠. 그러다 보니 엄숙하고 보다더 예의를 갖춰 질서정연하게 일을 처리해야 합니다. 한 가문의 어른신이 작고한 일이라 일가친척은 물론 다른 문중에서도 참가하므로 가문의 예절과 품위, 수준을 알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므로 한치의 착오도 없어야하죠. 그래서 착오가 없도록 미리 준비를 단단히 해 놓습니다.
지금은 절차가 많이 줄엇죠. 기간도 3일장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과거에 부고(상을 알리는 행위)를 직접 인편으로 부고장을 써서 일일히 알렸지만 요즘은 전화로 합니다. 유명인사는 신문 같은 곳에 부고를 내기도 하고요.

제례

절차는 이렇습니다.
분향,.강신(降神),참신(參神),초헌(初獻),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첨작(添酌). 계반삽시(啓飯揷匙),합문(闔門),계문(啓門),헌다(獻茶),철시복반(撤匙復飯),사신(辭神),철상(撤床),음복(飮福) 순으로 이뤄집니다.
제수(제사음식)는 직접 골라서 정성껏 장만해야하며, 금기해야하는 것도 있죠. 제수준비 과정에서 부정타는 언행이나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제관(제사를 주도하는 가장) 역시 몇일 전부터 목교재계하고 몸과 마음을 청결히하며, 부정한 것을 금해야 합니다. 부부관계조차 맺으면 안됩니다. 조상에게 드리는 의레이니만큼 신경을 써야죠.
제사를 들이는 동안에도 잡담은 삼가하고 엄숙하게 지내야 하죠. 절차중에 강신, 합문, 계문이라는 의례가 있는데 이는 조상신을 초대하고 차린 음식을 드시게끔 참가자들이 방 밖에 나가 있는 의식입니다. 대략 30분에서 한 시간 정도 시간을 드렸다하네요. 이것만 보아도 형식으로 치루는 현대하고는 다르죠..

지금도  제례의 절차는 많이 남아 있습니다.  무엇보다 크게 변하고 있는 것은 시간의 단축이죠.

이렇듯 관혼상제가 변하는 것은 현대인의 시간이 별로 없는 생활때문에 이런것 같네요
자세한 내용은 에 서 치세요 (__) 꾸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8p 입니다~^ㅡ^

봄,여름, 가을, 겨울이 자연계의 현상만은 아니다. 우리의 삶에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다. 인생과 계절을 연관지어 생각해 보자.

- 만물이 소생하고 싹이 돋는다.
- 잎과 줄기가 자라고 꽃이 핀다. 
생명의 탄생과 성장, 배움과 정신적 성숙
  (유아기 및 아동기, 청소년기)
여름 - 잎의 푸르름이 점점 짙어진다.
- 왕성하게 활동하고 열매가 생긴
   다.
취업, 혼인, 출산 및 육아 등 왕성한 사회 활동
 (성년의 전반 - 청.장년기) 
가을 - 열매가 익어 풍성해 진다.
- 잎이 노랗고 빨갛게 물든다.
풍부한 경험으로 인생의 참맛을 느끼는 원숙기 (성년의 후반 - 중년 이후)
겨울 - 잎이 떨어지고, 가지가 마른다.
- 정적 속에서 새 생명을 준비한 
   다.   
은퇴하여 자신의 인생을 정리하며 죽음을 맞는 시기 (노년기)

 

14p 입니다~

우리 국민의 훌륭한 도덕적 행동이나 마음씨에 대한 신문 기사를 찾아 써 보자.
  • 신문 이름 : 한겨레 신문 (독자의 편지란, 2000. 7. 5)
  • 제목 : 어느 공무원의 친절한 사이버 상담


    나는 중국에 온 유학생이다. 주위에 중국 여성과 결혼해 사는 한국 사람이 있는데, 이 부부가 낳은 아이의 국적 문제로 어려움이 생겼다. 그 사람의 부인이 직장 문제로 국적을 바꾸지 않아 아이가 이중 국적자가 된 것이다. 나는 이 내용을 중국 법을 다루는 사이트의 게시판에 올렸다. 법률 상담의 경우 사이버 공간이라 해도 자문 요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얼마 있다가 전자 우편이 하나 왔다. 한국 출입국 관리소에 근무하는 공무원 임 아무개 씨였다. 그는 우연히 그 내용을 보게 되었다며 사례에 맞게 설명을 해 주었다. 그 뒤 상세한 내용을 물어 보는 전자 우편을 세 차례 보냈고, 다행히 사정을 부탁한 사람은 만족할 만한 대답을 얻었다. 재외 한국인들이 정보를 얻을 방법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만난 임씨는 우리에게 너무나 큰 기쁨을 안겨 주었다.    

 

17p 입니다~

각자 나의 양심 상태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고, 그 이유를 써 보자
내 양심은 칼과 같다. 칼은 잘만 사용하면 유용한 도구가 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위험할 수 밖에 없다. 양심도 이와 같아서 깨끗함을 지킬 때는 바르고 행복하게 살 수 있지만, 양심을 속이면 남은 물론 자신까지 망치게 된다. 따라서 양심에 충실한 삶을 살도록 노력해야 겠다. 

23p 입니다~

양심을 지키면 손해를 본다고 믿는 사람들에게 끝까지 양심을 버리지 않는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는 글을 써 보자.
우리는 누구나 양심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양심에 따르는 행동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보다 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빛과 소금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눈 앞의 이익에 눈이 어두워 자신의 양심을 속이고,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사람들은 결코 이 사회에 빛과 소금으로 남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순간적인 눈에 보이는 이익에 굴하지 않고 참되고 떳떳하게 행동한 당신의 양심적인 행동에 다시 한 번 찬사를 보냅니다. 비록 조금은 어렵고, 조금은 힘들다 할지라도 참된 삶의 의미와 정신적인 보람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양심적인 행동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당신의 아름다운 삶의 모습이 저와, 또다른 사람들에게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다면 당신은 정말 행복한 사람일 것입니다.  

25p 입니다~

도덕이나 예절 중에서 법으로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생각해 보고, 직접 법 규정을 만들어 보자. 
  • 법 항목 : 학생 집단 따돌림 방지법
    학교 생활 등 공동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3회 이상 집단 따돌림 행동에 참여한 학생은 1개월 간의 민주시민교육과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해야 하며, 그 부모 역시 1개월 간 자녀 양육에 관한 특별 교육을 받도록 한다.

  • 설정 이유 : 남에게 정신적, 물질적, 신체적 피해를 줄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강제적인 법 규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6p 입니다~

사람은 제각기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 사람이 풍기는 냄새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누구나 맡기를 좋아하는 냄새이고, 다른 하나는 누구나 싫어하는 냄새이다. 사람이 풍기는 냄새를 우리는 예절(교양)이라고 한다. 예절을 갖춘 사람은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고, 예절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올바른 예절 생활이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밑줄 그은 곳에 적당한 말을 써넣어 보자.    

1. 내가 선생님이라면, 수업 시간에 떠드는 학생은
 그 시간에 공부한 것을 못 들었을 테니, 그 시간에 공부한 교과서 내용을 다음 날까지 공책에 정리하여 오게 하고, 교무실에 개인적으로 불러 시험을 치르게 한다.
 

2. 내가 선생님이라면, 수업 시간에 자는 학생은
 깨워서 세수하고 오라고 한다. 그리고, 그 시간에 공부한 것을 못 들었을 테니, 그 시간에 공부한 교과서 내용을 다음 날까지 공책에 정리하여 오게 하고, 교무실에 개인적으로 불러 시험을 치르게 한다.

3.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옳지 못한 일을 함께 하자고 권유한다면, 나는
 그 옳지 못한 행동을 왜 해서는 안 되는지를 친구가 깨닫도록 잘 설득한다. 아무리 설득해도 그 친구가 혼자서 옳지 못한 일을 계속할 때는, 먼저 친구의 부모님께 오해가 없도록 설명을 해 드린 뒤, 친구의 버릇을 고쳐 준다.

4. 수업 시간에 옆 친구가 떠들었는데, 선생님께서 잘못 아시고 나를 꾸중하셨다. 그래서 나는
 일단 속으로 생각한다. 내가 떠들지 않았는데 선생님께서 나를 꾸중하실 까닭은 없다고... 내가 나도 모르게 떠들거나 땃짓을 해서 꾸중을 들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다음부터는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한다.

5. 목욕탕에서 선생님을 만났다. 그래서 나는
 탕 안에서는 일단 모르는 척했다가, 옷을 입고 나올 때 정중히 인사드린다.

32p 입니다~

만일, 내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써 보고, 그 이유도 함께 써 보자. 

중학교 1학년인 윤수는 일흔이 넘으신 할머니를 모시고 친척집에 가기 위해 지하철을 탔습니다. 윤수는 할머니를 경로석으로 안내하였습니다. 그런데 할머니께서는 경로석에 젊은이들이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경로석 근처에  가기를 꺼리시며, "내가 가면 자리를 내달라고 하는 것 같지 않겠니 ?"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나의 행동 : 경로석에 앉지 않는다.
  • 이유 : 노약자와 장애인을 배려해야 할 뿐 아니라, 경로사상은 우리 민족의 훌륭한 전통이기 때문이다.


  • 앉아도 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내 몸이 너무 불편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이 자리를 양보해 주었다면, 그 분들의 그러한 선행을 거부하는 것이 오히려 그들을 무시하는 결과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앉지 말아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나보다 신체적으로 허약한 장애인을 보호하고 노인을 공경함으로써, 따뜻한 인정이 있는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36p 입니다~

언청이로 태어난 오빠는 언제부터인지 말을 더듬는 버릇이 생겼다...... 어머니께서는 이런 오빠를 고쳐 주기 위해 어럽게 수술비를 마련하셨다. 그 덕분에 오빠는 대학 2학년 때 마지막 수술까지 무사히 마쳐 정상적인 얼굴 모습이 되었다. 그런데 몇 달 뒤 어머니의 생신 전 날...... 오빠가 무단 횡단하는 어린 아이를 구하려고 차도에 뛰어들었다가 트럭에 치어 세상을 떠난 것이다....... 어머니의 생신날 아침,...... 갑자기 웬 소포 꾸러미가 도착했다. 그것은 오빠가 죽기 며칠 전에 우편으로 보낸 생신 축하 편지와 선물이었다. 

  • 위 이야기에 제목을 붙여 보자.
    예) 잊지 못할 감동, 오빠의 희생과 사랑
     
  • 위 이야기를 읽고 난 후, 내 마음을 날씨에 비유한다면 어떤 날씨인가 ? 계절에 비유한다면 어떤 계절인가 ?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예) 날씨 : 함박눈이 내림       계절 : 겨울
    이유 : 오빠의 희생과 사랑의 의미가 함박눈에 담겨 내 마음 속에 내리는 듯하기 때문이다. 사랑과 감동을 통해 새로운 삶을 준비할 수 있게 해 주는 계절을 겨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위 이야기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
    우리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삶은 희생과 사랑을 실천하는 도덕적인 삶이다.

42p 입니다~

내가 가진 능력과 성격을 다음과 같이 살펴 보자.
나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디딤돌 나의 발전에 장애가 되는 디딤돌
  • 나는 명랑하고 사교적이며, 처음 만나는 사람과도 금방 친해질 수 있다.
  • 나는 손재주가 있어서 무엇을 만들거나 기계를 다루는 데 자신이 있다.
  • 나에게는 통솔력이 있다. 동생이나 후배, 친구들도 나를 잘 따른다.
  • 나는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운동하기를 좋아한다. 특히 탁구를 잘 친다.
  • 나는 평소에 깊이 생각하지 않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때로는 수다스럽다.
  • 나는 숫자에 약하다. 그래서 꼼꼼하게 계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 나는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 그래서 언니는 내게 무식하다고까지 한다.
  • 나는 상당히 덜렁대는 성격이다. 할 일을 잘 잊어버리기도 한다.

49p 입니다~

내가 남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인지 써 보자.


남과 다른 점

  • 나는 과묵한 편이다. 친구들은 나더러 말이 적다고들 한다. 그런데 사실 나는 할 말이 별로 없을 때 말을 안 하는 것뿐이다.
  • 나는 몸이 좀 말랐다. 밥을 적게 먹는 것도 아닌데 살이 찌지 않는다. 체질인 모양이다. 하지만 난 이 점에 대해 속상해하지 않는다.
  • 나는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편이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크게 말하려고 하면 얼굴이 금방 빨개진다.  
  • 나는 남보다 집중력이 좋은 것 같다. 친구들과 똑같이 해도 능률이 더 좋은 것 같기 때문이다.

62p 입니다~

우리도 살다 보면 다른 사람에게 평가를 받을 때가 있다. 30년 뒤,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를 생각하여 써 보자.

사랑하는 친구김00에게

  돌이켜 보면 중학교 다닐 때 네 모습은, 사춘기의 호기심 많은 소녀 그 자체였지. 시와 음악을 좋아하고, 어려운 친구를 진심으로 걱정하던 너. 수학 선생님께 첫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애태우던 네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단다.

  그렇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네 모습은 주변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애정이 가득 담긴 너의 눈망울이야. 너는 종종 내게 이렇게 이야기했지. "그 사람 마음은 얼마나 괴롭겠니 ?", "그 친구도 사실은 착한 마음씨를 가지고 있어"......

  언제나 자기 도리를 다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살아온 네 삶이 그래서 가치 있다고 생각해. 언제까지나 지금처럼, 활발한 직장 여성으로, 사랑스러운 엄마로, 아내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네 모습을 계속 지켜 볼게. 안녕.  

64p 입니다~

훌륭한 인격자라고 존경할 만한 위인이나 우리 주변 사람을 찾아보고, 본받을 점을 간략하게 써 보자.  


- 테레사 수녀로부터 본받을 점

"우리는 켈커타에서만 나병으로 고통받는 2만 명 이상을, 인도 전 지역에서는 5만 명 이상을 도와 줍니다. 나병으로 인한 희생자가 4백만 명이 넘는 인도에서 이 숫자는 아무 것도 아니지요. 인도에서 나병은 하느님의 징벌로 생각합니다. 그것이 그들 종교의 일부분이랍니다. 우리의 도움을 받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해 주는 첫번째 일은 그들이 질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일입니다. 그리고 가능한 필요한 약품을 구해서 치료해 주는 일입니다. 우리가 적절한 시기에 도와 준다면 그들은 완전히 치유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그들에게 이 질병에 대해 확인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우리는 사랑의 선교회를 결성하여 가장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일생을 희생과 봉사의 태도로 살았던 테레사 수녀를 본받아야 한다.

68p 입니다~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람에 대하여 쓴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써 보자. 


- 제목 : 폭설로 등교길 발 동동, 빈 차 태워 줘 감사

내가 사는 경남 진주에 폭설이 내려 차들은 모두 거북이 운행을 했다...... 하지만 30분을 기다렸는데도 버스가 오지 않았다. 집이 시 외곽에 있어, 들어오는 차가 드물었던 것이다. 한참을 기다리는데 승용차를 몰고 가던 한 아저씨가 창문을 열고 "시내 쪽으로 가는 분은 타세요."라고 소리쳤다. 나와 내 친구, 버스를 기다리던 어른 한 분이 그 차를 탔다. 그 아저씨는 진해로 출퇴근하는 분이었는데 외곽지역에는 차가 다니지 않을 것 같아, 발이 묶여 있을 사람들을 위해 오전 5시 30분부터 자원 봉사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차에 함께 탄 어른이 고맙다면서 돈을 건네려 하자, 그분은 그저 봉사하는 것일 뿐 돈을 받으려고 한 일은 아니라고 거절했다......

                   - 중앙일보, 2001. 1. 14

  • 자신의 출근을 제쳐 놓고 새벽부터 나와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했다는 점에서 훌륭한 인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73p 입니다~

존중할 만한 인격적 행동을 한 사람을 선생님이나 부모님에게서 추천받는다. 다음에는 그 사람에게서 또다른 훌륭한 인격적 행동을 한 사람을 추천받는다. 이런 과정을 3번 되풀이 한다.


- 방향

 1) 선생님이나 부모님에게 '주변에 있는 존중할 만한 인격자'를 추천받는다.
 2) 추천을 받으면서, 추천 이유에 대해 간단하게 묻는다. 
 3) 추천 이유를 간단하게 적는다.

- 유의점

 1) 사전에 이러한 활동에 대해 미리 말씀드린다.
 2) 나의 가까운 사람이거나 나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이라 할지라도 추천자의 의견
     을 존중해서 활동에 임한다. 

이 름 인격자로 추천한 이유
김은지 등하교시 다리가 다친 같은 반 친구의 책가방을 3개월 동안 들어 주었으며, 그 밖에도 학급 친구들을 많이 도와 주었다.
정소영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용돈 중 일부를 매달 '양로원'에 보냈으며, 시간이 날 때마다 친구들과 함께 양로원에 찾아가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위로해 드렸다.
윤혜영 다른 사람들이 상쾌한 기분으로 집을 나설 수 있도록 동네 골목을 청소하였다.

80p 입니다~

우리 주위에서 "그도 사람이냐?"라고 묻게 되는, 좋지 않은 사건들을 신문, 방송을 통해서 실제로 보거나 듣게 된다. 그러한 사건들 중의 하나를 써 보자. 


1. 사건의 내용

병든 어머니 버린 30대 딸 긴급 체포

서울 영등포 경찰서는 22일 병들어 거동을 못하는 친어머니를 버려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정모씨(39)에게 존속 유기 치사죄를 적용, 긴급 체포했다. 경찰에 따르면 정씨는 어머니 박모씨(68)가 1년 전부터 폐병이 악화되어 거동을 못하게 되자 지난 12일 서울 영등포구 도림동 무허가 침술원으로 업고 가 침구사가 침을 놓는 동안 몰래 달아난 혐의를 받고 있다. 정씨는 이 사실을 감추기 위해 1주일 후인 지난 19일 전화로 허위 가출 신고를 냈다.
                                                  - 동아일보, 1997. 2. 22

2. 사건을 일으킨 사람이 사람답지 않아 보이는 이유

자식이 정성을 다하여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당연한 도리이다. 자신이 힘들다고 부모를 내팽개치는 행위는 인륜을 저버리는 행동이다. 정씨는 어머니를 버려 숨지게 하고, 또 거짓말까지 하였다. 이런 사람을 어떻게 '사람다운 사람'이라고 볼 수 있겠는가 ?

88p 입니다~

나와 짝이 선택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상품은 여섯 가지이다. 그런데 짝과 겹치는 것은 얻지는 못했을 것이다. 나의 입장과 짝의 입장을 잘 생각하여 다시 한번 선택해 보자. 서로를 위하여 양보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상품 내용 : 젊음, 화목한 가정, 명예와 권력, 건강, 지혜, 사랑, 봉사하는
            삶, 재물(돈)
  • 제시된 8가지 상품 중에서 세 가지를 선택하는 것은 곧 내가 중시하는 가치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자신이 인생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른다.
  • 나와 짝이 얻고자 하는 상품이 겹쳤을 때, 둘 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면 모두 그것을 얻을 수 없게 된다. 

90p 입니다~

내가 부모님의 뱃속에 있을 때, 부모님은 나를 지키기 위해 많은 고생과 노력을 하셨다. 부모님께 고생하고 노력했던 일들을 여쭈어 보고, 그 주요 내용을 써 보자. 그리고 친구들 앞에서 발표해 보자.


- 내가 태어나기까지

  • 부모님이 결혼하신 지 2년 만에 어머니는 나를 임신하셨다.

  • 임신 사실을 알고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 등 온 가족이 뛸 듯이 기뻐하셨다.

  • 어머니는 임신 2-3개월 무렵부터 심한 입덧으로 고생하셨고,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상과 임신 우울증, 그리고 초조감을 느끼셨다.

  • 어머니는 그렇게 좋아하시던 커피를 한 잔도 마시지 않았고, 아버지도 집안에서는 절대로 담배를 피우지 않으셨다.

  • 5개월 무렵부터 내가 어머니 배를 차서 깜짝 놀라게 했고, 6개월 이후에는 어미니 몸무게가 10kg 이상 늘어서, 허리가 아프고 숨이 차는 증상을 느끼셨다.

  • 부모님은 먼 여행을 삼가고 함께 태교 음악을 들으셨고, 할머니, 외할머니는 몸에 좋다는 음식을 만들어 주시느라고 고생하셨다.

  • 분만 예정일을 한 달 가량 남겼을 때, 어머니의 빈혈과 임신 중독 증세로 온 가족이 크게 걱정하셨다.

  • 분만 예정일이 보름 정도 지났는데도 내가 태어나지 않아 온 가족이 크게 걱정하셨다.

  • 어머니가 병원에 입원한 1주일 동안 아버지도 병실에서 같이 계셨다.

  • 내가 태어나던 날, 어머니는 병원에서 무려 8시간 동안이나 산고를 치르셨고, 아버지, 할머니께서도 내내 분만실 앞에서 기도하고 또 기도하셨다고 한다.


    나의 느낌
    부모님과 온 가족이 그렇게 고생하여 나를 낳으셨다는 것을 처음 들었다. 어머니 말씀으로는 나뿐만이 아니고,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그런 과정을 통하여 태어난 것이라고 하신다. 그래도 나를 낳아 기르시면서 늘 감사하며 축복으로 느끼셨다고 한다. 내가 정말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새삼 느낀다. 나도 감사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살아 부모님께 보답해야 되겠다고 생각한다.

99p 입니다~

사랑을 무엇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 내가 생각하는 사랑의 의미와 그 이유를 써 보자.


- 나는 사랑을 소금이라고 말하고 싶다.

왜냐 하면, 사랑은 우리의 삶 속에서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참맛을 느끼게 해 주기 때문이다. 

- 나는 사랑을 약이라고 말하고 싶다.

왜냐 하면, 아무리 어려운 마음의 병도 사랑으로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과 미움 때문에 생겨나는 온갖 불화를 해결하는 유일한 약은 사랑이다.

104p 입니다~

나의 성격이나 생각 중에서 '프로타고라스의 침대'처럼, 다른 사람이 다른 말을 할 경우에 끝까지 고집을 부리는 부분은 없는지 한 가지만 찾아 써 보자.


  나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 어머니, 선생님은 어른으로서 모든 점에서 완벽하고, 또 모든 행동에서 나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그래서 그분들이 실수를 하거나 잘못된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면 참지 못하고, "아버지는 어른이 왜 그래?", "에이, 선생님이 그것도 몰라."하고 비난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 보니,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었다. 그분들도 나와 똑같이 불완전한 인간이라서, 실수할 수 있고, 잘 모르는 것도 일을 수 있는 것이다. 그분들에 대한 그 동안의 나의 태도가 너무 가혹했던 것 같다.
 돌이켜 보면, 우리 아버지, 어머니, 선생님은 인간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올바르게, 인간답게 살려고 노력해 온 훌륭한 분들이다.
  앞으로 그분들의 노력하는 삶의 자세를 배우면서, 한편으로는 서로의 인간적 한계를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위로하며 격려하는 성숙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105p 입니다~

지금 내가 사용하는 물건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그 물건이 나에게 오기까지의 과정을 6단계로 나누어 만화로 그려 보자.


연필이 나에게 오기까지

  • 제1단계 : 연필 재료인 나무를 심고 키움 (나무를 가꾸는 사람들의 모습)

  • 제2단계 : 나무를 자르고, 흑연 광석을 캐냄(벌목공과 광부의 일하는 모습)

  • 제3단계 : 나무와 흑연 광석을 공장으로 운반(운반하는 사람들의 모습)

  • 제4단계 : 나무와 흑연을 결합하여 연필을 만듦(연필을 만드는 사람들의 모습)

  • 제5단계 : 완성된 연필을 문방구점으로 운반(운반하는 사람들의 모습)

  • 제6단계 : 문방구점에서 연필을 구입(문방구점 주인으로부터 연필을 사는
                  모습)

110p 입니다~

우리는 보이지 않는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편리하게 세상을 살아간다. 그 중에서, 다른 사람에게 많은 도움을 주어 감사패를 받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선택하여 그들에게 줄 감사패를 만들어 보자.



감사패

00 방송국 프로그램 '칭찬합시다'

  귀 프로그램은 우리 사회 각 부문에 걸쳐 정말 훌륭한 일을 실천한 사람들을 가려내 칭찬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건전하고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근원적 힘이 어디에 있는가를 가르쳐 주었고, 각박해지는 현대사회에서 남을 도우며 사는 것의 가치를 일깨움으로써, 우리 사회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였으므로 이 감사패를 드립니다.

 2002년 5월 29일

동양중학교 2학년 학생 일동

112p 입니다~

다음의 물음에 대한 나의 생각을 써 보자.


1. 청소년기를 꽃에 비유한다면 ( 동백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유 : 동백꽃이 추운 겨울을 이기고 꽃을 피우는 것은 청소년기의 고민과 고통을
    이겨내는 것과 관련되며, 꽃 색깔이 붉은 것은 청소년기의 힘찬 기상을 닮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 청소년기를 나무에 비유한다면 ( 미루 )나무라 할 수 있다.

이유 : 미루나무는 빨리 크고 곧게 자라는 특성이 있어,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청소년기를 잘 표현하고 있다.

3. 청소년기를 동물에 비유한다면 ( 기린 )이라 할 수 있다.

이유 : 초원 위의 기린은 목을 길게 뻗어 멀리 보려 하며, 여러 마리가 같이 어울려
   다닌다. 이러한 기린은 미래를 좀 더 멀리 내다 보기 위해 노력하며 또래 집단과
   많은 시간을 보내려는 청소년기의 특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114p 입니다~

다음 이야기에서 논리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맞은 말을 생각하여 아래 빈 칸에 써 보자.


어미게 : "자, 애들아. 앞을 보고 똑바로 걸어 보렴." (그러나 어미게들은 똑바로가 아
            닌 옆으로만 갔다.

어미게 : "그렇게 옆으로만 걸으면 안 된다고 했지 ? (그러나 어미게도 자꾸 옆으로
            만 갔다.)

아기게 : "어! 엄마도 옆으로 걸으시네. 우습다! 그러면서 우리에게만 똑바로 걸으라
           고 하시잖아!"

어미게 : "엄마가 똑바로 못 걷는다고 해서 너희들까지 똑바로 못 걷는다고 생각한다
           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야. 내가 지금부터 그 이유를 말해 줄게.

"사람들은 '너도 잘못했으니, 나도 잘못해도 된다.'는 식으로 생각하는데 그건 틀린 생각이야. 엄마가 똑바로 못 걷는다고 해서 너희들까지 마음 놓고 삐딱하게 걷는다면, 우리 게들은 앞으로도 계속 삐딱하게만 걷게 되지 않겠니 ? 엄마가 잘못한 일은 너희가 고쳐 주고, 너희가 잘못한 일은 엄마가 고쳐 주고...... 이렇게 하면 서로 참 좋겠지 ?"  

이 이야기는 '피장파장의 오류'를 보여 주고 있다. 피장파장의 오류란, '저것이 이러저러하니, 이것도 이러저러하다.'는 식으로 마찬가지인 다른 것을 근거로 삼아 어떤 결론을 끌어 낼 때 생기는 오류를 말한다. 그 예로, '아빠는 초등 학교 때 공부를 못했다면서 맨날 나한테만 공부 잘 하라고 꾸중해.'를 들 수 있다.

 

120p 입니다~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에는 고민하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청소년 상담방'이 많이 개설되어 있다. 내가 이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해 주는 상담원이라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어떻게 상담해 줄 것인지 말해 보자. 


먼저, 그 친구와 마주칠 때 그냥 지나치거나 하지 말고 한 번 말을 붙여 보는 게 어떨까요 ?
그 친구가 어떤 취미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과목을 좋아하고, 어떤 과목을 싫어하는지 물어도 보시고요.
같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찾아보세요.
취미가 같거나 생각이 같으면 친해지기도 쉽잖아요?
어쨌든 그 친구 앞에서 잘 보여야겠다거나 괜찮은 사람으로 보여야겠다는 생각에만 사로잡혀서 부담을 느끼지 말고, 그냥 편하게 '저 아이도 그냥 평범한 아이일 뿐이야.'라고 생각해 보세요.
한결 행동하기가 쉬울 거예요.
그리고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은 항상 '말로 하는 방법'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보람님이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선물 주기, 점심 같이 먹기, 집에 같이 가기 등도 있잖아요.
보람님! 그 친구와 꼭 친해지세요.

123p 입니다~

내가 품고 있는 장래의 꿈(이상)을 그려보거나 써 보자.
나는 장래에 '도시 설계사'가 될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인간만이 편하게 살고자 하는 시설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자연 환경을 파괴하면서 인간만을 위한 도시로 만들었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는 각종 환경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나는 이러한 환경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도시, 즉 자연 환경과 인간이 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설계하는 설계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나는 철학, 과학, 문화, 기술에 관련된 공부를 틈틈이 하고 있다.

125p 입니다~

우리 반 학생들은 무슨 꿈을 가지고 있을까 ? 다음과 같이 조사하여 보자.
학생수 바라는 꿈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

5

선생님 교육 계열 대학 진학, 학생에 대한 사랑, 공부

4

헤어,메이크업 아티스트 자격증, 소질(예술적 감각)

3

컴퓨터 프로그래머 자격증, 컴퓨터, 꼼꼼한 성격

3

회사원, 공무원 공부, 봉사 정신

2

의사 생명을 존중하는 정신, 전문 지식

2

건축가 수학 공부, 노력, 독창성

2

작가 책 많이 읽기, 글쓰기 공부, 상상력

126p 입니다~

다음 이야기에서 율곡 선생이 강조한 바를 찾아 써 보자.

사람의 성품은 본래 착해서, 옛날이나 지금이나 지혜 있는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성인만이 높은 인격을 갖춘 사람이 되고, 나는 어찌하여 그런 높은 인격을 갖춘 사람이 못 되는가 ? 그것은 원인이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뜻이 제대로 서지 못하고, 아는 것이 분명하지 못하며, 또 행실이 착하지 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은 나 자신의 노력에 달려 있다.
  • 율곡 선생은 뜻을 세우되 그 목표를 도덕적 인격 완성에 두고, 그것을 실천하는 일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132p 입니다~

다음과 같은 나쁜 충동들이 일어날 경우,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자.
충동 유형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부모님으로부터 꾸중을 심하게 들은 후, 가출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 경우 책상을 깨끗이 정리한 뒤 차분한 마음으로 일기를 써 보자. 그러다 보면 내 방안이 평화로워 보일 수 있으니까. 또는 버스를 타고 종점까지 갔다가 돌아와 보자. 창 밖을 바라보다 미움이 사라질 수 있으니까.
화가 나서 친구를 때려 주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 경우 친구를 때리기에 앞서 고개를 들어 밖의 나무나 먼 산 쪽을 3초만 쳐다본다. 그러면 화나는 일이 보잘것 없는 것으로 느껴질지 모르니까.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 경우 다음과 같은 속담이나 격언을 생각해 보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세상에 비밀 또는 완전 범죄란 없다.' 그러다 보면 양심이 깨어날 수 있으니까.

136p 입니다~

왼쪽에는 좌우명, 오른쪽에는 좌우명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적어 보자.
좌우명
  1. 배부르도록 먹지 말자
  2. 말을 많이 하지 말자
  3. 돈과 시간을 낭비하지 말자
  4. 사람을 속여서 해치지 말자

좌우명의 의미
  1. 체중이 비만인 측면도 있지만 배부르게 먹으면 나태해지기 쉽기 때문에
  2. 말을 많이 하다 보면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3. 돈과 시간의 절약은 인생을 풍요롭게 하기 때문에
  4. 거짓말은 양심을 속이는 것이며 결국 나에게 해를 끼치기 때문에

좌우명의 실천 방법
  좌우명을 항상 지니고 다닌다. 그리고 매일
  아침과 저녁에 소리 내어 읽고, 잠들기 전에
  좌우명에 비추어 그 날을 반성한다.

145p 입니다~

세계적으로 자랑하고 싶은 우리 문화(문화재)를 조사해 보자.
명칭 분야 자랑하고 싶은 이유 찾는 방법
한국의 효도 전통 도덕 서양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웃어른을 공경하는 인간 존중 정신이 담김 글로벌 에티켓을 위한 가정 교육 수첩
종묘 제례학 음악 한국의 중요 무형 문화재 1호이다. 1447년 세종 대왕이 조선의 창업을 기리는 내용으로 작곡한 것으로, 서양의 바로크 음악보다 무려 200년이나 앞선다. 인터넷 검색어 활용
태권도 스포츠 태권도는 몸과 마음을 수련하여 인격을 닦는 무술로서, 남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방어하는 고차원적 무술이다. 태권도 교본

148p 입니다~

안창호 선생이 주장한 '4대 정신'의 의미를 간단히 써보고, 나의 생활 중에서 그 정신대로 살아오지 못한 내용을 한가지 씩 써 보자.
4대 정신 간단한 뜻 나의 생활 중에서 그 덕목대로 살아오지 못한 내용
무실(務實) 진리탐구에 힘쓰는 것 컴퓨터 통신과 오락 때문에 공부에 충실하지 못함
역행(力行) 솔선 수범하는 것 청소를 다른 친구들에게 미루고 하지 않음
충의(忠義) 충성과 신의, 신용을 다하는 것 친구와의 약속 시간을 제대로 지키지 않음
용감(勇敢) 참과 의(義)의 편에서의 용기 따돌림을 당하는 친구보다 따돌리는 친구에게 동조함

157p 입니다~

다음의 글을 읽고, 우리 가정에서 익혀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써 보고, 서로 이야기해 보자.

꾸지람 속에 자란 아이 비난하는 것 배우고, 미움받으며 자란 아이 싸움질만 하게 되고, 놀림당하며 자란 아이 수줍움만 타게 된다. 관용 속에서 자란 아이 참을성을 알게 되고, 격려받으며 자란 아이 자심감을 갖게 되고, 칭찬받으며 자란 아이 감사할 줄 알게 된다. 안정 속에서 자란 아이 믿음을 갖게 되며, 인정과 우정 속에 자란 아이 온 세상에 사랑이 충만함을 알게 된다.

 
  • 가정에서 익혀야 할 것
    - 가족끼리 예의와 예절을 바르게 지키기
    - 자신의 일은 자신이 직접 하기 : 가정에서의 일은 사랑하는 마음으로 익히기
    - 민주적인 대화와 토론에 의한 의사 결정 방법 익히기

159p 입니다~

우리 집은 확대 가족인가 핵가족인가 ? 그 이유는 ?

 

  • 확대 가족 : 할아버지와 할머니(1 세대), 아버지와 어머니(2 세대), 나와 형제 자매(3 세대)가 같이 살거나, 우리 가족과 큰집 식구 또는 이모네 식구와 같이 사는 경우이다.

  • 핵가족 : 가족 구성원이 아버지와 어머니, 나와 형제 자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확대 가족(또는 핵가족)으로서의 우리 집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알아 보자.

 

  • 확대 가족인 경우

    장점 : 어른들로부터 우리의 전통적인 예절 또는 풍습을 익힐 기회가 많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여러 가족의 도움을 받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단점 : 가정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 나의 의견이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 핵가족인 경우

    장점 : 가정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 가족들끼리 자주 토론하여 민주적으로
              결정한다.
    단점 : 부모님이 모두 직장에 다니시는 경우, 방과 후 집에 돌아오면 반겨 줄
              사람이 없어 쓸쓸하다.

162p 입니다~

잘 익은 토마토와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의 공통점과 그 이유를 말해 보자.

건강하고 화목한 가정의 모습은 가족끼리 서로 돕고, 가족 간에 대화가 많으며, 형제 간에 우애가 있고, 각자가 자신의 도리를 다하는 모습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잘 익은 토마토에서는 빨간색에서 따뜻함과 사랑의 감정, 잘 익은 것에서 먹음직함, 만족감, 행복 등을 느낄 수 있다.

 

  • 공통점 : 행복과 만족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이유 : 가족 사진에서는 가족끼리 함께 시간을 보내는 장면 속에서 행복한 가정의 모습을 찾을 수 있고, 잘 익은 토마토에서는 만족과 행복의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164p 입니다~

우리 가족의 구성원을 사람의 몸에 비교해 보자.

다리 (아버지)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매일 일하신다.
팔(어머니) 항상 가족을 위해 집안 일을 하신다.
머리(오빠와 나) 미래를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몸통(할아버지, 할머니) 우리 가족이 있게 만들어 주신 분들이다.

173p 입니다~

자식에 대한 부모님의 과보호가 왜 나쁠까 ?

과보호 속에 자란 채소가 맛이 없고 영양분이 없는 것처럼, 부모의 과보호 속에 자란 자식은 약하고 남에게 의존적이며 자기 고집이 세어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된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님의 올바른 자식 사랑은 ?

부모님의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 헌신적인 사랑도 필요하다. 그러나 자녀가 잘못을 했을 때에도 항상 그러한 사랑을 베풀 수는 없다. 그런 때에는 자식이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잘못을 지적하고 바로 고쳐 나가도록 하는 엄격한 사랑이 바람직하다.

175p 입니다~

효도 상속 규정이 생기게 된 이유

오늘날 핵가족이 늘면서 부모님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식이 많이 약화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장남이 당연히 부모님을 모셔야 한다는 의식이 강했는데 오늘날에는 약화되고 있다. 그 결과, 과거 재산 상속의 50%를 장남이 더 받던 부당함이 제기되어 '효도 상속 규정'이 만들어졌다.

오늘날에 알맞은 효도의 방법

오늘날은 핵가족이 많아지고,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부모님과 같이 살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부모님 집 인근에 살도록 하여 자주 찾아 뵙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전화로 자주 안부를 물어 부모님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려야 한다.

180p 입니다~

다음은 3형제가 나무를 나누어 가진 이야기에 대한 질문이다. 각각의 답을 써 보자.
  1. 마을 사람들의 생각 : 마을의 나무가 저희들 것이라고 하지만 그게 어떻게 자기들 거야. 자기네들 욕심만 차리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조차 않는 것이지. 3형제 모두 벌을 받을 거야. 아니면 우리가 쫓아냄세.

  2. 돌아가신 부모님의 생각 : 우리가 자식들 교육을 제대로 시키지 못하고 헛살고 왔구만. 아예 물려줄 것을 하나도 남기지 않았으면 서로 잘 돕고 양보하면서 살텐데... 아니 집 앞에 조상 대대로 가꾸어 온 나무를 세 조각을 내다니...

  3. 나의 생각 :  서로 다투지 않고 모든 재산을 공평하게 나누어 가진 면은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서로가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자세는 그 동안 형제들 간에 참다운 우애를 베풀며 살지 못했음을 말하고 있다. 그런데 나무가 시든 것을 보고 뉘우쳐 다시 형제들이 모여 사이 좋게 살기로 한 것은 부모님에 대한 효도이며 진정한 형제애의 실천이라고 생각한다.

188p 입니다~

우리가 직접 겪어 본 예의바른 사람과 예의바르지 못한 사람의 사례를 들어보고, 그 때의 느낌을 적어 보자.
예의바른 사람의 예 예의바르지 못한 사람의 예
복도에서 부딪쳤을 때 미안하다고 사과하는 친구 수업 시간에 떠들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친구
느낌 느낌
아프고 짜증나는 마음이 사라진다. 우리 반의 수업 분위기를 망치므로 화가 난다.

189p 입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예절의 문제점을 지적한 신문 기사를 찾아, 그 내용을 발표해 보자.

영화관에서 있었던 일이다. 영화관 입구에도 휴대폰을 '매너모드'로 해 달라는 표지가 붙어 있었고, 들어오는 사람들마다 휴대폰을 점검하는 것이 보였다. 한참 영화에 빠져드는데 어딘가에서 벨소리가 들렸다. '아, 진동으로 해 두는 것을 깜빡 잊었나 보구나.'라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은 전화를 끄지 않고 받았고, 친구로 생각되는 상대방과 계속 통화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모두 이 행동에 어이없는 듯 여기저기서 웅성대는 소리가 났다. 그러나 그 사람은 보이지 않는 따가운 눈총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끝까지 통화를 마치고 전화를 끊는 것이었다. 

190p 입니다~

1인당 GNP를 감안하여 비교, 제시된 자료를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1. 미래에 있을 자신의 혼례에 필요한 비용을 제시하고, 그 근거를 이야기해 보자.
    . 남자 : 1,000만 원 - 2,000만 원 (1칸 혹은 2칸짜리 방의 임대 비용)
    . 여자 : 1,000만 원 - 2,000만 원 (장농, 각종 가전 제품의 구입 비용)
    . 남녀 공통 : 100만 원 - 500 만 원 (결혼식장, 예복, 신혼 여행비)

  2. 오늘날 우리 사회의 잘못된 혼례 문화에 대하여 예를 들어 이야기해 보자.
    .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으로부터 청첩장을 받는 경우
    . 신혼 여행을 외국으로 떠나는 경우

  3.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혼례 문화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자.
    . 진심으로 신랑 신부의 결혼을 축하애 줄 수 있는 가까운 친지와 이웃만을 초
      대하자.
    . 결혼식 장소나 예복은 가능한 검소하게 준비하자.

199p 입니다~

적절한 호칭을 (     )안에 써 보고, 짝과 함께 연습해 보자.
  • 시누이 → (올케, 자네) 남동생의 아내

  • 시누이 (형님) ← 남동생의 아내

  • 형 → (제수씨, 수씨) 동생의 아내

  • 형 (아주버님) ← 동생의 아내

  • 시동생 → (아주머니, 형수님) 형의 아내

  • 시동생 (도련님(미혼), 서방님(기혼) ← 형의 아내

  • 오빠 → (매제, 0서방, 자네) 누이동생의 남편

  • 오빠 (형님) ← 누이동생의 남편

202p 입니다~

다음 정철의 시조를 읽고 그 느낌을 이야기해 보자.


빈궁우환 친척상구 (貧窮優患 親戚相救 )

         아아, 저 조카여 밥 없이 어찌할 것인고?
         아아, 저 아저씨여 옷 없어 어찌할 것인고
         궂은 일이 있으면 다 말해 주시오.
         돌보아 드리고자 합니다.
                                - 정철(송강가사, 훈민가) -

  1. 이 시조의 중심이 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발표하여 보자.
    . 가난한 친족에 대한 훈훈한 정
    . 친족 간에 서로 돕는 따뜻한 마음

  2. '친족 간의 정'을 주제로 시나 시조를 지어 발표하여 보자.

                               형님 먼저 아우 먼저

    아아, 맛있는 햄버거 하나니 어찌할 것인고?
    형님 먼저 아우 먼저
    아아, 재미난 영화 티켓 하나니 어찌할 것인고
    언니 먼저 동생 먼저

206p 입니다~

오늘날과 같이, 친족 관계가 급속히 변한 사회에서도 항렬에 따라 높임말과 낮춤말의 사용이 필요한지를 토론해 보자.


1. 옛날과 같이 항렬에 따라 높임말과 낮춤말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2. 높임말과 낮춤말은 나이에 따라 구분할 뿐, 항렬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1. 위의 두 주장 중 어느 것에 찬성하는가 ?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찬반 입장 이유
1의 의견에 찬성

조상들의 항렬 개념은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할머니가 늦게 낳으신 아버지의 동생을, 아버지의 자식인 내가 나이가 많다고 말을 낮출 수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의 의견에 찬성

오늘날 우리는 친족 간에 왕래가 줄어들어 항렬을 잘 모르고, 그 필요성도 적어지므로, '나이'에 따라 높임과 낮춤의 언어 예절을 실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214p 입니다~

우리 집에서 행하는 제례의 방법, 범위, 시기 등을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구분

내용
제사의 종류
  • 기일제 : 4대조까지의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사를 지냄
  • 차례 : 설날, 한식, 한가위 등의 명절에 지내는 제사. 4대조 후손(친족)들이 모여 지냄
  • 시제: 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 조상의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 문중 모두가 함께 지냄
제사 음식
(제수)
  • 기본 제수는 메(기제-밥, 설-떡국, 추석-송편), 삼탕(소,어,육), 삼적(소, 어, 육), 숙채(시금치, 고사리, 도라지의 삼색 나물), 침채(동치미), 청장(간장), 포(북어, 건대구, 육포 등), 갱(국), 유과(약과, 흰색 산자, 검은깨 강정), 과실(대추, 밤, 감, 배), 제주(청주), 경수(숭늉) 등
  • 지방, 집안에 따라 조금씩 다름(고인이 생시에 좋아하는 음식을 곁들이면 좋음)
제사상 차리는 법
(진설법)
  • 고인의 사진이나 지방을 맨 앞에 모시고 첫번째 줄에 밥, 술잔, 국, 두번째 줄에 채소류, 간장, 김치, 세번째 줄에 어류, 찌개, 육류, 네번째 줄에 과일류를 차리는 순서가 있음
  • 각 줄에 제수를 차리는 순서가 있음
제사 절차 영신-강신-참신-초헌-독축-아헌-종헌-첨작-삽시-정저-합문-계문-헌다-철시 복반-사신-철상-음복

216p 입니다~

우리 집에서 행하는 제례의 방법, 범위, 시기 등을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구분

내용
제사의 종류
  • 기일제 : 4대조까지의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사를 지냄
  • 차례 : 설날, 한식, 한가위 등의 명절에 지내는 제사. 4대조 후손(친족)들이 모여 지냄
  • 시제: 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 조상의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 문중 모두가 함께 지냄
제사 음식
(제수)
  • 기본 제수는 메(기제-밥, 설-떡국, 추석-송편), 삼탕(소,어,육), 삼적(소, 어, 육), 숙채(시금치, 고사리, 도라지의 삼색 나물), 침채(동치미), 청장(간장), 포(북어, 건대구, 육포 등), 갱(국), 유과(약과, 흰색 산자, 검은깨 강정), 과실(대추, 밤, 감, 배), 제주(청주), 경수(숭늉) 등
  • 지방, 집안에 따라 조금씩 다름(고인이 생시에 좋아하는 음식을 곁들이면 좋음)
제사상 차리는 법
(진설법)
  • 고인의 사진이나 지방을 맨 앞에 모시고 첫번째 줄에 밥, 술잔, 국, 두번째 줄에 채소류, 간장, 김치, 세번째 줄에 어류, 찌개, 육류, 네번째 줄에 과일류를 차리는 순서가 있음
  • 각 줄에 제수를 차리는 순서가 있음
제사 절차 영신-강신-참신-초헌-독축-아헌-종헌-첨작-삽시-정저-합문-계문-헌다-철시 복반-사신-철상-음복

219p 입니다~

역사 신문 만들기

인터넷의 각종 자료를 검색하고 수집해서, 퇴계 선생의 인품과 업적에 대한 역사 신문 또는 인물 신문을 만들어 보자.

신문에 넣을 기사, 그림의 내용 및 개수에 대한 선택 기준을 정해 보자.

신문의 크기, 장수, 단수, 글꼴의 종류 등 어떻게 편집할 것인지 생각해 보자. 신문의 '헤드라인'을 어떤 문장으로 표현할지 생각해 보자.
  • 기사 : 홀어머니의 가르침, 천자문(논어)을 배울 때, 학문과 사상(경) 등
  • 그림 : 퇴계의 초상화, 어머니와 퇴계 선생, 도산 서원 등
  • 크기 : 4절지
  • 장수 : 1장
  • 단수 : 2단
  • 글꼴 : 헤드라인-고딕, 기사-명조체 등
  • 1안 : 진정한 스승, 퇴계 이황
  • 2안 : 앉으나 서나 경(敬)을 실천하신 이황 선생
  • 3안 : 자연과 더불어 학문을, 이황

225p 입니다~

오늘날의 부인들이라면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 심청전의 내용을 각색하여 빈 칸에 써 넣어 보고, 그 이유를 말해 보자.


심봉사 : (동네 부인들이 모여 일을 하고 있는데, 심봉사가 청이를 안고 부인들에게
             다가가서 말을 한다.) 여보시오. 부인님들. 이 애 젖 좀 먹여 주오. 

부인 1 : 어머 병이 옮을 수도 있는데, 어떻게 청이에게 내 젖을 먹이고, 우리 귀한 아
            기에게 먹일 수 있담. 안 되요!

부인 2 : 가게에 가면 분유가 많은데, 왜 젖 동냥을 하세요?

부인 3 : 애그, 불쌍도 해라. 저희 애가 쓰던 우유병과 소독기가 있으니 가져다 쓰세
            요. (만원을 쥐어 주며) 그리구, 여기 이것 가지구 분유도 몇 통 사시구요.

심봉사 : (아이를 안고 부인들로부터 멀어져 간다.) 

  • 이유 : 오늘날의 이웃 관계에서는 이기적이고 계산적인 부인 1,2와 같은 태도를 많이 볼 수 있으나, 부인 3과 같이 아직 인정이 메마르지 않은 이웃들이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233p 입니다~

가족과 이웃의 관계는 '속옷'과 '겉옷'처럼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가족과 이웃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는 낱말을 생각해 보자.

가족

이웃 이유
바늘 실과 바늘이 있어야 옷을 만들 수 있듯이 가족과 이웃이 힘을 모아야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기 떄문에
나뭇가지 나뭇잎 나뭇잎이 떨어진 나뭇가지는 외롭고 쓸쓸해 보이기 때문에
빨강색 청록색 서로 색감을 강화시켜 한층 선명해지는 것처럼 이웃과 더불어 살아갈 때 즐겁기 때문에
밥상 반찬 반찬이 많을 때 밥상이 풍성한 것처럼 이웃이 많을 때 우리의 삶이 풍요로워지기 때문에

238p 입니다~

다음 경우에 어떻게 하는 것이 노인을 공경하는 언행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친구들과 함께 실습해 보도록 하자.

노인께 길을 안내할 때

큰 목소리로 천천히, 자세히 안내해 드리고, 시간이 있을 경우에는 직접 모셔다 드리는 것이 좋다. 
예) 오른쪽 첫번째 골목인데, 제가 모셔다 드릴까요 ?
노인과 함께 차를 타고 갈 때 더불어 살아갈 동반자 또는 웃어른으로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안전하고 편한 자리를 양보한다.
예) 할아버지, 할머니 제 자리에 앉으세요.
노인의 말씀에 의문이 생겼을 때 공손한 자세로 예의를 갖추어 궁금증을 여쭈어 본다.
예) 죄송합니다만, 무슨 의미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노인에게 친구를 소개할 때 큰 목소리로 정중하게 소개한다.
예) 제 초등학교 친구 000입니다.
노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노인께 식사하기를 권하고, 노인이 먼저 수저를 드신 뒤에 먹기 시작하며, 노인이 다 잡수신 다음에 일어나도록 한다.
예) 할아버지, 할머니 먼저 드십시오.

244p 입니다~

다음 조선 시대의 향약 규약을 참고하여, 오늘날 이웃 관계에 필요한 새로운 규약을 모둠별로 만들어 발표해 보자.
 
  • 장사에만 종사하는 자는 농사일에 힘쓰도록 하고, 듣지 않는 자는 모임에 참석시키지 않도록 한다.
  • 혼인은 남녀 나이가 맞도록 하고, 30이 넘도록 혼인을 못하면 마을에서 권면하여 혼인시키도록 한다.
  • 혼례, 상례시 상하 모두 검소하기를 힘쓰고, 사치의 나쁜 풍속을 없애도록 한다.
  • 대추, 밤, 닥, 옻나무 등을 30그루씩 집 앞이나 밭, 또는 부모 묘 앞 좌우에 심도록 한다.
  • 직장이 없는 사람에게는 일거리를 소개해 주도록 한다.
  • 마을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사람은 벌금을 내도록 한다.
  • 주차장이나 엘리베이터 등 공동 시설을 깨끗이 사용하도록 한다.
  • 교통 사고나 천재 지변 등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위로하고 성금을 모아 도와 주도록 한다.
  • 사치의 나쁜 풍속을 없애기 위해서 비싼 수입 제품
  • 을 쓰는 사람들로부터 높은 세금을 걷도록 한다.

248p 입니다~

다음 글을 읽고 이웃 간에 일어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내 생각과 그 이유를 써 보도록 하자.


오늘은 오랜만에 열리는 가족 회의날이다. 오늘은 가족 회의의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어머니께서 우리 마을에 장애인과 고아들을 위한 사회 복지 시설이 건립될 예정이라고 하셨다. 이 문제로 며칠 전에는 임시 반상회도 열렸다고 하셨다. 반상회에서 대다수의 주민이 사회 복지 시설 건립을 반대하였는데, 그런 시설이 들어서면 집값이 떨어지고, 아이들의 교육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앞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더 모아 마을 전체의 공식적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하였다. 어머니께서는 먼저 우리 가족의 생각을 듣고 난 후에 반상회에 가서 전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 나의 생각
    우리 마을에 장애인과 고아들을 위한 사회 복지 시설을 건립하는 데 찬성한다.
     
  • 이유
    요즘 우리 사회에는 스포츠 센터나 박물관 등의 시설은 서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유치하기를 원하면서, 장애인 시설이나 화장터와 같은 혐오 시설은 서로 건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집 뒷마당은 안 돼.'라는 의미의 님비 현상(NIMBY)으로서 극단적인 지역 이기주의를 보여 주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더불어 살아가는 이웃이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고아들을 위한 복지 시설을 건립하는 것에 반대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적극 도와 주어야 한다. 우리는 지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들을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이며, 또 이러한 시설이 가장 좋은 지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249p 입니다~

주위에서 이웃 생활에 필요한 예절을 지키지 못해 이웃에 불편을 주었던 경우를 모두 써 보고, 그 중에 한 가지를 상황극으로 만들어 발표해 보자.


바람직하지 못한 이웃

  • 밤 늦게 피아노 소리 등 시끄러운 소음을 내는 경우

  • 골목이나 엘리베이터 등에서 만났을 때 못 본 체하는 경우

  • 양해 없이 이웃의 주차장 앞이나 거주자 우선 주차 지역에 주차하는 경우

  • 쓰레기를 이웃집의 담 옆에 버리는 경우

  • 자기 집 앞의 눈을 쓸지 않는 경우

(피아노 소음)

  • 장면1. 어느 여름날 저녁, 바다네 집
    바다 : 오빠, 수학 문제를 풀려고 하는데, 피아노 소리 때문에 집중이 안 돼.
    오빠 : 누구네 피아노 소리니? 
    바다 : 옆집 소라가 치는 소리야.

  • 장면2. 다음 날 오후, 골목에서
    바다 : 소라야, 너 피아노 잘 치더라! 그런데 저녁에는 문을 좀 닫고 조용히
             칠래?
    소라 : 뭐라구? 우리집에서 내 피아노 내가 치는데, 네가 무슨 상관이야?

252p 입니다~

공공 장소에서 지켜야 할 예절(공중 질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모둠별로 알아보고, 발표해 보도록 하자.
구분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 지켜야 할 예절
공공 장소 이용 끼어들거나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경우 한 줄로 줄을 서고, 휴지는 쓰레기통에 버리기
휴대 전화 사용 공연 관람 도중 벨이 울리는 경우 전원을 끄거나, 진동 상태 유지
운전, 교통 질서 보행자 신호를 무시하는 경우 신호와 차선 지키기
경기, 공연 관람 질서 모자를 써서 뒷사람이 잘 보이지 않게 하는 경우 모자를 벗고, 뒷사람을 배려하기
유원지 질서 나무 의자를 혼자 차지하고 자는 경우 다른 사람을 배려하여 함께 앉기

253p 입니다~

네티켓은 컴퓨터 통신상에서 지켜야 할 예절을 말한다. 다음 대화방에서 지켜야 할 예절을 참고하여 게시판, 전자메일, 홈페이지 네티켓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자.

1. 게시판 네티켓
  • 제목을 쓸 때 제목 앞에는 '부탁', '요청', '광고'와 같이 읽는 사람을 배려해서 글 내용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 인터넷 상에서는 존댓말을 쓰는 것이 기본이다.
  • 게시물을 쓸 때는 자신의 이름과 아이디, 메일 주소를 남겨 두는 것이 좋다.

2. 전자 메일 네티켓

  • 바른말 고운말을 사용한다.
  • 자신의 ID 비밀번호는 공개하지 않는다.
  • 스팸 메일(영리성 광고 메일)을 보내지 않는다.

3. 홈페이지 네티켓

  • 제작된 홈페이지를 다른 사람들이 쉽게 찾도록 검색 엔진 등에 적절하게 등록시켜야 한다.
  • 게시판이나 방명록 등에 글을 남길 경우 운영자들은 이들에게 감사의 글을 전해야 한다.
  • 다른 사이트의 내용이나 그림을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도용해서는 안 된다.
  •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정보나 허위 정보는 절대로 홈페이지에 올리지 않는다.

261p 입니다~

아래 글에서와 같이 동서양에서 스승과 아버지를 동일하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

우리나라에서는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라고 하여,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를 동일하게 보았다. 영어권에서는 아버지를 파더(father)라고 부르고, 천주교의 신부도 파더라고 부른다. 파더는 '아버지'라는 뜻과 '신부', 즉 '교사'라는 두 가지의 뜻이 있다.   
  • 가정의 부모는 자식을 사랑으로 양육한다. 자식들은 자신을 아낌없이 바치는 부모의 사랑을 통해 성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학교의 선생님은 제자를 사랑으로 가르친다. 선생님이 모든 지식을 다 갖추었고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고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진정한 스승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동서양 모두 사랑으로 자식과 제자를 양육하고 가르친다는 의미에서 스승과 아버지를 동일하게 생각하였다.

262p 입니다~

선생님에 대한 학생으로서의 잘못된 태도나 예절에 대해 말해 보고, 그것을 바로잡는 방법을 찾아보자.
잘못된 태도나 예절 올바른 방법 찾기
선생님을 그 여자나 그 남자로 부르는 경우 000 선생님이라고 바르게 호칭하기
선생님을 복도나 거리에서 못 본 척하는 태도  정중하고 반갑게 인사하기
선생님의 지적에 얼굴을 찡그리거나 화를 내는 태도 고마운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선생님이 부를 때 도망가는 경우 반갑게 인사하고, 용무 여쭙기

269p 입니다~

집단 따돌림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와, 해결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이유
  • 주변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만을 생각하는 경우
  • 신체, 정신적으로 약자라고 볼 수 있는 허약한 신체와 소극적 성격을 가진 경우
  • 이유없이 이유를 만들어 따돌리는 경우
해결방안
  • 다른 사람과 입장을 바꾸어서 생각하는 역지사지의 마음가짐이 필요함
  • 진지하게 자신을 점검하는 반성을 통해 좋은 친구, 만나고 싶은 친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 주변을 고려하고 친구들에게 양보하는 마음가짐과 조화로운 인격을 가져야 함

277p 입니다~

아래 글을 읽어보고 생각해 보자.

지난 중간 고사 기간이었다. 반 친구들과 함께 시립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기로 약속하였다. 마침 이웃 학교도 중간 고사 기간이어서 도서관의 자리를 잡기가 매우 어려웠다. 함께 간 친구가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 학생과 말다툼이 벌어졌다. 그런데 이 말다툼이 조금 후에는 우리 학교와 이웃 학교 학생들 간의 패싸움으로 번지고 말았다. 그 싸움 이후로, 그 학교에 다니는 초등 학교 때 친했던 친구마저 이유 없이 미워지곤 했다.    

두 학교 학생들의 말다툼이 학교 간의 패싸움으로 번진 이유를 생각해 보자.

  • 도서관에 먼저 온 사람이 자리를 맡는 것은 일반적인 일인데도 불구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같은 학교 출신이라는 '정'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선후배 간에 지나치게 의지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 선후배 관계가 지나치면 출신 학교 간의 지나친 경쟁을 가져와 무조건 상대 학교 출신을 이기려는 마음을 갖기 때문에 협력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공적인 일에서 능력보다는 출신 학교라는 개인들 간의 사적인 인연을 중시하기 때문에 비합리적이고 불공정한 사회가 될 우려가 있다.

281p 입니다~

'이런 선후배가 좋습니다.'를 주제로 모둠별로 다섯 가지 이상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바람직한 선배

바람직한 후배
  • 따뜻하고 친절한 선배
  • 고민을 상담할 수 있는 선배
  • 학교 생활을 안내해 주는 선배
  • 먼저 모범을 보이는 선배
  • 올바른 시험 정보를 주는 선배
  • 인사 잘하는 후배
  • 선배를 존경하는 후배
  • 선배를 믿고 따르는 후배
  • 선배의 모범을 배워 실천하는 후배
  • 선배와 고민을 의논하는 후배

283p 입니다~

학교 생활을 통해서 얻은 것과 고칠 것을 써 보자.

학교 생활을 통해서 얻은 것

학교 생활을 통해서 고칠 것
  • 다양한 지식과 기술
  • 나의 적성과 흥미 발견
  • 친구들과의 우정
  • 선생님들과의 추억
  • 교칙을 어기는 것
  • 성적에만 관심을 두는 것
  • 친구들에게 양보하지 못하는 것
  • 선생님께 불손한 언행을 하는 것

286p 입니다~
여러분이 다니고 있는 학교의 교칙을 제정해 보자. (예시)

제1조(목적) 이 규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 생활에 맞는 용의와 복장을 갖추어 입음으로써 즐겁고 자유로운 학교 생활을 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복장) 학교에서 정한 교복을 입되 매주 토요일은 자유복을 입는다.

1. 교복의 치마 길이는 무릎 사이로 하고, 교복의 바지통을 줄이는 것은 금한다.
2. 여학생의 경우는 바지와 치마 중 희망대로 입는다.
3. 여학생의 춘추복 리본은 자유롭게 착용한다.
4. 코트는 교실에서도 입을 수 있고 폴라티의 색깔은 무채색 계통으로 한다.

제3조(두발) 남학생은 귀를 덥지 않게 단정히 기르고, 여학생의 경우는 귀밑 5센티를 넘으면 반드시 묶도록 한다.

1. 염색, 파마, 무스, 스프레이는 하지 않는다.
2. 머리 핀의 색깔은 자유롭게 한다. (단, 형광, 빨강, 큐빅 등의 화려한 것은 제외)  .
3.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학교장의 허락을 받는다.

제4조(신발) 구두나 운동화 중 자유롭게 신도록 한다.

1. 체육 시간에는 반드시 운동화를 신는다.
2. 구두는 학생용만 허락한다.

제5조(기타)

1. 부모님이 허락한 반지, 목걸이는 착용할 수 있다.
2. 양말은 자유롭게 신는다. (망사 양말 제외)
3. 스타킹은 검정색, 살색을 허용한다. (스타킹 위로 토시 허용)

293p 입니다~

변화하는 여성상과 양성 평등에 대해 생각해 보자.

신사임당이 보여 준 현모양처의 여성상은 오늘날에도 가능한가 ?
  • 오늘날 우리나라의 가정과 사회는 조선 시대의 가부장적 가정의 모습과 현대의 양성 평등적 사회의 모습을 함께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의 여성상은 과거의 현모양처에 현대의 커리어 우먼을 합성해 놓은 '수퍼 우먼'을 요구하고 있다. 즉, 현대의 여성들은 현명한 어머니와 좋은 아내 역할 이외에도 직업 생활을 훌륭히 해내야 한다. 21세기에는 더 이상 현모양처가 여성의 모범상이 될 수 없으며, 여성은 수퍼 우먼이 될 수도 없다. 따라서, 오늘날 바람직한 여성상은 가정과 사회에서 양성 평등이 실현된 상태에서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여성이라야 한다.

아직도 남녀 간의 양성 평등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남녀 차별 문제가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양성 평등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토론방에 제시해 보자.

  • 우리나라는 여성이 호주가 될 수 없다. 여성이 남편과 사별하거나, 남편의 폭력을 견디다 못해 이혼을 하여 딸과 같이 사는 경우, 그 누구도 호주가 될 자격이 없다. 하루 빨리 남성 호주제가 폐지되어 양성 평등의 기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번에 비슷한 질문에 올린 답변을 올려봅니다^ㅡ^

 

여기에 가보시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좌측 아래 관혼상제 클릭하시면 됩니다.^ㅡ^

http://myhome.naver.com/hdycss/index.htm

 

올리다보니.. 표도 옮겨지지 않고, 한문이 많아 넘 복잡해 보이네요.. 표를 보시는게 좋으실 것 같은데.. 여기에 이렇게 올려서 보시기 불편하신 것 보단 바로 사이트로 가시는게 편하실 것 같아.. 상례와 제례부분은 올리지 않습니다.^ㅡ^;;

 

이런 형식의 정보가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관례와 혼례부분은 살짝 옮겨 보았습니다^ㅡ^

 

한자가 심~하게 많긴 하지만 한글만 살짝 읽어보니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닌 듯 싶네요.. 제가 아직 좀 어려서(?) 그런지 상례와 제례부분은 조금 어렵긴 했지만요..^ㅡ^;;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관례

1. 冠禮(관례): 男子(남자)의 成人式(성인식)

2. 禮(계례): 女子(녀자)의 成人式(성인식)

 

관례(冠禮)는 어린이가 성인(成人)이 되었음을 상징(象徵)하기 위하여 남자(男子)에게는 상투를 틀어 갓(冠巾)을 씌우고 여자(女子)에게는 쪽을 찌고 비녀를 꽂아 주는 의식(儀式)으로 일종의 성년식(成年式)이다.

* 관(冠)
1. 시기(時期) : 15세부터 20세 사이에 정월달 중에서 날을 정하여 행하면 된다.

2. 계빈(戒賓) : 주인(主人)의 친구 중에서 어질고 예법을 잘 아는 이를 빈(賓:주례)으로 모신다.

3. 고우사당(告于祠堂) : 3일 전에 조상의 위폐(位牌)를 모신 사당(祠堂)에 고(告)한다. 

4. 진설(陳設) : 관례를 행할 장소를 정하고 복장(服裝)과 술과 과일을 배설(配設)한다

5. 초가(初加) :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심의(深衣)를 입고 머리에 관(冠)을 씌우고 성인이 될 것을 당부하는 축사를 한다.

7. 삼가(三加) : 어른의 예복(禮服)을 입히고 머리에 복두(幞頭)를 씌운 다음 어른으로서 책임(責任)을 다할 것을 당부하는 축사를 한다.

8. 초례(醮禮) : 술을 내려 천지신명(天地神明)에게 어른으로서 서약(誓約)을 하게하고 술 마시는 예절(禮節)을 가르친다.

9. 관자(冠字) : 이름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상시(常時) 부를 수 있는 자(字)(별명)를 지어준다.

10. 견우회장(見于會長) : 어른으로서 사당에  재배(再拜)하고 웃어른들을 찾아 뵙고 인사를 올린다.

 

계()(비녀 계)

여자(女子)의 나이 15세가 되면 비록 혼인(婚姻)을 정하지 않았더라도 역시 계례( )를 치른다고 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혼약(婚約)이 성립되었을 때에 계례가 행해진 것 같다. 이때에는 계자()의 어머니가 주장이 되어 친척중에서 어질고 례법을 아는 부인(婦人)을 계빈( )으로 정해서 계례 전날)에 데려가 유숙케하여 예를 행한다. 방법은 남자의 관례와 거의 비슷하고 다만 남자가 상투를 틀고 관을 쓰는 반면 여자는 머리를 올려 쪽을 찌고 비녀를 꽂는 것이 다를 뿐이다
그리고 남자(男子)에게는 자(字)를 지어주는 대신 여자(女子)에게는 상호(常號)를 지어준다.

이 관례(冠禮)가 근세(近世)에 와서는 우리 민속에서 사라져버렸는데 그 까닭은 감오경장(甲午更張)때의 단발령(斷髮令)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 단발령으로 상투가 없어지게 되자 갓 대신 모자를 썼고 교육 수준의 향상과 외래사조(外來思潮)의 영향으로 조혼(早婚)의 폐단이 없어짐에 따랄 이 관례는 혼례(婚禮)에 포함되어 행해졌기 때문이다.

 

* 상투가 없어졌다고 해서 관례를 치루지 않는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오늘날에도, 어린이에서 성년(成年)이 되었음을 일깨워 주어 사회인(社會人)으로써의 행동거지(行動擧止)와 책임감을 갖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관례(冠禮)의 본 뜻을 살려, 의식절차(儀式節次)를 현실에 맞게 고쳐서 시행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혼례

 

1. 청혼(請婚), 허혼(許婚)
2. 사성(四星). 사주(四柱)
3. 연길(涓吉)
4. 의제(衣製)
5. 납폐(納弊)
6. 전안례(奠雁禮). 초례상(醮禮床)
7. 홀기(笏記)
8. 우귀(于歸). 현구고례(見舅姑禮)
9. 혼례고사(婚禮告辭)(각종)
10. 약혼식(約婚式)
11. 청첩장(청請牒狀)

        ****************************************************

혼례는 육례(六禮)라하여 다음의 절차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다.

          육례(六禮)는 다음과 같다
납채(納采) :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사주단자(四柱單子)를 보낸다
문명(問名) : 양가에서 서로 이름을 묻는다.
납길(納吉)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인 승락을 통지한다.
납징(納徵)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청단홍단(폐백)을 보낸다.
청기(請期) : 신랑 집에서 혼일(婚日)을 정하여 신부 집에 가부를 묻는다.
친영(親迎) : 신랑이 신부를 맞는 예식을 올린다.
그러나 근래에는 이러한 절차를 줄이고 신구절충으로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1. 청혼(請婚), 허혼(許婚)
구례(舊禮)로는 남자측에서 혼인의 의사가 있는 상대방에게 직접 청혼하지않고 중매자에게 서면으로 중매를 청하였다.

2. 사성(四星)혹은 사주(四柱)
사성은 사주라고도 한다. 쌍방에서 혼인에 합의하면 신랑측에서 사성을 보낸다. 사성이란 신랑의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를 말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쓴다.

사성서식(四星書式) : 간지(簡紙)를 7첩으로 접어서 가운데 칸에 쓴다. 

 *수결은 오늘날의 사인과 같은 것이며 신랑이 서명한다.

 

사성송서장서식(四星送書狀書式)(신랑측에서 신부측에 보내는 서식)

伏承華翰(복승화한)하니 感荷良深(감화양심)이라 仍謹審玆者(잉근심자자)에

尊體萬重(존체만중)하심을 仰溯區區之至(앙소구구지지)라 家兒(가아)(조부가 주혼이면 重兒(중아), 큰아버지가 주혼이면 질아(姪兒), 형이 주혼이면 弟(제)라 칭함) 

親事旣蒙契許(친사기몽계허)하니 寒門之慶事耳(한문지경사이)라 星單(성단)을 依敎錄呈(의교록정)하오니 涓吉回示如何(연길회시여하)오 餘不備禮(여불비례) 伏惟(복유)

尊照(존조) 謹拜上狀(근배상장)

                                                                                       

                                                                             人(인)          0 0 0 再拜(재배)

풀이
엎드려 편지를 받자오니 매우 감사하옵니다.
 근간에 존체 만중하십니까. 저의 자식 혼사는 이미 허락 하심을 받았으니 저희 가문의 다행이며 경사이옵니다. 가르치심에 따라 사성단자를 보내오니 결혼식 일자를 회시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3. 연길(涓吉)

연길(涓吉)은 결혼일자를 정해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신랑 집에서 사성(四星)을 보내오면, 신부 집에서 결혼식 일자를 택일(擇日) 하여 신랑 집에 통지하는 것이다. 이 연길서식도 쓰는 방식이 차츰 현대화되어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한 가지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연길서식(涓吉書式)

*전안(奠雁)은 결혼식을 말한다. 이와 함께 다음 서식의 연길송서장을 같이 보낸다.

연길 송서장(涓吉 送書狀) 서식

伏承華翰(복승화한)하오니   感荷無量(감하무량)이오이다. 謹審玆者(근심자자)에 

尊體候萬重(존체후만중)하심을 仰慰區區之至(앙위구구지지)라 弟女兒婚事(제녀아

혼사)는 旣承柱單(기승주단)하오니 寒門慶事(한문경사)라 涓吉錄呈(연길록정)하오니

 章製回示(장제회시)하심이 如何(여하)오 餘(여) 不備伏惟(불비복유)

尊照(존조) 謹拜上狀(근배상장)하옵니다.

                                                   年(年)         月(月)         日(일)

                                                                          人(인)   000 再拜(재배)

*피봉은 사성(四星)을 보낼 때와 같이 하되 전안(奠雁) 피봉에만 연길(涓吉)이라 쓴다.

 풀이
엎드려 편지를 받자오니 감사한 마음 그지 없습니다. 요즈음 존체 만안 하십니까. 저의 여아(女兒) 혼사는 이미 사성단자를 받자오니 저의 가문에 경사 이오며 이제 결혼 일자를 가려서 삼가 보내 오니 어떻하올지 하회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4.의제(衣製)

연길(涓吉)서장을 받은 신랑측에서는 신랑의 의복 길이와 품을 신부측에 알리는 의제장(衣製狀)을 보낸다. 그러나 요즈음은 대개의 경우 이 절차가 생략되고 직접 양복점이나 양장점에서 의복을 맞추게 됨으로 설명을 줄인다.

5.납폐(納弊)

연길장(涓吉狀)과 의제장(衣製狀)이 끝나면 결혼식 전날에 신랑측에서 신부측에 신부용 혼수(의류)와 폐물과 예장(禮狀)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을 보내는데, 이를 납폐(納弊)라 하여 일정한 격식이 있다. 납폐예장을 쓰는 종이는 한지를 길이 36cm 폭 60cm 정도로 하여 아홉칸으로 병풍모양으로 접어 양편을 한 칸씩 비우고 일곱 칸에 쓴다. 

 예장(禮狀).  혼서식(婚書式)

                                           某貫后人某(모관후인모)(성명)拜(배)

    時維孟春(隨時)

尊體百福 僕之弟長子(次子. 三子. 姪. 孫. 弟)某(新郞名)
존체백복 복지제장자(차자. 삼자. 질. 손. 제)모 (신랑명)

年旣長成 未有伉儷 伏蒙 尊慈許以 令愛(令孫女, 令姪女. 令妹)
년기장성 미유항려 복몽 존자허이 영애(영손녀, 영질녀, 영매)

貺室 玆有 先人之禮 謹行 納弊之儀 不備 伏
황실 자유 선인지례 근행 납폐지의 불비 복유

尊照 謹拜上狀
존조 근배상장

                                       
                              년                    

                                                             0 0 0 再拜
                                                                         재배

풀이:
요즈음 무르익은 계절이온데 존체 백복(百福)하십니까. 저의 장남 모(이름)가 이미 성장하여 배필이 없더니, 높이 사랑하심을 입자와 귀중한 따님으로 짝을 맺게 하여 주시어서 이에 선인(先人)의 예에 따라 삼가 납폐하는 의식을 행하오니 살펴주시기를 바랍니다.

재삼혼시(再三婚時)의 예장서식(禮狀書式)

伏承 嘉命許以 令愛貺室于僕之長子某(名) 玆有先人之禮 謹行
복승 가명허이 영애황실우복지장자모(명) 자유선인지례 근행

納弊之儀不備 伏惟
납폐지의불비 볼유

尊照 謹拜 上狀
존조 근배 상장

                                     
                                     

                                                              0 0 0 再拜  
                                                                      재배

*예장피봉은 상하를 통하게(봉하지 않음)하고 중피봉(重皮封)을 상 중 하로 고르게 끼운다.

7.홀기(笏記)

(홀기는 결혼식의 식순으로써 큰 소리로 읽어 예식을 집행한다.)

    行親迎禮(행친영례): 신랑은 신부를 친히 맞아 들이는 예를 행하시오.
婿出乘馬(서출승마): 신랑은 나가 말을 타시오.
以二燭前導(이인촉전도): 청사초롱 홍사초롱으로 앞길을 인도하시오.
執雁者亦居其次(집안자역거기차): 기러기 아범은 신랑 뒤에 따르시오.
至女家(지녀가): 신부 집에 이르러,
婿下馬于大門外(서하마우대문외): 신랑은 대문 밖에서 말에서 내리시오.
于次(입사우차): 대기실에 들어가 기다리시오.

   行奠雁禮(행전안례): 기러기 드리는 예를 행하시오.
婿出次至門外東面(서출차지문외동면): 신랑은 대기실에서 나와 대문밖에서 동쪽으로 향하여 서시오.
執雁者立右少退(집안자입우소퇴): 기러기 아범은 신랑 우측 조금 뒤에 물러서시오.
主人出門西向揖(주인출문서향읍): 주인은 문을 나와서 서쪽으로 향하여 신랑에게 읍하시오.
執雁者進授于婿(집안자진수우서): 기러기 아범은 기러기를 신랑에게 주시요.
婿受雁奉之左首(서수안봉지좌수): 신랑은 기러기를
  받아 머리를 왼쪽으로 둘러 받으시오.
主人先行至廳事(주인선행지청사): 주인은 앞서서 전안청으로 안내하시요.
婿從之(서종지): 신랑은 따라가시오.
主人升自東階立西向(주인승자동계립서향):주인은 동쪽계단으로 올라 서쪽을 향해 서시오.
婿升自西階(서승자서계): 신랑은 서쪽계단으로 오르시오.
北向跪(북향궤)<跪于置雁之前>: 북쪽으로 향하여 꿇어 앉으시오.
置雁于地(치안우지): 기러기를 상위에 놓으시오.
主侍者受之母(주시자수지모)(及奉姆可也>: 주인이나 시자는 받아 가시오.
婿悗伏興再拜(서문복흥재배): 신랑은 구부려 엎드렸다가 일어나 두 번 절하시오.
姆奉女出中門(모봉녀출중문): 수모(하님)는 신부를 부축하여 중문으로 나오시오.
有白巾蒙頭(유백건몽두): 한얀 큰 수건으로 머리(얼굴을 가리시오.
婿揖之(서읍지): 신랑은 신부에게 읍 하시오.
降自西階婿遂出門外(강자서계 서수출문외): 서쪽계단으로 내려와서 신랑은 문밖으로 나서시오)
女從之(녀종지): 신부는 뒤를 따르시오.
婿擧轎簾以侯(서거교렴이후): 신랑은 가마 발 문을 열고 신부를 기다리시오.
女乃登嬌(여내등교): 신부는 가마에 오르시오.
姆遂下簾(모수하렴): 수모(하님)는 발 문을 내리시오.
婿乘馬先婦嬌行(서승마선부교행): 신랑은 말을 타고 신부 가마 앞에 가시오.
婿嬌亦以二燭前導(서교역이이촉전도): 신부가마를 역시 청사초롱 홍사초롱으로 앞길을 인도하시오.
婿至家立于廳事(서지가립우청사): 신랑은 집에 이르러 대청 앞에 서시오.
竢婦下嬌(사부하교):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리시오.
揖而導人(읍이도인): 신랑은 신부에게 읍(인사) 하고 인도해 들어가시오

        행교배례(行交拜禮): 신랑 신부가 서로 인사를 나누는 예를 행하시오.
婦從書布婿席于東方(부종서포서석우동방): 신부의 시종은 신랑의 자리를 동쪽에 펴시오.
婿從者布婦席于西方(서종자포부석우서반): 신랑의 시종은 신부의 자리를 서쪽에 펴시오.
婿
于南(서관우남): 신랑은 남쪽대야에 손을 씻으시오.
婦從者沃之進
(부종자옥지진세): 신부의 시종은 수건을 적셔 갖다 드리시오.
于北(부관우북): 신부는 북쪽 대야에 손을 씻으시오.
婿從者沃之進帨(서종자옥지진세): 신랑의 시종은 수건을 적셔 갖다 드리시오.
婿揖婦俱就席(서읍부구취석):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함께 대례청으로 나서시오.
相向立(상향입): 서로 향하여 서시오.
婦先兩拜(부선양배): 신부는 먼저 두번 절 하시오.
婿答一拜(서답일배): 신랑은 한번 답례 하시오.
婦又再拜(부우재배): 신부는 다시 두번 절 하시오.
婿又答一拜(서우답일배): 신랑은 다시 한번 답례 하시오.

      行合(행합근례): 신랑 신부가 서로 술잔을 주고 받는 예를 행하시오.
婿揖婦俱就坐(서읍부구취좌): 신랑은 신부에게 읍 하고 함께 합근례 할 지리로 나와 앉으시오.
從者斟酒設饌(종자짐주설찬): 시종들은 잔에 술을 치고 안주를 마련해 놓으시오.
婿婦各祭酒擧
(서부각제주거효): 신랑 신부는 각각 술을 제하고 안주도 내려 놓으시오.
斟酒(짐주): 잔에 술을 부으시오.
婿揖婦擧飮不祭無
(서읍부거음불제무효):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잔을 들어 다 마시고 안주는 들지 마시오. 
從者又取杯分置婿婦之前(종자우취근배분치서부지전): 신종은 다시 합근 배를 (표주박잔) 신랑 신부 앞에 나누어 놓으시오
斟酒(짐주): 잔을 채우시오.
婿揖婦擧飮不祭無
(서읍부거음불제무효):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잔을 들어 마시고 안주는 들지 마시오.
婿出他室(서출타실): 신랑은 딴방으로 나가시오.
姆與婦留室中(모여부유실중): 수무(하님)는 신부와 함께 방안에 머므시오.
撤饌(철찬): 상을 치우시오.
置室外設席(치실외설석): 밖에 다사 자리를 펴시오.
婿從者
婦之餘(서종자준부지여): 신랑의 시종은 신부가 남긴 것을 마시고.
婦從
婿之餘(부종준서지여): 신부의 시종은 신랑이 남긴 것을 마신다.
復入脫服燭出(부입탈복촉출): 신랑은 다시 들어가 관복을 벗고 촛불을 내리시오.
  (예   필) : 예식 끝

8.우귀. 현구고례(于歸. 見舅姑禮)

우귀(于歸)는 신행(新行)이라고도 하여 신부가 정식으로 신랑 집에 들어가는 의식이다. 근래에는 결혼식 당일에 예식장의 폐백실(弊帛室)에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부모(媤父母)를 뵈올 때에 올리는 대추나 건치(乾雉:말린 꿩고기)를 이용하여 폐백을 올림으로 대신하는 것이 보통으로 되어있다. (건치대신 닭을 대용한다.)
현구고례(見舅姑禮)는 신부가 신랑의 부모(시부모)와 그 외 친척에게 첫인사 하는 의식으로 우귀(于歸)하는 날에 하는 것이다.
  이 때 신랑의 직계존속에는 사배(四拜) 기타는 한번씩 절한다. 
재래식으로는 대청에 자리를 만들고 병풍을 치고 시아버지는 서편에 시어머니는 동편에 앉은 후 폐백상을 차리고 절을 하는데. 시조부모가 생존하여도 시부모부터 먼저 뵙고, 다음에 시조부모를 뵙게 되어 있으며, 그 외는 촌수와 항렬(行列)에 따라 차례로 인사를 드린다. (집사자의 좌가 서 우가 동이다>

*구고기몰전채고사(舅姑旣沒奠菜告辭)

士婚禮 婦執芥菜 于舅之廟
(시부모가 이미 돌아가셨을 때 사당에 고하는 것)
某氏(신부의 성) 來婦敢奠 嘉菜于
모씨                    래부감전 가채우

顯舅(或顯妣某封某氏, 俱沒則列書舅姑) 某官府君
현구                                                              목관부군 

9. 혼례고사(婚禮告辭)

維歲次干支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孝玄孫某官某 敢昭告于
유세차간지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효현손모관모 감소고우

顯高祖考某官府君
현고조고모관부군

縣高祖某封某氏(諸位列書) 某之子某(宗子自婚則但云某) 
현고조비모봉모씨                모지자모

將以酒果 用伸 虔告謹告
장이주과 용신 건고근고

*신부 현묘고사(新婦 見廟告辭)
(家禮 婦入三日 主人以新婦 見于祠堂)

某之子(宗子自告則但云某) 之婦某氏 敢見
모지자                                   지부모씨 감현

 

10. 약혼식 순서(約婚式 順序)

1. 개식사(開式辭)
2. 신랑 신부 약력소개(新郞 新婦 略歷紹介)
3. 예물교환(禮物交煥)
4. 약혼서교환(約婚書交煥)
5. 주례사(主禮辭)
6. 케이크 짜르기
7. 가족소개(家族紹介)
8. 폐식사(閉式辭)

 약혼서(約婚書) 서식(書式)

본적(本籍)
주소(住所)
                   명(姓名)        
                                년(年)      월(月)       일(日) 생(生)
본젹(本籍)
주소(住所)
                   명(姓名)
                                년(年)      월(月)       일(日) 생(生)
위 두 사람은 혼인(婚姻)할 것을 이에 서약(誓約)합니다.
                          년(年)      월(月)      일(日)
      첨부(添付)
      1. 호적등본 1통(戶籍謄本 1通)
      2. 건강진단서 1통(健康診斷書 1通)
            약혼자(約婚者) 남자(男子)                          인(印)
                                       여자(女子)                       인(印)
            동의자(同意者) 남자측(男子則)                   인(印)
                                      여자측(女子則)                 인(印)

11. 청첩장(請牒狀) 문례(文例)

                      
                          

                                      朴甲乭氏   長男       三成 군
                                      박갑돌씨   장남       삼성
                                      崔萬生氏   次女       淑香 양
                                      최만생씨   차녀       숙향

위 두사람의 결혼식을 다음과 같이 올리고저 하오니 부디 오셔서 축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기                             

                             0   0   예식장

                                               지 박사

                       청첩인              김사갓
                                               허풍선

              영부인      귀하

축의문구(祝儀文句) 예(例)

祝華婚(축화혼), 祝結婚(축결혼), 祝盛典(축성전), 祝華燭(축화촉), 祝儀(축의).

*혼수봉송식(婚需封送式)

혼수를 봉(封)함에는 함에다가 백지를 깔고 먼저 예장(禮狀)을 넣은 다음에 의류(衣類는 백지를 7cm 정도의 폭으로 잘라서 의류마다 중간을 봉하고 그 위에 품명을 쓴다) 를 넣되 적색 옷감을 먼저 담고 청색 옷감을 그 위에 넣어 백지로 덮고 안에 담긴 옷감이 움직이지 아니하게  만들고 함을 닫는 다. 그리고 보자기로 혼수함(婚需函)을 싸서 보낸다. 이 혼수품이 신부 집에 이르면 대기했던 신부의 부친이나 친척 중에 수복(壽福)이 많은 사람이 의관을 정제하고 정중하게 받는 법이다. 이상이 결혼식전에 하는 절차들인데 또 신랑측에서 신부측을 위하여 마련한 물품일체를 적은 물목(物目)은 근자에는 납폐일에 함께 보내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물목지(物目紙)는 피봉에 넣지 않고 병풍식으로 접는다.

 

6. 전안례(奠雁禮) 초례상(醮禮床)

결혼식을 전안례(奠雁禮)라고 하는데, 납폐가 무사히 끝나면 구식으로는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서 다음과 같이 전안홀기(奠雁笏記: 즉 식순)에 따라 예식을 올린다. 이때 신랑은 성장(盛裝)에 <사모(紗帽), 관대(冠帶), 관복(官服), 묵화(墨靴)>를 착용하고 신부는 머리에 화관(花冠)이라 불리우는 <쪽두리>를 쓰고 <연지>를 찍고 사포(紗布)로 앞을 가리고 저고리는 황색 비단, 치마는 홍색 비단으로 만든 것을 입고 그 위에 袖衣(수의,즉 활옷)을 입는다. 수의(袖衣)는 소매가 넓고 옆이 터진 큰 옷인데 홍단으로 바탕을 하고 찬란한 문채로 수 놓은 것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ㅈㅅ하지만점수냠냠요^^

중1학년 도덕(내공80)

... 그럼감사합니다 내공 80겁니다 먼저 8p 입니다~^ㅡ^ 봄... 훌륭한 도덕적 행동이나 마음씨에 대한 신문 기사를 찾아... 중학교 1학년인 윤수는 일흔이 넘으신 할머니를 모시고...

도덕 원효 중1학년 수행평가 ( 내공 30 )

중1 학년이구요.. 중1에 맞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할게요, 잘몰라서 참고로 쓸려구요.. 부탁합니다..... 도덕시간에... 제일 잘해주시는분게 내공 50을.. 다른분에게는 감사내공을...

중1학년 도덕 도산의 4대정신

중1학년 도덕 인격을 갈고 닦는길 필기하다가요 도산의 4대정신을 필기해야하는데 그게... 4월 17일까지 답변해주세요 내공20!! *무실 (務實) -'참되기를 힘쓰자', '진실을...

(1학기) [내공80]

... 도덕 시험범위가 원효같은 인물사전에서부터 136p인가 그까지인데... 요약좀해주세요 제일잘하신분 1명에게 내공 80줄테니까 요약좀해주세요 그거보고 외울려고요....

[내공80] 중1도덕 요점정리

... 시험을 앞둔 중1입니다. 도덕 공부를 위해 도덕교과서를... 내공냠냠 사절 1. 친족 간의 왕래와 교류 (1) 친족 간에... 나이와 학년으로 선후배를 구분함 (2) 학교 생활과...

중1학년2학기 도덕 중간고사 잘치는법

... 도 덕 잘 하는 법 좀 갈켜주세요 빠른 답변 부탁 드려요;; (요점 정리도 해주신다면 ㄳ) ↕ 내공 80 드림!!채택과... 저는저점수 기말고사 예전꺼 6학년때 ㅋ ㅎㅎ힘내세영

중1학년 도덕이요... 답변 꼭!!!!!!!!...

... 셤이 별로 안남은 상태라서..> 내공 10이요 체택 해드립니다♡ * 법은 최소한의 도덕이다. 이 말은 말 그대로 법은 작은 범위의 도덕이란겁니다 우리가 엄마한테 대들었다고...

중1도덕 내공 80

도덕적이신분들 도와주세요 1. 어릴 적 배우지 못한 지식이 못내 아쉬워 늦어서 공부를 시작하셨는데 진심으로 갈망하던 지식을 배우니 그런 것입니다. 2. 위기지학입니다....

장군에 대해 알려주세요(중1 도덕) 내공80

제가 도덕 숙제로 위인들에 대해 알아와야하는데요 저는 이순신 장군으로 정했어요 내용을 외워야 하니 쉬우면서도 약간 길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중1학년 도덕 요점정리. 빨리빨리 ㅜㅜ

77~136p까지 해주세요 내공50검 도덕 1.청소년기의 모습 (1) 삶의 단계로서의 청소년기 ① 부모의 보호로부터 독립하려는 시기 ② 아동도 성인도 아닌 주변인의 시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