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갑자 동방석에 대해 알려주세요.

삼천갑자 동방석에 대해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3.07.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천갑자 동방석에 대해 궁금합니다.

18만년을 살았다고 하는데요

전해오는 이야기두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三 : 석 삼
千 : 일천 천
甲 : 첫째 천간 갑
子 : 아들 자
東 : 동녘 동
方 : 모 방
朔 : 초하루 삭

《한서(漢書)》의 〈동방삭전(東方朔傳)〉에 나오는 말이다. 전한(前漢)의 무제(武帝:BC 156∼BC 87)는 인재를 구한다는 소식을 천하에 공포하였다. 이에 제(齊)나라 사람인 동방삭은 대나무 한 짐에 글을 써서 무제에게 올렸다. 동방삭의 글은 내용이 많을 뿐만 아니라 필체도 당당하여 읽는 데 두 달이나 걸렸다. 동방삭은 해학과 변론에 뛰어났고,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었기 때문에 죽지 않고 장수하였다 하여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불렀다. 그의 해학과 재치는 언제나 무제를 즐겁게 해주어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때로는 무제의 사치와 부국강병책에 대해 간언하는 등 결코 단순한 익살꾼은 아니었다.

다음의 일화도 있다. 삼복 더위에 무제가 신하에게 고기를 하사하였는데, 이를 나누어 줄 관리가 오지 않았다. 동방삭은 기다리다 못해 칼로 고기를 베어 가지고 갔다. 이 사실을 들은 무제는 동방삭을 불러 물었다. 동방삭은 "황제의 명을 기다리지 않고 베어간 것은 참으로 잘못입니다. 그러나 고기는 한 점밖에 베어 가지 않았으며, 또한 그 고기는 아내에게 주었으니 인정 많은 처사가 아닌지요"라고 재치있게 대답하였다. 삼천갑자는 3000X60=180000년을 말하므로 동방삭은 18만 년을 산 셈이다. 삼천갑자 동방삭은 장수한 사람을 뜻한다. 서왕모는 중국 고대의 선녀로, 호치(虎齒)·표미(豹尾)의 신인(神人)이라고도 하며,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동방삭의 일화

3천 갑자 동방삭은 장수하는 사람의 대명사라 할 수 있죠.
그 동방삭이 어떻게 해서 3천갑자를 살 수 있었으며 어떻게 죽게 되었는지....

동방삭이 젊었을 때는 욕심이 많은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논에 물을 대는데 남의 논의 물까지도 제 논에다 댔는데, 이 논 임자가 하필이면 점을 잘 치는 장님의 논이었습니다. 이 점쟁이가 이 사실을 알게 되었으니 화가 날 밖에요,그래 손을 꼽아 점을 쳐보니 동박삭이 죽을 날이 가까웠습니다.이에 점쟁이는 혼자 중얼거리기를 "동방삭이란 놈 그냥 놓아 두자, 며칠 아니면 죽을 놈이니..."했습니다.
그런데 마침 이 소리를 동방삭이 듣게 되었습니다.약싹 빠른 동방삭은 그 당장에 점쟁이에게 극구 사과하면서 더 살 길이 있으면 알으켜 달라고 애걸했습니다. 이에 점쟁이는 "어디 한번 점쳐 보자" 하고는 또 손을 꼽아 보고는 "사흘 후 야삼경에 어느 다리 밑에 밥 세그릇하고 짚신 세켤레하고 무명 석자 세치씩 끊어서 감발을 만들어 짚신 위에다 놓아 두고 숨어 있다가 행인 셋이 나타나거든 밥을 대접하고 짚신과 감발을 주어보라"
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동방삭은 점쟁이가 일러준대로 준비해서 그날밤 그 다리 밑에 가 숨어있었습니다. 한밤 중이 되자 과연 행인 셋이 나타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다리 중간 쯤에 오더니 다리 위에서 쉬면서 투덜대기를, "배도 고프고 짚신도 다 떨어지고 감발도 다 헤어졌으니 쉬었다나 가자." 하면서 말 끝에 "얼마나 가면 동방삭이를 찾을까?" 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행인 세 사람이 바로 자기를 찾고 있는 것이었죠. 동박삭은 점쟁이가 가르쳐 준대로 밥과 집신과 감발을 들고 나가서 그들을 대접했습니다.
행인 세 사람은 밥을 먹고 동방삭 보고 "자넨 누구데 이렇게 우리한테 대접을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동박삭은 "저는 재 넘어에 사는 동박삭이라는 사람인데 길 가는 사람이 배고파하면 밥을 주고 신이 떨어지면 신을 주곤 하는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세 행인은 동방삭이라는 말을 듣자 깜짝 놀라며 "이 일을 어쩌면 좋지?" 하며 숙덕거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그 중 한 사람이 "자네 밥 까지 얻어 먹었으니 어쨌든 우리하고 함께 가자"하면서 동방삭을 데리고 가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기실 이 세사람은 저승에서 동방삭을 잡으러 온 저승사자였습니다.
동방삭의 명이 다해 잡으러 왔던 것이죠.
그런 줄도 모르고 동방삭은 그들에게 끌려 갔습니다.
동방삭을 끌고 간 사자들은 동방삭에게 밥과 짚신과 감발을 얻은 은혜를 생각해서 명부를 갖고 있는 판관이 잠 든 틈을 타서 동방삭의 이름 밑에 30으로 된 것을 3천으로 고쳐 놓았습니다.
이윽고 염라대왕이 동방삭을 재판할 때가 되었습니다. 대왕은 명부를 가져 오라 해서 명부를 보았죠. 그리고 동방삭의 명부 밑에 3천이라 써 있는
것을 보고 말했습니다.
"네 명이 30이 아니고 3천이니 올 때가 아니다. 더 있다 오너라."
이래서 저승에 갔다 돌아 온 동방삭은 마음을 고쳐 먹고 착하게 살았고 삼천 갑자를 살았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명이 다 되어 저승에 가게 되었는데, 워낙에 오래 살아서 사자들이 동방삭을 알아 볼 도리가 없었습니다. 이에 염라대왕은 꾀를 내어 사자를 이승에 보내서 강물에서 돌에다가 검은 숯을 갈게 했습니다.
그때 동방삭이 거기를 지나가다가 숯을 돌에 갈고 있는 것을 보고 하도
이상해서 "어째서 돌에다 숯을 갈고 있는 거요?" 하고 물었죠.
그러자 사자는 "이 돌을 숯으로 갈아서 하얗게 하려고 갈고 있는 거요"
하고 대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동방삭은 하도 어이가 없어서 무심히 내뱉었습니다.
"허,이런,내 3천 갑자를 살았어도 돌을 희게 한다고 숯으로 가는 놈 처음
보네 그려!"
이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오 네가 바로 동방삭이구나!"하고 그만 저승으로 잡아갔다고 합니다.
일설에는 지금 서울의 한강 지류인 탄천(炭川)은 바로 동방삭을 잡으러 온 사자가 숯을 갈던 곳이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하더군요.

삼천갑자 동방석에 대해 알려주세요.

삼천갑자 동방석에 대해 궁금합니다. 18만년을 살았다고 하는데요 전해오는 이야기두 궁금합니다. 三 : 석 삼 千 : 일천 천 甲 : 첫째 천간 갑 子 : 아들 자 東 : 동녘 동 方 : 모 방...

한 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 제가 기억하기로는 이렇습니다. 배 수한무 거북이와 두리미 삼천갑자 동방석 치치카프 사리사리 센터 워리워리 세브리카 허리케인의 담벼락 서생원에 바둑이 고양이의 돌돌이

올리는 방법을 알려주세요(100성까찌)

... 삼천의 도군부 능력치 올리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107~112성 ■ <1갑자까지> 참고로 113은 112성에서 10% 되면... 이제 전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십이지천이...

김 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 제발 알려주세요.그리고 정확한 음 알려주세면 더 좋고 그리고 가사 제데로 맞을 알려주세요!!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석 치치카포 사리사리센타 워리워리...

현대판타지소설 제목좀 찾아주세요

여주인공은 어떤그룹 딸 이고 남주인공은선과라는걸 여주인공 백화점에 납품합니다 그렇게해서 스토리가 전개되는데 제목을 알려주세요 삼천갑자 동방석 같네요....

향두가 가사 좀 알려주세요.

... 애애야 삼천갑자 동방석은 18만 년을 살았는데, 요네 나는 백 연도 못 살아. 구름도 쉬어 넘고 날짐승도 쉬어 가는 깊은 산의 으슥한 골짜기를 어찌 갈까? 노인들의 말을...

특이한 이름 좀 알려 주세요 급해요!!

... " 온새 " 이성에 맞는 이쁘고 특이한 이름 위에 있는 것들을 참고하셔서 알려주세요..... 두루미 삼천갑자동방석 치치카파 사리사리센타 워리워리 세푸리깡 허리케인에...

속담의 의미 알려주세요!!!!

마당 쓸고 돈 줍기 때리는 시늉하면 우는 시늉한다 빠진 도낏자루 삼천갑자 동박삭이도... 즉 첩과 싸우다가 요강을 깨먹은데 대해 요강장수는 요강팔러오고.. 둘이서 싸우는데...

우리나라 신화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 특정지역에 관련된 신화좀 알려주세요 이왕이면... 삼천갑자 동방삭 '탄천' 은 성남시의 중앙부를 남에서... 능에 대해 그 농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었다....

신화 (역사이야기) 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 신화 좀 알려주세요.... 주몽, 온조 같은 거 말고...... 삼천갑자 동방삭 '탄천' 은 성남시의 중앙부를 남에서... 능에 대해 그 농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