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롱차 이름의 유래

우롱차 이름의 유래

작성일 2003.05.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롱차 이름의 유래 ^&^

까마귀가 녹차입을 먹고 용이 되었다고 하던데 자세한 이름의 유래를 가르쳐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롱차라는 이름은 어떻게 생겼나?

우롱차의 명칭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복건성(福建省) 사현(沙縣)지역에서는 차가 재배되고 있었는데 자주 검은색 뱀이 나타나 사람들을 놀라게 해 차잎을 따는데 방해가 되곤 하였다. 어느 날 차잎을 따던 아가씨가 검은 뱀이 나타났다고 소리치며 도망가자, 한 노인이 말하기를 “뱀이 아니라 소룡(小龍)이다. 소룡은 신(神)이니 사람을 해하지 않는다. 차밭은 보호해주러 온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후로 이곳 차를 흑사차(黑蛇茶)라고 하였다. 이 흑사차는 맛이 일품이었지만 차 이름이 고상하지 않았기 때문에 복건말에서 오(烏)와 흑(黑)이 동음이 나므로 동음 글자로 바꾸어 흑사차를 오룡차(烏龍茶), 즉 우롱차로 변화시켰던 것이다. 포장 잘한 물건이 더욱 잘 팔린다고 차도 이름이 좋아야 잘팔린다는 것을 알았던 것일까.


오룡차

명말 청초기 복건성 안계현에 용이라는 사람이 깊은 산골에서 사냥과 차농사로 살았는데 얼굴이 검어서 오룡[烏龍]이라 불렀다한다 하루는 사냥 나갔다가 늦게 돌아와 사냥감을 가족과 함게 맛있게 먹고 모두 피곤한 탓에 그만 잠이 들고 말았다 다음날 일어나 보니 따다둔 차 잎이 변색되어 발효가 되어가고 있었다 서둘러 차를 만들어 맛을 보니 이전에 생잎으로 만든 것 보다 훨씬 향이 좋았다 그 이후로 반쯤 발효를 식혀 차를 만들어 내다 팔았는데 오룡이라는 사람이 만든 차라서 오룡차라 이름하였다.

오룡차는 홍차와 녹차의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갖춘 특별한 풍미를 지닌 차로서 외관은 녹차나 홍차 보다 크게 잘 말려져 있으며 발효의 정도는 10%-60% 에 따 녹갈색에서 홍색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탕색을 나타내고 그 맛의 변화도 다양하다 물에 우린 오룡차의 찻잎을 보면 빨간 색과 푸른 색이 함게 나타난다 빨간 색은 발효 된 것을 말하고 푸른 색 부분은 발효가 녹차와 같이 전혀 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찻잎이 발간 색쪽에 가까울수록 많이 발효 된 오룡차로 보면 된다.

오룡차의 발효 정도가 가벼울수록 향기가 강한 것이 특징이고 많이 발효할수록 쓰고 떫은 맛이 적어진다 모든 오룡차는 자연적인 화향[花香]과 과향[果香]이 배어있으며 우려낸 차는 진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며 그 향기가 오래도록 지속되어 독특한 뒷 여운이 오래동안 입 속에 남으며 수색도 발효의 정도에 따라 연한 녹색에서 연한 홍색까지 여러 가지 색이 있다 오룡차는 녹차들처럼 어린 찻잎을 따지 않고 다 자란 찻잎을 딴다 이것은 다 자라서 펼쳐진 찻잎만이 오룡차[烏龍茶]의 독특한 향기와 맛을 제대로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오룡차는 맛보다 향이 중시되기 때문에 만들 때 쓰고 떫은 맛은 가볍게 하고 산뜻한 꽃향을 갖도록 하며 화학 성분상으로는 아미노산류가 적고 카테킨의 일부가 산화 중합되어 수색이 황갈색에서 홍갈색을 띤다 대체로 기온이 높은 고산 지역에서 생산된 오룡차는 수색,맛과 향이 강하기에 품질이 좋으며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찻잎의 방향성분이나 이들 유도 물질이 많이 생겨 차의 향이 강해 진다 많은 오룡명차[名茶]들이 해발 1500-2000m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오룡차는 주로 복건성[福建省],광동성[廣東省],대만성[臺灣省] 등지에서 생산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대체로 지역에 따라 민남오룡[ 南烏龍]과 민북오룡[ 北烏龍]대만오룡[대灣烏龍] 등 세 종류로 나눈다

1) 민남오룡차

민남은 우룡차의 발원지로 여기서부터 민북,광동성, 대만등의 여러곳으로 전파되었다.민남에서 나는 오룡차로 가장 유명한 것은 안계[安溪]의 철관음 [중발효]이다 안계오룡차의 양대 명 차인 철관음[鐵觀音]과 황금계[黃金桂 중발효]는 동남아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그 명성이 높아 많은 차인들이 사랑을 한다

2) 민북오룡차

무이산[武夷山]일대에서 생산되는 오룡차는 모두 민북오룡에 속한다 대표적으로 무이안차[武夷岩茶],민북수선[ 北水仙]과 민북오룡등이다 그 중에서 무이암차는 가장 이름 있는 차로서 암수선과[岩水仙]과 암기종 [岩奇種] 두 종류로 나뉘고 또 기종은[奇種]은 명종기종[名從奇種]과 단종기종[單 奇種]으로 나뉜다 .

대홍포 [大紅 /중발효], 철라한[鐵羅漢/중발효], 백계관[白鷄冠/중발효] 수금귀[水金龜/중발효]등을 가리켜 사대 명종이라고 부르는데 과거 제일 유명한 것은 대홍포이며 지금은 육계[肉桂/중발효]가 그 자리를 차지한다

3) 광동오룡차

광동성에서 생산되는 주요 오룡차는 봉황단종[鳳凰單種], 봉황수선[鳳凰水仙 중발효], 색종[色種] 등이 있다

4) 대만오룡차

대만오룡과 대만포종이 있는데 이는 제다 중에 푸른 잎을 시들게 하는 과정인 위조[萎凋]정도 여하에 따라 오룡,또는 포종[包種] 으로 나누어 부른다 심하게 위조된 것은 오룡 가볍게 위조 한 것은 포종이라 한다

대만포종은 발효정도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녹차처럼 잎이 푸르고 탕색은 노랗고 차 맛도 녹차와 유사하나 향이 무척 강하다 따라서 포종차의 청향[淸香]한 맛이 강하기에 청차[淸茶]라고 도 부른다 이에 반에 중반발효 차로써 홍차의 특징을 많이 나타나는 대만의 고급 오룡인 백호오룡[白毫烏龍]은 백호가 덮인 어린 차 싹으로 제조한 것이다

찻잎이 붉고 아름다우며 향이 빼어나서 일명 동방미인[東方美人]이라고 도 한다 대만 오룡차 중에 품질이 좋고 유명한 것은 가볍게 위조된 문산포종[文山包種]인 청차와 심하게 위조된 백호오룡이 있다 리산오룡도 유명하다 오룡차의 종류가 무척 많고 다양하기에 일일이 열거 할 수가 없다

우롱차 이름의 유래

우롱차 이름의 유래 ^&^ 까마귀가 녹차입을 먹고 용이 되었다고 하던데 자세한 이름의 유래를 가르쳐주세요 우롱차라는 이름은 어떻게 생겼나? 우롱차의 명칭은 어떻게...

중국 우롱차

... 우롱차 라는 이름은 차잎이 까마귀 깃털처럼 흑갈색으로 보이고 용처럼 굽은 모양을 하고있는 것에 유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우롱 차의 용은 황제를...

아리산차 우롱차 (내공100)

... 우롱차(오룡차)의 명칭은 그 빛깔과 외형에 의해서 유래된 것이고 경발효 우롱차는... 낯익은 이름들입니다. 아울러 말씀드리자면 무이암차를 대표로 하는 중발효 우롱차는...

발효의 차이로 녹차, 우롱차, 홍차가...

... 우롱차, 홍차의 잎이 모두 틀린 건가요? 차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색(色), 향(香), 미(味)가 달라지고 또 이름도... 돈차는 삼국시대부터 유래된 것으로 이러한 차들 은 먹을...

영국의 홍차 유래가 궁금해요?

영국의 홍차 유래가 궁금해요? 유럽에서는 오랜 시절 부터... 영국인들은 녹차 중에서도 중국산 우롱차에 매력을... 물어 넣고 불리면 그 색이 진한 갈색이나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마시는 차의 종류와 유래를 알려주세여

제가 차에 대해 조사하는데 잘모르겠어여 차이름, 유래를 답변해주세여 마시는 차의... 차는 제조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홍차·우롱차로 나뉜다. 어떤 차를...

우라나라 전통음식(종류,유래)알려주세요.

학교에서 ppt로 우리나라 전통음식유래와 종류 알아야 숙제... 같은 이름으로 요정을 하던 음식 솜씨로 유명한... 마시는 우롱차, 홍차가 있다. 김치의 한 종류인 동치미. 김치는...

복건차

... 이름의 유래를 가르쳐주시면 고맙겠고 복건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까지 가르쳐... 우롱차(烏龍茶) 중국 북건성 북부의 무이산에서 생산이 되며, 무이암차(岩茶)라고도...

중국

... 9) 톄관인차(鐵觀音茶) 우롱차의 일종으로 푸쩬성이 특산지이다. 주로 차오저우... 4.중국의 황실에서 마시던차 茶의 황후, 용정차 중국 녹차의 대명사인 용정차 이름의 유래...

일본 술이름- -ㅋ

일본 술이름 부탁드려요 일본어 표기하시고- -;한글로... (발효되었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④아츠캉 전통... 또한 우롱차를 섞어서 마시는 사람도 있다. 대개는 얼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