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학교 하고 한국학교의 교육방식이 다른점 내공다르려요!

미국학교 하고 한국학교의 교육방식이 다른점 내공다르려요!

작성일 2009.05.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미국학교 하고 한국학교의 교육방식이 다른점 내공다르려요!  저도 지금 미국에서 지내고있지만 미국학교하고 한국학교하고 교육방법의 다른점을 좀 구체적 하고 깊게알고싶어서요.... 저도 대충은 알겠지만 몬가 부족해서요!! 길면 길수록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살다오신분이나 유학중인 학생들여러분의 생각이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내공은 구체적으로 적은 분께 드리겠습니다!)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미국 학교와 한국 학교는 물론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이 차이점을 꼽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학교는 학생들의 책임이 더 크다.

 

한국 학교는 학교 담임선생님이 학생들이 성적이 안나오면 닥달하고 잔소리하고 심지어는 체벌도 서슴치 않지만,

미국 학교는 그런 것이 비교적 적습니다. 학생이 공부를 안하면 그 결과에 맞게 F 를 받고 그에 대한 댓가는 학생이 모두 책임을 지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학생이 학교의 규칙을 어기면 그에 상응되게 처벌을 받습니다.

 

2. 미국 학교는 법에 더욱 민감하다.

 

미국은 고소의 국가 입니다. 뭐만 일어났다 하면 고소를 하지요. 마찬가지로 학교 입장에서도 부모님한테 고소 당할까, 선생, 스텝한테 고소당할까 고민이 많습니다. 그래서 한국 학교에 비교해서 무엇이든지 문서화 시켜 놓으려고 하고, 또 예외를 없게 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한국에서는 선생님이 그냥 눈감아 넘어갈 수 있는 것들은 미국 선생님들은 나중에 고소 당할 수 있으므로 그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이죠.

 

3. 미국 학교는 거짓말에 굉장히 민감하다.

 

미국은 계약 국가 입니다. 말 한마디, 약속 하나가 큰 영향력을 갖죠. 따라서 거짓말을 했을 경우, Cheating 을 했을 경우에 그 댓가는 상당합니다. 예를 들면 한국 학교에서는 어떻게 보면 큰 문제가 아닌 컨닝 ( cheating 이 맞는 표현이지요 )은 미국 사회에서는 퇴학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규칙위반입니다. 마찬가지로 선생님한테 허위 사실을 말했을 경우, 숙제등을 그냥 어디서 복사 해다가 냈을 경우등의 행동으로 선생님의 신뢰를 잃게 되면

다시 만회 하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아래는 미국 공립, 사립학교의 특징과 비교에 대해 쓴글이니 참고하세요!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주에는 각각 교육부가 있고 이곳에서 제정된 방침이나 제도의 지침을 바탕으로

    각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학교 예산 편성, 교직원 채용, 스쿨버스 운행, 건축 or 증축등을 실제로 관리 운영합니다.

    교육위원회는 주민이 뽑은 5~7명의 위원으로 이루어지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초,중,고교를 관할하는등 다양합니다.

 

   

     의무 교육 기간은 각 주의 교육구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4년제 고등학교의 졸업을 의무화 하지 않고 있기때문에

    예를 들어 16세 이상의 학생이 고등학교를 더 이상 다니기를 싫어할 경우 저지할 법적인 수단은 없습니다.

    공립학교는 킨더가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구성되며 그 학구에 거주하는 사람은 누구나 입학할 수 있습니다.

 

 

     학교 예산은 주민이 지불하는 지방세, 연방정부(State)의 보조금, 기업의 기금(기부) 형태로 구성이 되며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넉넉한 지역의 학구일수록 교육 예산의 비율도 높고 이는 학생을 위해 쓰여지게 됩니다.

 

   

     미국 학교는 9월에 시작하여 6월에 끝납니다. 9월 입학생은 4,5월 경이면 입학 수속이 끝나 입학에 관한 결정이 나며

    따라서 다른 학생들과 같이 신학기를 맞이하는 편이 학생의 정신적 부담을 줄이고 학교에도 선호하기도 합니다.

    편입의 경우는 어느 학년에 들어가느냐가 학생 및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최종적으로 교장이 결정합니다.

 

 

     1. 입학 신청서

       : 학교의 소정 양식으로 부모 또는 합법적인 보호자가 서명하여 제출

     2. 출생 증명서(birth certificate) 또는 여권(passport)

     3. 영문으로 된 예방접종 증명서 (immunization history)

       : 한국에서 받은 접종이 주의 규정에 충족되지 않을 때는 입학 신청후 30일 이내 다시 제출

     4.건강진단서 (medical report)

       : 학구 모든 학생에게 건강 진단을 의무화하며 제출하지 않으면 일부 수업에 참여 불가

     5. 영문으로 된 전 학교의 재학 및 성적 증명서(Transcripts)

     6. 주거 증명서 (임대계약서, 매매 계약서등)

     7. 유틸리티 빌(Utility Bills)

 

 

     성적표는 학구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면서 연 3~4회 가정으로 발송됩니다.

    학부모와의 면담은 초등학교의 경우 교사가 성적표의 평가나 아이의 학교에서의 활동을 전하고

    부모와 서로 대화를 하지만 대게 중학교 이상에서는 정기적인 면담이 없기 때문에 별도로 신청됩니다.

 

 

     1. 학교 시간대 (School Hours)

        학생은 아침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점심후 오후 1시 전에는 교실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수업시작 종이 울릴때까지 안뜰, 현관 앞등 지정장소 또는 복도에서 기다리게 됩니다.

     2. 교과서 (Textbook)

       학교에서 제공하므로 구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학교의 소유물이므로 커버를 씌워 깨끗이 사용하고

      교과서에다 글씨를 쓰거나 낙서를 해서는 안됩니다. 집에는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파손하거나 잃어버렸을 경우 벌금을 물리고 그 밖 학용품은 교사가 지정하는것을 별도 준비합니다.

     3. 결석 (Absense from School)

       등교하지 못할 경우는 오전 9:00~9:15 사이에 학교 보건실에 결석 사유를 전화로 알립니다.

      전염병의 경우 반드시 보고해야하며 이때 보건실에서는 다른 학부모들에게도 그 사실을 알립니다.

     4. 조퇴(Early Dissmissal)

       긴급시의 조퇴에는 부모가 서명한 문서를 학교 사무소에 제출하든가 부모가 직접 보건실로 찾아와서

      아이를 데려갑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아이가 혼자서 학교를 떠날 수는 없습니다.

     5. 스쿨버스 (Schoolbus Information)

       학교에서 1.5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은 지구 재정으로 운영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버스 비용은 무료이며 정해진 거리보다 가까이 사는 아이들도  이용할 수 있는 유료버스가 있습니다.

     6. 스쿨 퍼포먼스 (School Performance)

       교과 과정의 일환으로 학생들은 소풍, 연주, 연극등 학교에서의 여러가지 공연(Performance)에 참가하게됩니다.

     7. 소풍 (Trips)

       학생은 미술관, 동물원등을 학교에서 전세낸 버스로(입장료, 교통비등은 학생부담) 방문합니다.

      이 경우는 미리 아이를 통해 학부모에게 참가허가서를 보내므로 참가 여부 서명을 해서 학교로 되돌려 보내며

      보호자의 서명이 없으면 학생은 소풍에 참가할 수 없습니다.

 

 

     미국 현지에서 태어난 사람이 아닌 이상 영어실력이 모자란것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학생을 LEP(Limited English Proficient) 학생이라 하며 이러한 학생의 영어 지도를 위해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과 바이링걸(bilingual) 교육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1. ESL 프로그램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Program)

       ESL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의 특별지도를 위해 공립학교에서 널리 쓰여지고 있습니다.

      최근엔 대다수의 사립학교 안에도 이러한 LEP 학생을 위한 ESL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 한국 학생이 받고 있는 것이 ESL 프로그램입니다.

         - Test : 학생은 입학과 동시에 또는 1주일 이내에 ESL 교사와 면담을 하게 됩니다.

                     이때 언어 평가 테스트를 받고 ESL의 어느 단계에 들어갈 것인가가 결정됩니다

         - Leveling : Level 1, 2, 3의 세단계로 나뉘어지며 보통 Level 1부터 시작합니다.

         - Learning Time : 중고등학교 초기 단계에서는 거의 대부분 ESL 학급에서 보냅니다.

         - Graduation : 졸업은 시험 성적과 읽기 Test, 담당 교사의 평가 결과로 결정됩니다.

            ※ ESL 교육을 받는 기간은 연령, 학생의 능력에 따라 큰 차이가 있기에 기간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2. 바이링걸 (Bilingual) 교육

        교육의 내용은 영어로 하는것을 기본으로 하고, 기초과목 지도에는 영어와 모국어를 동시에 쓴다는 것이며

       뉴욕에서는 한 학년에 모국어를 사용하는 LEP 학생이 20명이 넘을경우 이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지도 내용은 영어를 빨리, 바르게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한 음성학의 지도, 어휘를 늘리는 지도등이 있고

       대부분의 한국 학생은 수업을 받으면서 하루중 일정 시간을 ESL 프로그램과 바이링걸 보충수업으로 보냅니다. 

         - 모든 과목을 영어와 모국어 (2개 국어)로 가르치는 것을 말합니다.

         - 영어로 행해지고 있는 수업지도를 따라갈 수 있을때까지의 기간동안 모국어로 도우면서 진행합니다.

 

 

     중학교는 6학년 또는 7학년부터 시작하는 학교도 있으며 중학교 1,2,3 학년이라 하지 않고 6,7, 8학년이라고 합니다.

    학교의 명칭 역시 Junior Highschool, Middle school, Intermediate school과 같이 학교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홈룸의 시간을 갖으며 1교시 수업 전에 홈룸에서 담임교사와 10분정도 이야기를 나눈 뒤

    각기 스케줄에 맞추어 각 시간마다 각 교과의 교실로 향하는 한국의 대학과 같은 수업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학교의 성적은 교과 담당 교사에 의해 평가됩니다.

    학습태도, 생활태도등의 평가가 교사 의견란에 나타날 수도 있지만 교사에 따라 방법이 다릅니다.

    

 

 

     고등학교는 수업 이외에 클럽(축구, 풋볼등)이나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에 상당히 큰 비중을 두고 있듯이

    학교에 따라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9~12학년까지이며

    통상 무시험으로 진학하지만 대부분은 일정 학점(Credit)을 취득하고 시험을 통과해야 졸업할 수 있습니다.

     1. 학기(semester) : 1학기(8월 말~12월), 2학기(1월~6월)

     2. 학년 : 9학년(Freshman), 10학년(Sophomore), 11학년(Junior), 12학년(Senior)

     3. 고등학교에는 가디언스 기관(Guidance Office)이 있으며 학생과장(dean)이나 카운셀러(Councellor)라

         불리는 교사가 학생의 적성에 따라 이수해야 할 과목이나 대학 진학에 필요한 과목을 지도하며 이는

         4년동안 학생의 담당 교사가 되며 상담자 역할을 합니다.

     4. 고교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27 학점(Credit) 또는 2100점 이상의 시험 성적이 필요합니다.

        한 과목에 따라 1년동안 수업 받은 뒤 얻는 학점이 1 또는 0.5학점이며 학점이 부족할경우

        방학캠프(Vacation) 동안 학점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5. 졸업시험 : 일부 주에서는 특별한 졸업 시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텍사스주의 학생은 조지 부시 대통령이

       TX 주지사로 있을 당시 만들었던 텍사스주 졸업 자격시험(TAKS)에  합격해야만 졸업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사립학교는 통상 'Indivisiul 혹은 Independent School'이라 부릅니다.

    같은 주 내에서 교육구의 통제를 받아 균등한 교육을 실시하는 공립학교와는 대조적으로 각 사립학교들은

    독자적으로 교육과정을 실시합니다. 이는 주 정부(교육구)의 지원을 받지 않고 학생으로부터 수업료, 시설비등을

    받으며 졸업생 또는 기업체등의 기부에 의해 독립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운영에 있어서도 정부로부터 완전히 독립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교육 관계 법규는 공립학교만을 규율할 뿐,

    사립학교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립학교는 주정부가 정한 교육과정을 준수할 의무가 없으며, 교원의

    채용이나 해고, 또는 학생의 선발에 있어서도 완벽한 자율을 행사합니다. 이러한 운영으로 인해 사립학교 설립자나

    설립단체의 교육철학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교육을 할 수 있고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교과과정을 답변확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1. 사립학교는 종교와 관계 있는 학교(대다수), 대학 진학을 염두한 프레프스쿨, 예술계에 중점을 둔 학교,

         밀리터리 스쿨, 외국인을 위한 국제학교등으로 나뉘며 남자학교, 여자학교, 남녀 공학등으로 구분됩니다.

     2. 이 밖에 기숙사제도의 학교도 있지만 해마다 그 수가 줄고 있고 교복을 입는 학교도 없어지는 실정입니다.

     3. 모든 학생에게 균등한 교육을 제공하는 취지의 공립학교 비용은 일체 무료로서 나라가 부담하고 있는데 반해

         사립학교는 연간 최소한 수천달러에서 수만달러가 넘는 비용을 부모에게 부담시킴으로 웬만한 수입으로는

         자녀를 사립학교에 보내기 어렵습니다.

     4. 사립학교마다 장·단점이 천차 만별이므로 자기 아이를 위해 어떤 사립학교를 택해야할지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 학교의 종류 (공학 여부, 종교, 특색, 교풍등), 학교 수업 내용, 분위기, ESL의 유무, 학비등 비용

 

    따라서 이 협회에 가입되어있는 사립학교들은 좀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이 협회에 소속된 사립학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미국 사립학교의 평균적인 모습'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립학교는 대도시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는 경우가 드물며

    학교내 기숙사 시설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수한 교육 환경과 교사 1인당 적은 학생수로 우수한 커리큘럼의 장점을 갖게 됩니다.


    또한 일부 공립학교에서는 유학생들에게도 입학을 허가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한국 학생들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 사립학교로 입학을 하게될 것이며

    엄밀히 따지면 외국인 학생들은 공립학교의 입학 대상이 아니기에 입학이 허가되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사립학교에서는 적합한 시험준비 방법 등도 중점적으로 교육하는등

    대학진학을 위한 여러 가지 보완적인 과정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학부모님들이 대도시에 위치한 학교들을 선호하지만

    일부 이런 곳은 오히려 지나친 상업적 학교운영으로 얼룩진 바 학생들에게 바람직하지 않으며

    학생들은 최적의 교육환경을 지닌 학교를 선택함으로 마음껏 공부하고 심신을 단련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학교의 위치와 크기

       2. 교과 과정과 과외 활동

       3. ESL COURSE의 유무

       4. 교사와 학생비율, 학급의 규모

       5. 한국 학생수

       6. 남녀공학 여부

       7. 대학 진학률

       8. 학교 규정

       9. 외국 유학생 입학사정 기준

      10. 외국 유학생 관리

 

 

    
       1999-2000년에 이뤄진 미국 교육부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는 현재 약 27,000개의 사립초중고학교가 있고,

     여기에서 약 40만명의 선생님들이 약 530만명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전체 학교 수에서 사립학교는 약 27%,

      학생 수에서는 약 10%, 선생님 수에서는 12.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표> 미국의 공립학교/사립학교 비교

        

<출처 : 미국 교육부, 1999-2000년 조사>


       미국의 사립학교들은 종교적인 배경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카톨릭과 기타 종교 계통을 합할 경우 학교

      수에 있어서는 78.5%, 학생 수에 있어서는 84%, 선생님 수에 있어서는 75.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표> 미국 사립학교 분류

         

<출처 : 미국 교육부, 1999-2000년 조사>

 

  

     1. 전교생의 숫자가 작음

        공립학교의 경우 평균 학생수가 535명인데, 사립학교는 이보다 훨씬 적은 193명입니다.
     2. 학생당 선생님의 비율이 낮음

        학생당 선생님의 비율이 공립학교(15.6:1)보다 사립학교(13.2:1)가 작습니다.
     3. 인종별 구성에서는 사립학교에는 백인들의 비율이 높음

        세계 인종별로 구성을 보면, 공립학교의 경우 백인 63%, 히스패닉/흑인 17%, 아시안 15%의 순이지만,

       사립학교는 백인 77%, 히스패닉/흑인 9%, 아시안 9%의 비율입니다.
     4. 비교적 높은 성적

         평균적으로 볼 때 사립학교의 학생들이 공립학교의 학생들보다 성적이 좋습니다. 이유는 교육 관련법에 적용받는

        공립학교의 경우와 달리 학교 자체적인 운영과 시험, 학생 시험성적의 부여까지 학교 독자적 운영을 하기 때문이며

        많은 비용을 들여 공부시키는 학부모의 입장을 배려한 처사이지만 성적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5. 공부를 시키는 시간이 사립학교가 더 많음

         특히 외국어공부,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는 공립학교보다 확연히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6. 사립고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좀더 밀착된 관심을 보임

 

  

     Bording School은 기숙사가 있는 사립학교로써 전체 재학생 혹은 일부가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학교에 다닙니다.

    한인 학부모님들이 보딩스쿨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여러가지이겠지만 1) 자녀들에게 좀더 우수한 교육기회를

    마련해주기 위해서 2) 부모님이 한국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3) 고등학교에 진학한 자녀 진학지도 할 자신이 없어서등

    다양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보딩스쿨 학비가 웬만한 대학 학비를 웃도는데도 관심은 상당히 높습니다.

 

  

     1. 독립된 생활

        보딩스쿨에 다니게 되면 어떤 경우이건 집에서 학교에 다니는 학생과는 전혀 다른 교육 환경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모든 것을 자신이 결정하고 책임지는 태도를 갖게 됩니다.
     2. 높은 수준의 학업

        모두 그렇지는 않지만, 보딩스쿨은 ‘높은 수준의 학업’으로 유명합니다. 상위랭킹의 보딩스쿨은 미국 명문대 그룹에

       많은 학생들을 입학시키고 있습니다. 또 많은 보딩스쿨들이 오랜 기간 동안의 학생지도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

       진학준비를 체계적으로 시켜주고 있습니다.
     3. 좋은 교육환경

        보딩스쿨의 경우 학생 대 교사 비율이 4:1~8:1의 수준으로 교사와의 관계가 친밀합니다. 또 보딩스쿨 자체가 좋은

       환경에 입지하여 공부에 몰두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높은 수업료를 감수하면서까지 보딩스쿨에 입학한 학생

       들’과 친분을 맺을 수 있습니다.
     4. 다양한 커리큘럼

        보딩스쿨은 다양한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합니다. 승마나, 테니스 같은 스포츠는 물론 엄격한 생활관리를

       통해 흔히 미국 공립교육의 허점으로 지적되는 ‘인성교육’을 보완해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딩스쿨을 유형별로 정리한 것이며 참고로 보딩스쿨협회(=TABS) 또는 보딩스쿨리뷰 사이트를 방문하면

       전세계 보딩 스쿨을 나라별, 알파벳별, 남녀학교별, 연령대별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Religious Boarding School

        School & Church등의 형태로써, 특별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Boarding School입니다,

     2. College-Preparatory Boarding School

        대학입학준비에 치중하는 보딩스쿨을 말합니다. 오랜 기간의 학생지도 경험을 통해 수준높은 카운셀링을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3. 남녀 학생별 Boarding School

         보딩스쿨 중에는 남녀공학으로 운영되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남학생만을 혹은 여학생만을 받아들이는 학교들도

       있습니다. 남녀공학으로 운영되는 곳을 Co-Educational Boarding School이라고, 남학생만을 혹은 여학생만을 받아

       들이는 학교를 All Boys Boarding School혹은 All Girls Boarding School이라고 부릅니다.
     4. Military school

         군대식의 강한 규율을 가진 학교입니다. 유니폼을 입게하는 학교가 많습니다.
     5. Pre-Professional Arts School

         음악, 미술, 공연 등 예술 분야에 재능이 많은 학생들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보딩스쿨입니다.

하고 한국학교의 교육방식이 다른점...

미국학교 하고 한국학교의 교육방식이 다른점 내공다르려요! 저도 지금 미국에서 지내고있지만 미국학교하고 한국학교하고 교육방법의 다른점을 좀 구체적 하고...

미국유학 한국가면 고등학교

... 내공100 안녕하세요 ICNA & ICL 유학센터 진병주담당자 입니다... 졸업하여 미국의 대학교에 입학이 가능합니다 :) 입시과정이 한국과 다르게 4년제이고 영어로 진행된다는 ...

한국학교의 교육방식미국학교의...

한국학교의 교육방식미국학교교육방식의 차이점 좀 알려주세요 https://blog.... com/sky_mama_one 일단 수업을 영어로 한다가 가장 큰 다른점일거고, 이외 외국...

미국 초등학교한국 초등학교의 다른점

오늘 숙제 주제인데 미국 초등학교한국 초등학교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성의 없는 댓글 신고 들어갑니다 내공80으로 드리죠. 빨리요 급해요. 미국 초등학교미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