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작성일 2002.12.12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HTML> Untitled<BODY>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무슨 자격요건이 필요하죠??

 

고등학교 졸업하고나서 바로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어떤 시험같은걸 거쳐야하나요?

 

만약에 고등학교졸업하고 바로간다면 한국고등학교 내신도 들어갑니까? -_-;;

 

중요해서..내공 40걸었어요 -_-;;

 

좋은답변 해주시길...

</BODY></HTML>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HTML> Untitled<BODY>

아직 고등학교는 졸업안했나 보군요?

준비하실려구요?

제가 답변드리죠.

 

우선 말씀드릴수있는건 상당히 복잡하다는 겁니다.

1. 고등학교 내신

2. 고등학교 장,담임,주변인 추천서 및 자기 소개서

3. 엄청난 과외활동

4. 엄청나게 높은 SAT 필요.

 

1- 고등내신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여기서는 크게 튀는게 중요하지않고, 다만 남들이 다 엄청난 성적을

갖고 있으니까 평균만 맞춘다는 식입니다. 대략적으로 1등급안에는 드는게 좋으며,

한국에서 계속 공부를 하더라도 서울대정도 들어갈수있을정도는 되어야 문제가 없습니다.

 

2. 추천서 및 자기 소개서는 말안해도 잘아시리라 믿습니다.

다만 중요한건 실지적으로 하버드 대학의 입학 가능성이 크다면

돈을 많이 들여서라도 많이 알아보는게 좋습니다.

 

3.엄청난 과외활동은 말그대로 성적만이 중요한게 아니라

수업이외에 학교에서 맡은 일등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전교학생회장, 써클의 부장 및 각종 대규모 경시대회 우승자 들입니다.

대부분의 미국 고등학생들은 과외활동에서도 한국에서는 상상도 못할 정도의

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원자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지만 대다수가 떨어지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튀지는 않더라도 보통정도는 가야겠죠?

 

4. SAT-한마디로 말해 어렵습니다. 수학이야 쉽다고 하지만,

문제는 미국 역사나 영어TEST 가 한국인이 풀기에는 상당히 힘들단 거죠.

하바드대의 경우 미국에서 전설적으로 합격률이 낮고, SAT점수는 높습니다.

따라서 SAT는 당연히 높아야죠?

 

하지만 미국 대학입시에서 중요한건 이런것들이 어느 하나 안중요한게 없다는겁니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수능점수 몇점에 당락이 갈라지진 않죠.

그렇지만 어느하나라도 다른 학생에 딸리면 바로 불합격됩니다.

이게 무서운거죠. 어느 분은 서울대 입학보다 하바드입학이 쉽다고

하는데 말도 안되는 무식한 소립니다.

미국입시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나 그런 소릴 하는겁니다.

잘생각해보세요

 

참고로 하버드 대학의 입학성공률은 미국 수천개의 대학중 1위인

12%입니다. 경쟁률은 대충 10:1 정도이고요.

그리고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이

장학금을 신청할 경우 100% 탈락됩니다.

</BODY></HTML>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HTML> Untitled<BODY>

이거 읽어 보시구여..음 잘모르시겠으면여..하버드 생각하실정도면 영어는 어느정도 가능하시

 

겠죠?  그럼 저기 하버드대학 이라고 써있는곳 클릭해보세여^^자세하게 설면되어있어여

 

 

대망의 1997년을 열어가는 1월,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문 대학들을 인터넷을 통해서 탐방할 수 있는 지면에서 360년이라는 오랜 전통을 지닌 세계의 명문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을 방문해 보기로 했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홈페이지는 캠퍼스의 웅장한 분위기로 시작되기 마련인데 반해서 하버드 대학의 Welcome 화면은 기대와는 달리 다소 차분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전달하고 있는 느낌을 받아서 인지 세계적인 대학의 홈페이지 문턱도 역시 높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도 깨야하는 고정관념중의 하나겠지...)

이제부터 종합대학으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고 있는 하버스대학의 이모저모를 살펴보고 시간이 허락한다면 이 대학의 캠퍼스를 거닐며 지난날의 학창시절을 더듬어 보는 신세대 신인류식 여유를 가져보자.

이 대학이 개설하고 있는 인문 과학(Arts and Sciences)관련 학위과정 (Course Catalogs-http://www.harvard.edu/home/course_catalogs/) 이외에 9개의 전공과정이 있다.

경영학과(Business Administration), 치의예과 (Dental Medicine), 디자인학과(Design), 신학과(Divinity), 교육학과(Education), 정치학과(Government), 법학과(Law), 의예과(Medicine) 그리고 공중보건학과(Public Health)이며, 각 학과마다 자체적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입학전형에 관한 정보는 각 학부별로 별도의 입학전형 사무실이 있어서 개별 면담을 해야한다. 그리고 각 학부별 사무실 주소와 담당 교수의 이름은 How to Contact Us 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먼저, 1999년도 [THE HARVARD & RADCLIFFE] 학과의 지원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지원자      입학허가           입학 신청자  -----------     --------     -------------------------  17,847명       2,139명     1612명 (남자:874, 여자:738)입학허가서를 받은 학생들을 소수인종별로 구분한 것을 보면 Asian American     370명 African American   215 Mexican American    71 Puerto Rican        39 Other Hispanic      78 Native American     25         으로 나타났다.입학원서를 낸 1612명이 지원한 전공학과별 자료는 다음과 같다.Social Sciences                     337명Humanities                          382Biological Sciences                 442Physical Sciences                   149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s   153Mathematics                         103Undecided                            46

이 학과들중에서 '하버드대학'하면 우선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학과는 뭐니뭐니해도 법학과과 의예과를 꼽을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법학과와 의예과 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학구열을 불태우며 세계적인 명문으로서의 명맥을 이어가는지 살펴보자.

우선 법학과 사이트를 접속해 보면, 제공하는 정보가 Gopher Menu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이 대학의 모든 자료들이 인터넷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기 이전부터 정보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96-'97학년도 법학과의 학과 일정이 날자별로 소개가 되어 몇월 몇일 몇시에 어떤 스케쥴로 진행되는지까지도 확인을 할 수 있어서 학생 개개인의 향후 1년간 스케쥴 조절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입학 정보에 관한 사항들로 신입생 선발 기준과 학비에 관한 사항들을 알아보자.

법학과 학사과정에 지원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원자의 적성을 파악하고 학업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하는 J.D. Program(joint degree) 테스트를 거쳐야만 한다.

하버드대학에서는 각 분야의 의욕적인 학생층을 원하며 실제로 이 학생들에게 학업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자신있게 언급할 수 있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끝까지 학업을 이수할 수 있을 만큼 강인한 정신력과 학업 의욕을 가지고 있는 적임자인가 아닌가를 시험하는 것이다. 입학 신청서를 제출하는 지원자들에게 마치 이 테스트에서 낙방하면 학위를 받지 못할 것은 당연한 일이니 일찌감치 포기하라는 암시를 주어서 약간 기분을 상하게 만들어 오기를 북돋으려 하는 저의가 있는 것은 아닌지?

솔직히 말하면 지원을 하고 싶은데 미리 '너는 자격이 없다!'라고 낙인찍히면 오히려 더 하고싶은 오기가 생기는 것을 이용한 기발한 충격요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입학원서 쓰는 것도 솔직히 장난이 아니라는 것이 외국 유학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부닥쳐오는 첫 걸림돌이 겠지....

대학 학사과정의 입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이 대학 서무과에서 제공하는 J.D. application 양식을 포함해 모든 신청서류를 매년 2월 1일까지 제출해야만 한다.

'96-97학기(보통 9월부터 6월까지) 과정의 학비와 기타 비용 명세는 다음과 같은데, 몇몇 비용은 옵션제이다.

Tuition 1996-97: 전일제 학생(Full time students)            :  US$21,700*학점(credit)별 특별 학생(1주당 8시간이내)  :      1,356.25대학내 의료서비스 이용료(의무적)           :        654의료보험료(개인)                           :        566    "   (가족 2명)                         :      1,681        "   (가족 3인이상)                     :      2,528헬스클럽 이용료(전일제 학생의 경우)        :          0  <--- 무료       "       (기타 학생)                 :         80       "       (배우자 또는 성인자녀)      :        125       "       (14세이하 어린이)           :         25

기숙사비(Dormitory charges)는 방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8단계의 기숙사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비용은 최저 US$2,995에서 최고 US$8,920까지도 다양하다.

학비에는 교재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일까? 교재비(Course Materials Fees)는 얼마 정도나 되는지 살펴보자.

1995/96년도에 이 대학에서는 17개의 '가을학기 과정'과 7개의 '겨울학기' 그리고 21개의 '봄학기 과정'을 개설했다고 하는데, 이 과정의 학생들이 사용한 교재비 명세는 다음과 같다.

과정당 1000 페이지 이내                :   무료
" 1000 페이지에서 1500 페이지까지 : US$20
" 1500 " 2000 " : US$30
" 2000 " 2500 " : US$40
" 2500 페이지 이상 : US$50
기타 자료 --->입학신청서 비용 :학부 신입생(JD Program)의 경우 : 65대학원과정의 경우 : 60입학 예치금 (Acceptance Deposits) : 500

법학과 석사학위과정은 Master of Laws (LL.M.) 그리고 박사학위 과정은 Doctor of Juridical Science (S.J.D.)로 표기됨을 참고로 알아두기 바란다.

이상의 자료들을 보면서 기가막힐 정도로 합리적인 제도라는 점에서 감탄해 마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사고방식과 교육체제하에서 이러한 명세서가 나올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배울것은 배워서 우리의 교육체계도 선진화의 대열에 들어서야겠다.

하버드대학의 의예과(The Harvard Medical School)는 1782년 9월에 설립되었는데 이것이 미국에서 3번째로 설립된 의과대학이다. 의과대학의 효시라고 하는 첫번째 대학은 1765년에 설립된 필라델피아 단과대학(현 펜실베니아대학)이었으며, 두번째 대학은 1767년에 설립된 킹스단과대학(현 콜롬비아대학) 이었다.

1788년 처음으로 학사를 배출한 것을 시작으로 1811년에는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현재까지 700명 이상의 의사를 배출하였으며, 학과의 특성상 3천명이 넘는 많은 교수와 교직원들이 지금 이시간에도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학업에 매진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의예과 학생들은 풍부한 지식, 재능, 취미 그리고 교양을 갖춘 뛰어난 인격을 갖추고 학문을 이끌어간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55개학부 1999개 학과 학생들의 70%는 생물학(biological sciences)과 자연과학(또는 물리학:physical sciences) 전공이며, 30%는 사회과학(social science)과 인류학(humanities)을 전공으로 하고 있다.

학생의 연령층은 20세부터 45세까지이고 평균연령은 23세이며, 전체 학생의 51%가 여학생이고 49%가 남학생이다.

1934년에 이 의과대학 출신인 George Minot는 내과의학과 생리학 (Medicine and Physiology) 부문의 'Research on liver treatment of the anemias' 연구발표로 최초의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1990년 Joseph E. Murray이 Medicine부문에서 'Developed new procedures for organ transplant' 연구발표로 노벨상을 수상까지 15명의 박사들이 월계관의 영광을 차지하였는데, 수상자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George Minot, 1934, Medicine and Physiology
William P. Murphy, 1934, Medicine and Physiology
Fritz A. Lippmann, 1953, Medicine and Physiology
John F. Enders, 1954, Medicine and Physiology
Frederick C. Robbins, 1954, Medicine and Physiology
Thomas H. Weller, 1954, Medicine and Physiology
Georg von Bekesy, 1961, Medicine and Physiology
James D. Watson, 1962, Medicine and Physiology
Konrad E. Bloch, 1964, Medicine and Physiology
George Wald, 1967, Medicine and Physiology
Baruj Benacerraf, 1980, Medicine and Physiology
David Hubel, 1981, Medicine
Torsten Wiesel, 1981, Medicine
Bernard Lown, 1985, Peace
Joseph E. Murray, 1990, Medicine

노벨상 수상자 명단의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고퍼사이트 (gopher://gopher.harvard.edu:70/00/.courses/MED/main/ About_Harvard_Medical_School/HMS_Nobel_Laureates) 에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 관한 정보들을 충분히 수집한뒤 이들이 걸어온 길을 자신의 목표로 삼아 학업에 매진할 수 있는 기회를 인터넷으로 마련해 볼 것을 충고하고 싶다.

훌륭한 스승밑에서 훌륭한 제자가 탄생한다는 진리는 분명 교육의 힘에 좌우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것처럼 대학과 교수진 그리고 학생의 배우고자하는 열의가 일치할 때 그 성과 또한 대단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특히, 하버드대학에는 한국에 관한 연구의 지원과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The Korea Institute]라는 유일한 비학과 연구단체가 존재하는데, 이 단체는 1975년 동아시아 연구(East Asian Research)를 위해서 The Fairbank Center 후원하에 설립되었다.

현재 Carter J. Eckert 교수가 [The Korea Institute]의 학장으로 일하고 있는데, 그는 하버드대학의 한국역사학전공 교수이다. 한국과 북한에 관련된 현안들을 놓고 전문가회의(The Korea Colloquium)와 격주로 정기적인 세미나가 개최되는데 이에 대한 자료들은 고퍼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정치적 현안이나 주제들만이 아니라 '가야금 연주' 그리고 한국의 역사, 한국 영화계의 항변 등과 같은 내용도 토론의 주제가 된다는 점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한국의 위상과 지리적 위치의 중요성 그리고 한국어의 위대함이 하버드대학에 번져가고 있음은 실로 반가운 사실이다.

* * *

이제 300년 이상의 전통을 간직하고 각 학부의 명예를 중요시하는 하버드 대학의 캠퍼스 이곳저곳을 둘러보며 이 대학의 면학 분위기를 살펴보고, 마치 내가 하버드대학의 학생이 되어 이 교정에 온 기분으로 이 건물 저 건물, 도서관, 그리고 박물관도 기웃거려보고 랩실에도 들어가 보자. (찾아온 용건을 물어보는 무서운 얼굴의 경비아저씨도 없고... 학생증이나 신분증을 제시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으니 이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 ^.^ )

Welcome 화면에서 Map of Harvard University(http://www.fas.harvard.edu/map/) 으로 들어가면 하버드대학의 박물관 및 주요 건물들을 위주로 각 학부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에서 보이는데, 이 지도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건물들이 대학의 건물이며, 회색으로 표시된 건물은 대학 건물이 아니다.

각각의 학부 이름이 쓰여진 위치에서 클릭하면 해당 학부의 홈페이지도 접속할 수 있으며, 이 지도상으로도 이 대학의 캠퍼스가 상당히 방대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리 멀리 돌아갈 필요도 없이 Welcome 화면에서 바로 Alphabetic Listing University Gopher and Web Sites (http://www.harvard.edu/home/alphalist.html)로 들어가면 이 대학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의 목록이 알파벳순서로 나열되어 있어서 한눈에 원하는 자료를 찾아들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The Harvard University Telephone Office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수와 교직원 그리고 학생들의 연락처를 데이타베이스화하여 전화번호, 주소, E-mail 정보를 안내해 주고 있으며, 이름과 E-mail 주소로 검색도 가능한데 대표적인 학부의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다.

     Harvard University           (617) 495-1000      Harvard Business School      (617) 495-6000      Smithsonian                  (617) 495-7000      Radcliffe                    (617) 495-8000      Medical Area                 (617) 432-1000      Student Listings             (617) 493-1000       Telephone Office             (617) 495-1959

대학의 권위주의만을 고집하는 일반적인 전통의 개념을 깨고,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는 선두주자답게 인터넷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이 곳곳에 보인다.

첨단 지식의 산실로 그리고 최고의 인재를 양성하는 수준높은 대학으로의 역할을 다하고자 최선을 다하는 하버드대학 교육 현장의 열의가 지금 이 시간에도 인터넷 통신망을 타고 우리나라의 대학 캠퍼스 곳곳에 전해지고 있으리라 믿는다.

자료..<퍼옴 ^^;>

</BODY></HTML>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HTML> Untitled<BODY>

먼저, '내 공부는 내가 한다(창작시대 출판)'라는 책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보다 차라리 그 책 한권 읽는편이 더 이해하기 쉬우실겁니다.

 

 

민사고 학생들에 관한 이야기인데, 미국 대학 전형에 대해서 매우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제가 지금쓰는건 그 책에서 일부 발췌한 것입니다^^

 

 

 

하버드

 

대학지원시 참고사항

 

 

전형료: 60달러

공통지원서의 사용: 사용함

 

예비지원서: 사용함

 

인터넷지원서: 불가능

 

특차형태: Early Action

 

정시모집: Regular Decision

 

정시모집 지원자는 1월 31일까지 SAT1과 2의 성적을 보내면 된다.

 

(1999~2000입학통계)

 

전체합격률: 11% 등록률 79%

 

특차 합격률: 26%

 

내신평균(GPA): N/A(90%)

 

 

SAT1(25~75%)

Verbal 700-800

Math 700-790

 

SAT2

 

Writing포함 3과목 이상 요구

 

Toefl 평균 N/A

최저 600/250(외국 학생에게 토플 반드시 요구X)

 

 

칸이 좁아서..

 

SAT는 미국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치는 시험이라고 보면 되겠구요,

 

미국 대학 입학시 원서와 교사 추천서, 그리고 개인 에세이가 필요합니다.

 

물론 인터뷰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꼭 위의 책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제가 할수있는 최선의 답변은 이정도네요.

 

유학 전문 담당 교사가 쓴 글이 책 뒤편에 있으니.. 매우 큰 도움이 될듯 싶습니다.

</BODY></HTML>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HTML> Untitled<BODY>

미국 대학교를 갈때에는

 

SAT 라는걸 쳐야 합니다..

 

SAT 라는건 한국 수능 시험이랑 비슷한건데

 

영어, 수학을 봅니다 (SAT I) (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 토플보다 훠어어얼씬 고난도..

 

미국인들도 공부해서 볼정도로 어려움)

 

SAT 는 두 파트로 이루어 졌는데 SAT I 고득점자들이 SAT II 를 보게되죠.

 

여하튼 유학생이든 아니든 SAT 는 꼭 봐야합니다.

 

그리고 내신도 무지 중요하거든요?

 

미국은 특히나 내신과 함께 여러 취미활동, 봉사활동, 등등을 많이 보게 되기 때문에

 

학창시절에 공부만 한게 아닌, 여러 활동을 두루두루 했다면 충분히

 

플러스 알파 요인이 됩니다.

 

궁금한게 있으시면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주세요^^

 

제가 아는것이면 모든지 답해드리겠습니다^^

</BODY></HTML>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Untitled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무슨 자격요건이 필요하죠?? 고등학교 졸업하고나서... 하바드대의 경우 미국에서 전설적으로 합격률이 낮고, SAT점수는 높습니다. 따라서...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하버드대에 입학하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전 지금 고1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이제 목표를 가지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요 하버드가 목표입니다. 그런데 어느분들은 하버드...

서연고가 아니더라도 하버드대 입학

서연고가 아니더라도 성적이 좋으면 하버드대 입학 가능한가요? 대학원 말씀하시는거면 네, 가능하죠. 대부분 서카포연고 출신이긴 한데 박경도 건국대 건축학과 교수(건국대...

하버드대에 A level이나 IGCSE로 입학...

말그대로 a level이나 igcse로 입학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하버드대말고 아이비리그나 시카고 대학교에A level로 입학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SAT는 안해서.....

하버드대 입학 시험

... 제가 하버드대학에 목표를 두고 있는데요(이과 방향), 하버드대에서는 입학시 어떤... 스케일로는 하바드대입학은 불가능합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인재들이...

하버드대 입학

... 많이 불리하다죠), 자신의 리더쉽같은걸 증명할수있는거라던지(이것도 문제있죠) 필요하다는데 제가 지금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기위해 필요한 것들을 좀 자세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