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용어

대학 용어

작성일 2015.04.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대학 용어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과목이나 과제 레포트에 대해서도 알려주시고
조별과제(팀플)은 같은 과 끼리하는건지 다른 과가 섞여서 하는건지도 알려주세요


#대학 용어 #대학 용어 영어 #대학 방학 용어 #대학 입시 용어 #대학 수학 용어 #일본 대학 용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개강 - 학기가 시작하는 것, 초중고의 개학과 같음.

* 종강 - 학기가 끝나는 것, 초중고의 방학식 정도가 되겠지만 대학에선 학기가 끝날 때 별도의 행사를 하지 않음.

* OT - 오리엔테이션, 원래 뜻은 새로 들어온 사람들을 위한 교육이지만 보통 새내기들이 입학 전 가는 행사를 말하는 편임. 개강 첫 주에 교수가 수업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OT임.

* MT - 멤버십 트레이닝, 이름은 이렇지만 그냥 1박2일 정도로 놀러가는 것. 종류가 다양하며 동기끼리 가는 동기MT, 학과 차원에서 가는 연합MT, 동아리에서 가는 동아리MT 등이 있음. 모꼬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

* LT - 리더십 트레이닝, 그냥 학생회에서 가는 MT라고 보면 됨.

* 휴학 - 학교장의 허가를 얻어 일정기간 학업을 쉬는 것. 보통 1회 1년이 기준이며, 4년제의 경우 최대 휴학 기간은 3년인 경우가 많음.

* 복학 - 휴학했던 학생이 다시 학업에 복귀하는 것. 휴학 기간이 다 끝났는데 복학을 하지 않으면 제적(퇴학)당할 수 있음.

* 제적 - 해당 학교 학생이 아니게 되는 것. 퇴학, 자퇴 모두 제적으로 들어감.

* 학고 - 학사경고, 성적이 매우 좋지 않은 학생이 받는 경고. 평점 평균이 일정 미만이거나 이수한 학점이 낮을 경우 받을 수 있음. 학사경고가 누적되면 제적될 수도 있음.

* 수강신청 - 시간표를 짜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신청하는 것. 인터넷으로 신청하며 수업은 한정되어 있고 다른 사람들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꼭 원하는 데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이게 망하면 한 학기가 고생일 수 있음.

* 휴강 - 교수의 사정 등으로 해당 수업을 하지 않고 쉬는 것, 이 경우 보강을 하게 될 가능성도 있음.

* 보강 - 보충강의, 휴강이나 공휴일 등으로 수업을 못하게 됐을 때 이를 보충하기 위해 하는 강의.

* 폐강 - 강의 신청 인원이 일정 인원이 되지 않아 없어지는 것.

* 공강(시간) - 수업과 수업 사이에 비는 시간. 보통 이 시간을 이용해 밥을 먹거나 친구들과 시간을 떼우거나 공부를 함. 아예 수업이 없는 날도 공강(일)이라고 함.

* 대출 - 대리출석, 다른 사람의 출석을 대신 해주는 것. 당연히 정상적인 게 아니므로 걸리면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음.

* 출미 - 출석미달, 출석이 일정 수 미만이면 F를 받게 됨.

* 과방 - 각 학과에 배정되어 있는 공간, 새내기 때는 공강 시간에 여기서 시간을 떼우는 일이 많음.

* 동방 - 동아리방, 각 중앙 동아리(학교의 인가를 받은 동아리)에 배정되어 있는 공간, 과방의 동아리 버전.

* 이수학점 - 3학점 짜리 수업 이렇게 말할 때 학점이 이수학점. 수업을 이수하면 받게 되며 이를 일정 이상 받아야 졸업할 수 있음.

* 평점 - A+, B0, C+, F 등 점수를 나타내는 등급, 이것도 학점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음.

* 전필 - 전공필수, 전공과목 중 졸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들어야하는 강의.

* 전선 - 전공선택, 전공과목 중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강의.

* 교필 - 교양필수, 교양과목 중 졸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들어야하는 강의.

* 교선 - 교양선택, 교양과목 중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강의.
 
* 자선/일선 - 자유선택/일반선택, 최소학점을 채운 상태에서 듣는 과목이나, 복수전공/부전공도 아닌데 다른 학과 과목을 들으면 이 학점으로 들어감.
 
* 복수전공/이중전공 - 자신의 전공 이외의 다른 전공을 추가로 하는 것. 졸업할 때 자신의 전공 학위뿐만 아니라 해당 전공의 학위도 나옴.
 
* 부전공 - 자신의 전공 이외의 다른 전공을 추가로 하는 것. 복수전공과 다른 점은 이수해야 할 학점도 적고, 학위도 안 나옴.
 
* 전과 - 다른 전공으로 학과를 옮기는 것. 보통 2~3학년 올라갈 때 신청 가능하며, 성적이 우수한 편이어야 함. 학과에 따라 아예 전과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고, 학교마다 제도가 차이가 많기 때문에 잘 확인해봐야 함.

* 재수강 - 이미 한 번 들어서 성적을 받았던 과목을 성적을 높이기 위해 다시 듣는 것.

* 계절학기 - 방학 중 개설되는 학기,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들을 수 있으며 보통 재수강이나 모자란 학점을 채우기 위해 듣는 편. 당연히 듣는 건 본인 선택.

* 총학 - 총학생회. 특정 단대, 학과 소속이 아닌 학교 전체를 대표하는 학생회.

* 과회장(학회장) - 학과의 학생 대표. 대학 신입생에겐 아버지/어머니같은 존재. 물론 안 그런 경우도 있지만.

* 과대 - 과대표, 보통 학과의 학년별 학생 대표를 말하는데 대부분 1학년 대표를 지칭하는 말임. 초중고로 치면 반장 정도?

* 대동제 - 일부 학교에서 축제를 대동제라고 하기도 함.
 
 
전공과목은 대다수가 해당 학과 학생이고, 일부 학생은 복수전공이나 자선으로 듣는 타학과 학생입니다.
학년의 경우 학과 커리큘럼에 나와있는 학년이 많지만, 재수강이나 사정상 일찍/늦게 듣는 학생도 있기 때문에 타학년도 좀 있습니다.
 
교양과목은 대부분 학과/학년에 관계없이 듣습니다.
 
레포트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해서 출력해서 제출하거나, 파일로 제출합니다.
흔한 편은 아니지만 자필 레포트를 제출하라고 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조별과제같은 경우에는 대부분은 학생들이 알아서 조를 짜라고 하는 편이라 같은 과끼리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교수가 조를 짜주거나, 랜덤으로 조를 편성하게 하는 경우에는 다른 과랑 섞여서도 할 수 있습니다.

대학 용어 질문!

대학에서 TO가 난다는게 무슨말인가요? 의대에서만 쓰는 말인가요? 구체적으로... 의대 및 보건분야에서 파생된 용어가 일반 사회생활에서도 같이 활용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대학 용어

... 이외에 또 다른 대학 용어들 설명해주세요ㅠ 복수전공은 네 전공이 하나 더 생기는 거구 교양이라 함은 특정 과만을 위한 수업이 아닌 단과대학 전 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대학 용어 정리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대학입시 용어 정리에 관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수험생이 궁금해하는 입학 용어를 설명해 드립니다. 찾고자 하는 용어의...

대학 용어랑 운영 방식(?)

...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대학 용어들 1. 이수학점은 과목마다 정해진 점수를 말하며, 학점평균은 성적을 말합니다 (A+ - 4.5점, A - 4.0점 등) 2. 동아리 개설조건을 충족하면...

대학 용어

대학 용어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과목이나 과제 레포트에 대해서도 알려주시고 조별과제(팀플)은 같은 과 끼리하는건지 다른 과가 섞여서 하는건지도 알려주세요 * 개강...

대학 용어

대학 용어 좀 알려주세요 진짜 대학에서 필요한 것들요 마이킹 : 돈 땡겨쓰는거 원샷, 더블샷, 올나잇 : 한번, 두번, 하루 박스 : 단체 또는 팀 애프터 : 체조 공사 : 계획 에이스...

대학용어 편입이 뭐에요?

... 쉽게 설명해주세요 2.편입중에서도 좋은대 안좋은 대학교가 있나요? (있으면 편입 좋은 대학추천) 3.편입이 내신이 낮은 학생들이 일단 아무 대학이나 들어가고 뭐 따로...

대학 용어(?) 알려주세요!

대학 용어 같은거 알려주세요! 음..막 OT, MT, 뒤풀이 같은거요! OT - 오리엔테이션 MT - 엠티. 학과별 학년별로 단합여행? 술마시고 장기자랑하고~~ 뒤풀이 - 시험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