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 보조펌프에 대하여

스프링클러 보조펌프에 대하여

작성일 2006.12.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스프링클러 보조펌프에대해서 좀 설명해주세요

 

어디서 자료 복사해서 붙혀넣기 환영 입니다

 

복사 해서 답달아주세요

 

그리고 가능하면 웨스코형식도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스프링클러 설비 ◇

1. 개요
스프링클러 설비는 서기 1850년경 영국에서 개발하여 그 후 미국인 Frederich Grinnel 에 의하여
대규모 공업화 되었으며 유럽 및 일본 등에 널리 보급되었다.
이 설비는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일반고층건물, 공장, 기타 특수건물 등 다수인 출입 또는
근무하는 장소에 화재의 위험이 증대해지고 또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막대한 액수에
달하므로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보다 신속하게 소화수를 주입 소화하여 인명 및 재산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설비는 소방대상물의 천정, 벽등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열감지부분이 분해 이탈함으로서 배관내의 압력수 또는 압축공기가 방출되어 경보밸브 및
가압송수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물을 일정압으로 방수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소화설비로 인정받고 있는 소화설비이다.
본 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수원, 가압송수장치, 경보첵크밸브, 드라이밸브, 프리액션 밸브,
데류지밸브, 헤드, 배관, 수신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특징
1) 장 점
① 초기 화재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② 소화약제가 물이므로 가격이 싸며 소화후 복구가 용이하다.
③ 감지부의 구조가 기계적으로 오동작,오보가 적다.
④ 조작이 쉽고 안전하다.
⑤ 완전자동이므로 사람이 없는 야간에도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 및
   경보를 해둔다.
2) 단 점
①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든다.
② 시공이 타소화 설비보다 복잡하다.
③ 물로 인한 2차 피해가 크다.
3. 법적 설치대상물
① 관람집회 및 운동시설의 무대부분(무대부에 부설된 장치 및 품질들을 포함한다.이하 같다)으로서
그 바닥면적이 그 무대가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에 있는 경우에는 300㎡ 이상,
그 밖의 층에 있는  경우에는 500㎡ 이상인 무대부
② 판매 시설로서 바닥 면적의 합계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3층이하인  건축물에 있어 서는
6000㎡ 이상,층수가 4층 이상인 건축물에 있어서는  5000㎡ 이상인 것은 전층
③ 층수가 11층이상인 건축물로서 여관 또는 호텔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이 있는 전층
④ 아파트로서 층수가 16층 이상인 것은 16층 이상의 층
⑤ 반자(반자가 없는 경우에는 지붕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의 높이가 10cm를 넘는 랙크식 창고
(선반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설치하고 승강기에 의하여 수납물을 운반하는 장치를 갖춘 것을
말한다)로서 연면적 1500㎡ 이상인 것
⑥ 공장,창고시설로서 지정수량의 10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⑦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 이상인 것
⑧ 기타 소방대상물(학교,아파트 및 냉동창고는 제외)의 지하층, 무창층 또는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층
⑨ 기타 소방대상물(학교제외)로서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11층 이상의 층
⑩ 전소방대상물에 부속된 보일러실 또는 연결통로 등
⑪ 복합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5000㎡ 이상인 것은 전층
4. 설비의 종류
한솔빌딩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방식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습식
스프링클러설비(WET-PIPE TYPE), 건식스프링클러 설비(DRY-PIPE TYPE)가  설치되어 있다.
1)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방식별 비교

구분

설비개요

폐쇄형헤드

사용설비

 

습식

- 습식 스프링클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식으로 1차측 및 2차측 배관 내에 항상 가압수가 충수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하여 헤드의 개방 및 가압수가 살수되는 장치이다.

- 건시설비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즉시 소화가 가능한 장점이 잇는 반면,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부적합한 것이 단점이다

건식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관로 중간에 건식 밸브를 설치하여 2차측에는 자동식 에어콤프레셔를 이용한 압축 공기를, 1차측에는 가압수를 각각 채운다. 헤드가 감열에 의하여 개방되면, 2차측의 압축공기가 방출되어 압력 저하가 생기며, 이때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으로 유입되어 살수가 시작되는 장치이다.

-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 등에 설치하며, 화재시 소화활동 시간이 다소 지연되고 습식보다 설비비가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준비작동식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준비작동밸브의 1차측에 가압수를 채우 놓고, 2차측에는 저압또는 대기압의 공기를 채운다. 화재발생에 의해 화재감지기가 작동되면, 준비작동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가압펌프가 동작, 가압수를 각 헤드까지 송신 후 헤드가 열에 의하여 개방되면 즉시 살수되는 장치이다.

- 동결우려가 있는 장소 등에 설치하며 준비 작동식 밸브의 작동을 위한 화재감지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므로 설비비가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개방형헤드

사용설비

 

일제살수식

- 극장의 무대부, 특수공장 등 천정높이가 높은 장소는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방식으로는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 수 없기 때문에 개방형 해드를 설치하여 해당 구역 전체에 동시에 살수할 수 있도록 한 설비이다.

- 일베살수식 설비의작동원리는 준비작동식과 유사하다. 기동방식에 따라 화재감지기에 의한방식과 수압개폐장치에 의한 방식이 있으며, 두가지를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3) 스프링클러 압력셋팅 방법(한솔빌딩)          
저층부 ( B6F ~ 10F )                    고층부 ( B6F ~ 23F )  
실양정 : 69.8M  (70M)                   실양정 : 120.6M (121M)  
전양정 : 111.12M (120M)                 전양정 : 175.95M (185M)

저층부

 

고층부

주.보조펌프정지

10 kg/cm2

 

주.보조펌프정지

16 kg/cm2

보조펌프기동

8.5 kg/cm2

 

보조펌프기동

13.5 kg/cm2

주펌프기동

7.5 kg/cm2

 

주펌프기동

13.1 kg/cm2

자연압

7 kg/cm2

 

자연압

12.1 kg/cm2

 
4)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WET-PIPE SPRINKLER SYSTEM)
◈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개 요 ◈
본 설비 방식은 신뢰성이 가장 우수하고 설비구성도 다른 설비방식에 비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표준방식이라 할 수 있다. 알람 밸브의 클래퍼를  중심으로 1차측과 2차측이
모두 가압 송수된 물로 채워져 있는 시스템이다.
화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시 스프링 클러 헤드까지 채워져 있던 물이 즉시
살수 되며, 이로 인하여 2차측의 압력이 급속히 떨어지면  클래퍼가 개방되어 1차측에 가압송수 되어온
물이 개방된 스프링클러 헤드  부위로 계속 살수되어 화재를 진화하는 시스템이다.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부품은 알람 밸브 셋트이다.
알람 밸브는 알람 밸브와 압력 스위치,주위 배관, 그리고 2개의 WATER GAUGE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은 KSD 3507, 3562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프링 클러 헤드의 설치시반드시
회향식 배관을 하며 폐쇄 하향형 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설치장소의 온도가 영상인 소방대상물에 설치하여야 하며 한솔빌딩에는
지상층(1층∼23층, 4층 제외)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소화약제가 물이기 때문에 유지비가 저렴하나 물로 인한 2차 피해가 큰 단점이 있다.
(한솔빌딩의 건물 구조가 건식타입이므로 특히 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된다)
◈ 유수검지 장치(WATER FLOW INDICATORS) ◈
ALARM SPRINKLER SYSTEM은 핵심 구성부분인 ALARM VALVE의 클래퍼(CLAPPER)를 중심으로
1,2차측이 가압송수된 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작동은 2차측이 가압송수된
물로 충만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 헤드(하향식 스프링클러헤드)의 감열 부위가 일정한
온도(예 72℃)를 감지하여 파열하면 이미 충만되어 있는 물이 살수되어 화재를 진화하는 구조이다.
이 시스템의 주요구성부분은 핵심구성부분인 ALARM VALVE를 중심으로 하여 화재 발생시 수신반에
경보를 알려주는 알람 스위치(ALARM S/W),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타드챔버(RETARD CHAMBER),
1차측 물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WATER GAUGE), 2차측 물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WATER GAUGE)와 시스템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ALARM VALVE 상, 하단에
OS&Y GATE VALVE(TAMPER S/W부착형)을 설치한다.
이 시스템의 1.2차측 배관은 일반적으로 아연도금 백강관( KSD 3507)을 사용하고, 관경 50mm이하는
나사식 배관(THREAD TYPE)을 65mm이상은 용접식 배관(WELDING TYPE)을 하며 알람밸브의
2차측 배관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폐쇄하향형 스프링클러헤드(주위 온도에 따라서 57℃,68℃,
72℃, 79℃, 93℃, 141℃등)를 사용한다.
장점으로는 2차측 배관에 항시 물이 충만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파열과 함께
즉시 물이 살수되므로 화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2차측 배관에 항시 물이 충만되어 있어 기온의 변화가 심한 곳이나 동절기에 배관의
동파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되는 경보첵크밸브는 크게 2종류(pilot type, divided-seating or
grooved-seat type)가 있으며 근본작동원리는 동일하다.
한솔빌딩에는 (주) 삼양발브종합메이커 제품인 호칭지름 150㎜, 수직형인 경보첵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 자동경보장치 ◈
1.자동경보장치  
 발생시 감지와 동시에 헤드가 개방되어 배관내에 유슈가 발생되면 유수에 의해 자동경보밸브가
작동경보를 발하여 화재를 알 리는 장치이다.

◈ 자동경보밸브(alarm check valve:알람책크밸브)
최저 작동 유량 50l/min 자동경보밸브는 클래퍼(ciapper)를 경계로 가압송수장치측(1차측)과
헤드측(2차측)으로 구분하여 1차측 압력계와 2차측 압력계가 상시 같은 압력을유지하고 있다고
화재로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 2차측 압력이 감소하여 유수가 발생,알람밸브가 작동,클래퍼가
개방돠면 암력수가리타딩챔퍼(RetardingChamber)로송수된다.                                                      
◈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개 요 ◈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드라이 밸브의 클래퍼를 중심으로 그 이하(1차측)에는 펌프로부터
가압, 송수되어 온 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이상(2차측)에는 압축 공기가 채워져 있는 시스템으로,
1차측과 2차측의 일정한 압력의 균형을 이루어 정상 상태를 이루다
화재로 인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시 2차측의 압력이 급속히 떨어지면 클래퍼가  개방되어
1차측에 가압송수되어 온 물이 개방된 스프링클러 헤드 부위로 살수되어 화재를 진화하는 시스템이다.
1차측과 2차측의 압력이 구성비는 제조 회사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략 2.5∼3(1차) : 1(2차)의
비율로 압력을 조정한다. 1차측 물의 압력(WATER PRESSURE)은 펌프로부터 가압 송수되어
오기 때문에 펌프의 압력에 의해 규정되며, 2차측 공기의 압력(AIR PRESSURE)은
자동 AIR COMPRESSOR로 채워 넣는다.
2차측의 압력을 조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드라이 밸브 한 셋트마다 1개의 MAINTENANCE AIR COMPRESSOR(1/2 HP 미만)가
설치되어 자체적으로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는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일정한 용량의 AIR COMPRESSOR(1 HP 이상)를 한 셋트 혹은
여러 셋트의 드라이 밸브와 연결하여 각각의 드라이 밸브마다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REGULATOR (AIR PRESSURE MAINTEANCE DEVICE)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이다.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부품은 드라이 밸브 셋트이다.
드라이 밸브 셋트는 드라이 밸브(DRY VALVE), 2차측 전 배관내에 압력의 변동이 급격하게
생겼을 시(화재발생으로 인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등)일찍 감지하여 신속하게
드라이밸브 클래퍼를 개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치인 엑셀레이터(ACCELRRATOR), 엑셀레이터에
물이 차서 오동작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안티 플루드 디바이스(ANTI FLOOD DEVICE),
드라이 밸브의 정상 셋팅 유무를 확인 점검하는 드립 체크 밸브, 클래퍼의 개방시 물의 작용을
감지하여 수신반에 화재가 났음을 알려주는 압력 스위치와 주위 배관
그리고 1차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WATER GAUSE( 1 EA),2차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AIR GAUG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은 KSD 3507, 3562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프링클러헤드는 반드시
폐쇄 상향형 헤드를 사용한다.
부득이 하향형 헤드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 펜던트 타입(DRY PENDENT TYPE) 헤드를 사용한다.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설치는 자동화창고, 지하주차장등 주로 배관이 노출된 곳에 설치한다.
그 이유는 2차측에 상시적으로 물이 채워져 있는 것이 아니라 2.5㎏/C㎡내외의 압축 공기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동절기에 동파의 염려가 없어 보온을 하지 않으며, 화재 밸생시 스프링클러 헤드가
일정한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기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별도의감지기 설치를 하지 않아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건물의 지상층에는 반자밑으로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건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잘 적용하지 않는다.
현재 한솔빌딩에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밸브는 star사(U.S.A)의 제품으로 파라다이스 산업에서
수입하여 우원설비에서 시공설치하였다.(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드라이밸브는V사(U.S.A),
R사(U.S.A), G사(U.S.A), S사(U.S.A)제품으로UL, FM 승인을 받은 제품으로 한국에 수입되어
한국소방검정공사의 승인을 받아 설치되고 있으며, 국산 제품은 한국의 숭의기업에서
국산 드라이 밸브를 최근에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 특징
1) 1차측 물공급 압력과 2차측 공기압의 5-6.5:1 차등압력비율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아람밸브와 작동원리는 같으나 2차측에 물대신 에어를 충압함으로서 프리액션 밸브처럼
   2차측에 감지기 LINE, SVP등의 연결이 필요없고 스프링클라헤드의 개방으로 인한 2차측
   에어방출이 감지역할을 한다.
3) 2차측 공기압의 안전을 위해 AIR MAINTENANCE SYSTEM이 정밀하게 감지하여
   에어 콤프레샤를 작동,정지시킴으로 세팅압력을 유지시킨다.
◆ 유수검지 장치 (건식밸브) ◆

형식 및 번호

건식 호칭 150 (92-9)

형식 및 번호

건식 호칭 150 (92-9)

호칭 압력

10 kg/cm2

호칭 압력

10 kg/cm2

최고 사용압력

14 kg/cm2

최고 사용압력

14 kg/cm2

최저 사용압력

1.5 kg/cm2

최저 사용압력

1.5 kg/cm2

제조원

STAR

제조원

STAR

수입원

FESCO 극동 스프링클러

수입원

FESCO 극동 스프링클러

설치층

B6(1),B5(2),B4(2)

B3(2),B2(2),B1(1)

설치층

4층(1)

합계

10EA

합계

1EA

 

나. 주요구성부분

1) DRY PYPE VALVE 배관 계통(약도)

2) 드라이밸브(DRY PYPE VALVE)
습식장치의 알람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것으로서 1차측에는 가압수를 2차측에
는 압축공기를 채워두고 헤드의 개방으로 2차측의 압력이 낮아지면 작동후와 같
이 크레파가 들려 2차측으로 물이 넘어간다.
3) 가속기(ACCELATER)
일명 배기가속장치로서,폐쇄형 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 화재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으로 2차측(헤드측)배관에서 채워있던 압축공기나 압축질소의 방출이 늦어져
1차측(송수펌프측)의 가압수가 2차측 배관내에 압축 공기의 장애로 인하여 습식장치보다
늦게 분출되므로 배관내의 공기를 빼주는 속드를 증가시키고 크레파의 조기 개방을 도와주기
위한 장치이다.
4) 스프링클라헤드
상향형 스프링클라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습식 스프링클라장치와 같으나 동결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하향형 헤드는 드라이 펜단트형(DRY PENDANT TYPE)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콤프레샤(COMPRESSOR)
건식 스프링클라설비에는 2차측에 압축공기를 채우기 위하여 전용의 콤프레샤를 설치 하여야 한다.
일반 콤프레샤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밸브와 주공기공급관 사이에 반드시 에어 압력 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에어 레귤레이터(AIR REGULATOR)
자동 콤프레샤의 가압송수시 압력 조절 장치이며,스프링클러 전용 콤프레샤에는 필요가 없으며,
타 설비와 겸용하는 콤프레샤에는 필히 건식밸브와 주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AIR REGULATOR)                                  (AIR MAINTENANCE DEVICE)

7) 에어 메인터넌스 장치(AIR MAINTENANCE DEVICE)
드라이밸브와 에어콤프레샤 사이에 설치하여 에어 콤프레샤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하고 드라이밸브
2차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배관이다.
A : Reagulator -콤프레샤를 통하여 드라이밸브 2차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한다.
B : 1/4″Check Valve - 드라이밸브 2차측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C : 1/4″스트레이너 - 유입공기의 정화역할을 한다.
D : 1/4″globe Valve - 콤프레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레규레이터를 통해 보내고자 할때 사용한다.
E : Restriction Nipple - 드라이밸브 2차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줄여준다.
F : 1/2″globe Valve - 콤프레샤를 통해 드라이밸브 2차측에 에어를 채울 때 개방하여 사용한다.
H : Gauge Port - 레규레이타 압력측정용 게이지 취구부(필요시에만 사용)
초기 셋팅방법
1. 사용전압에 따라 콤프레샤 내부결선을 다음표와 같이 변경한다.
표1. 콤프레샤 결선방법

110V사용시

110V사용시

비  고

노란색

검정색

1번 라인에 연결

노란색

검정색

1번 라인에 연결

-110V에서220V로변경시 갈색을3번으로흰색을 5번으로변경해주면된다.

-110V에서220V로변경시 갈색을 3번으로흰색을 5번으로변경해주면된다.

빨강색

4번 라인에 연결

갈색

3번 라인에 연결

갈색

주황색

5번 라인에 연결

빨강색

4번 라인에 연결

검정색

흰색

노란색

6번 라인에 연결

주황색

흰색

5번 라인에 연결

검정색

노란색

6번 라인에 연결

 
1. 에어컴프레셔를 정지시킨다
2. 1차측 OS&Y 밸브를 잠근다
3. 메인드레인밸브(A)를 열어 2차측의 물을 모두 배수시킨다
4. 밸브카바를 열어 밸브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크레퍼를 밑쪽으로 회전시킨다
5. 밸브카바를 조립한다
6. 2차측 충수밸브(B)와 적정수위확인밸브(C)를 개방하고 프라이밍컵(E)쪽으로 물을 채워넣어 C를 통해
   물이 나오면 B와 C를 잠근다
7. 엑셀레이터로의 공기유입차단밸브(H)를 잠그고 에어메인터넌스 연결밸브(D)와 에어메인터넌스의
   밸브 3개를 모두 개방시킨후 에어컴프레셔에 전원을 투입하여 2차측에 에어를 채운다
8. 엑셀레이터의 드레인 플러그 2개를 풀어 엑셀레이터 내부의 물과 공기를 빼내어
    엑셀레이터 압력게이지(J)가 0이 되도록 한 다음 드레인 플러그를 조립한다
표2. 2차측의 에어세팅압력

1차측의

수압

2차측의

에어압력범위

콤퓨레샤 START점

비   고

50

28~30

정지점에서 0.4PSI이하

(2차측 에어 압력범위 이상

이어야 함)

1차측의 수압이 50PSI이면 2차측의 에어압력은 28~30PSI를 채우면 됨

PSI/14.7 = KG/CM2로 환산됨

75

32~35

100

36~40

125

39~45

150

43~50

175

47~55

 

9. 에어가 찬후 콤프레셔가 멈추면 엑셀레이터로의 공기유입차단밸브(H)를 개방하여 엑셀레이터

   압력게이지(J)의 압력과 2차측 에어게이지(K)의 압력이 동일하고 드립첵크밸브(L)부위로

   누설되지 않는가를 확인한다

10.압력스위치 작동시험밸브(F)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1차측 OS&Y 밸브를 개방한다

건식밸브의 복구방법
1. 에어컴프레셔를 정지시킨다
2. 1차측 OS&Y 밸브를 잠근다
3. 메인드레인밸브(A)를 열어 2차측의 물을 모두 배수시킨다
4. 밸브카바를 열어 밸브안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크레퍼를 밑쪽으로 회전시킨다
5. 밸브카바를 조립한다
6. 2차측 충수밸브(B)와 적정수위확인밸브(C)를 개방하고 프라이밍컵(E)쪽으로 물을 채워넣어
    C를 통해 물이 나오면 B와 C를 잠근다
7. 엑셀레이터로의 공기유입차단밸브(H)를 잠그고 에어메인터넌스 연결밸브(D)와  에어메인터넌스의
   밸브 3개를 모두 개방시킨후 에어컴프레셔에 전원을 투입하여 2차측에 에어를 채운다
8. 엑셀레이터의 드레인 플러그 2개를 풀어 엑셀레이터 내부의 물과 공기를 빼내어
   엑셀레이터 압력게이지(J)가 0이 되도록 한 다음 드레인 플러그를 조립한다
9. 에어가 찬후 콤프레셔가 멈추면 엑셀레이터로의 공기유입차단밸브(H)를 개방하여 엑셀레이터
   압력게이지(J)의 압력과 2차측 에어게이지(K)의 압력이 동일하고 드립첵크밸브(L)부위로
   누설되지 않는가를 확인한다
10.압력스위치 작동시험밸브(F)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1차측  OS&Y 밸브를 개방한다

건식밸브의 시험방법
1. 압력스위치의 시험방법
① 세팅상태에서 압력스위치 작동확인밸브(G)를 잠그고 압력스위치 작동시험 밸브(F)를 열어
    화재신호가 발생하는지 시험한다
② 시험후에는 필히 세팅상태로 되돌려 놓는다
2. 작동시험방법
① 세팅상태에서 2차측 OS&Y 밸브를 잠근다
② 적정수위확인밸브 겸 작동테스트밸브(C)를 개방하여 2차측 에어를 빼내어 엑셀레이터의 작동,
    밸브의 개방여부, 화재신호 발생여부를 시험한다
③ 리세팅방법에 의하여 복구시킨다

관리상 주의사항
1. 건식밸브 작동시 필히 현장 상태를 직접 파악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2. 건식설비의 설치장소가 주차장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탑차등의 출입에 주의할 것
3. 외기와 면하는 곳에 대해서는 동파방지에 주의를 기울일 것
   (배관 굴곡진 부분,하향식헤드 설치부분)
4. 2차측 배관에 에어를 채울경우에는 가지배관상에 설치된 볼밸브등이 닫혀있는지 여부를 점검 후
   조치할 것
◈ 로우 알람스위치(Low alarm switch)◈
로우 알람스위치는 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서 배관중에 압축공기의
누기(air leak)나 헤드가 개방시
저압의 압축공기 누출을 감지하는
경보장치이다.

 

◈ 스프링클러 헤드 ◈
건식설비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상향형 헤드만 사용할 수 있고 하향형 헤드를 설치할 때는
드라이 팬던트(Dry pandant)형 헤드를 설치한다.

드라이 팬던트형은 롱니플속에 부동액이 봉합되어 있어 헤드가 작동후 배수부에 부동액이
남아있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 헤드의 종류 ◈
1. 개방유무(구조형식)에 따른 분류.
1)개방형(Opened Type)
감열부가 없고 방수구가 향시 개방되어 있으며,설치시 별도의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폐쇄형(Closed Type)
감열부가 있으며,화재발생시 열에 의하여 분해 개방되는 형태이다.
폐쇄형은 퓨즈블 링크형,글라스 벌브형,케미칼 숄터형 등으로 구분된다.
◈설치 방향에 따른 분류◈
1)상향형(Upright Type )
배관 상부에 설치하고 천장이 콘크리트,트러스등 반자가
없는 곳에 설치하며방수구가 천장쪽으로 향하여 설치하므로
하방을 살수할 목적이다.디플렉타는 40mm이상이며,스프링클러
헤드중 분사 패턴이 가장 좋다.
2)하향형(Pendent Type)
배관 하부에 설치하고 천장 반자가 있는 곳에 설치하며,방수구가
바닥쪽을 향하여 설치하므로 하방을 살수할 목적이다.
디플렉타는 36mm이며 분사패턴이 상향형보다는 못하나 반자를
너무 적시지 않으며 반구형의 패턴으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한솔빌딩내 설치장소로는 지상층에 후러쉬타입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어 있으며,지상층
공조실 및 지하주차장 부분에는 일반 폐쇠하향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3)상하 양용형(상하겸용형:Conventional Type)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구형 헤드로서 디플렉타가 작아 하향형과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향형으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4)측벽형(Side wall Type)
옥내의 벽 상부에 설치하며 폭이 9m이하인 실내에 설치하다.
 ◈감열부의 재질 및 형태에 의한 분류◈
1)퓨즈블 링크형(Link lever Type : Fuse Type)
디플렉타,퓨즈블링,레바후레임,파킹캡,메탈가스켓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퓨즈 부분이
퓨즈 블링크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열감지 부분이 넓어서 화재감지 속도가 빨라 신속히 작동된다.또 시공이 간단하고
파손시 재생이 가능하다.
2)글라스 벌브형(Glass bulb Type)
유리관내에 액체를 넣어 밀봉한 것으로 봉입액체로는 체적팽창이
큰 에테르,알콜 등이 이용된다.동작이 정확하며 오랫동안
스케일이 끼지 않아 반영구적이다.
표시온도가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3) 케미칼 숄더형(Chemical solder type)
화학 합성물질로 조립된 것으로 디플렉타,후레임,케미칼릴리스로 구성되어 있다.
4) 메탈 피스형(Metal piece Type)
디플렉타,후레임,메탈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감지 면적이 적고 설치후 오랫동안 방치하면
메탈피스에 스케일이 끼어 오동작 할 수가 있다.

◈ 헤드의 선정 ◈
1.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1) 헤드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에 따라 아래 표에 의하여 선정하여 설치한다. 다만,높이가
6미터 이상인 공장 및 창고(랙크식 창고를 포함한다)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그 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에 관계없이 표시온도 섭씨 121도 이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폐쇄형 헤드의 표시온도

설치장소의 최고주위 온도

표 시 온 도

작 동 시 간

39도 미만

79도 미만

1분15초 이내

39도 이상 64도 미만

79도 이상 121도 미만

1분45초 이내

64도 이상 106도 미만

121도 이상 162도 미만

3분 이내

106도 이상

162도 이상

5분 이내

 

2) 헤드의 표시온도가 79℃미만인 경우 최고 주위온도는 식에 관계없이 39℃로 한다.

3) 헤드의 작동온도 시험
헤드의 표시온도의 97% 내지 103% 범위에 들어야 한다.
4) 헤드의 표시온도(작동온도)
헤드의 표시온도 구분은 색으로 표시된다.
◈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 온도에 따른 색표시 ◈

글라스 벌브형 헤드

퓨즈블 링크형 헤드

표시온도

액체의 색

표시온도

액체의 색

57

오렌지

77

표시없음

68

빨강

78~120

흰색

79

노랑

121~160

파랑

93

초록

162~203

빨강

141

파랑

204~259

초록

182

연한자주

260~319

오렌지

227

검정

320이상

검정

260

검정

 

 

343

검정

 

 

 

5) 폐쇄형 헤드의 작동순서

평상시의 상태로 일단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열에 의하여 퓨즈 메탈이 용해되어 메탈 싸포팅 레버가
흩어져 편심레버가 무너져 분해된다.
가압된 물이 디플렉타(deflector:반사판)에 부딪혀 살수가 시작된다.
◈ 헤드의 배치기준 ◈
1) 스프링클러 헤드는 소방대상물의 천정.반자.천정과 반자사이, 닥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
(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2)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천정.반자천정과 반자사이.닥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설 치 장 소

설 치 기 준

폭 1.2m 초과하는

천장반자,닥트선반,

기타 이와유사한부분

무대부,영벌표4의특수가연물

수평거리 1.7m이하

랙크식 창고

수평거리 2.5m이하

위 그 외의

소방대상물

기타구조

수평거리 2.1m이하

내화구조

수평거리 2.3m이하

 

아파트

수평거리 3.2m이하

연소우려가 있는

개구부

개구부폭이 2.5m초과

그 상하좌우는 2.5m간격으로

개구부폭이 2.5m이하

중앙에

랙크식 창고

영별표4의 특수가연물

높이 4m이하 마다

기타의 장소

높이 6m이하 마다

실내에 측벽형

헤드 설치

폭 4.5m 미만

긴변의 한쪽벽에 일렬로 설치

폭 4.5m 이상 9m 이하

긴변의 양쪽에각각일렬로설치

마주보는 헤드가 나란히 꼴이

3.6m 이내 마다 설치

 
3) 무대부 또는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있어서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랙크식 창고의 천정높이가 12m 이하로서 내무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화재 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정에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 헤드의 배치방법 ◈
1) 헤드의 배치형태
             ① 정사각형(정방형)형                          ② 직사각형(장방형)형
     
③ 지그재그형(나란히꼴형)            ④ 잡 형

      
◈ 헤드의 설치방법에 따른 거리 ◈

방화대상물 부분

각부분으로부터의

수평거리

헤드 1개의

방호면절

무대부

1.7m 이하

5.76m2

기타부분

비내화부분

1.7m 이하

8.8m2

내화부분

1.7m 이하

10.56m2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의 개굳부

개구부윗인방

2.5m마다

 

 

◈ 헤드의 설치기준 ◈


1)살 수가 방핼되지 아니하도록 그림과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반경
60cm 이상의 공간을 보유하여야 한다.
다만,벽과 스프링클러 헤드 간의 공간은 10cm로 한다.
2)스프링클러 헤드와 그 부착면(상향식 헤드의
경우에는 그 헤드의 직상부의 천장.반자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과의 거리는
30cm이하로 할 것. 다만,천장.반자.선반 등이
불연재료로 된 경우에는 45cm이하로 할 수 있다.

3)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이 그 부착면과 평형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측벽형 헤드 또는 연소한 개구부에 설치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배관,행거 및 조명기구 등 살수를 방해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밑으로 30cm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 할 수 있다.
5)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좌우 2.5m
간격으로(개구부의 폭이 2.5m이하인 경우에는 그 중앙에)
스프링클러 헤드와 개구부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직선거리는
15cm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이 경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측면(개구부의 폭이 9m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m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6)천장의 기울기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림과 같이 가지관을 천장의 마루와 평행되게 설치하고
스프링클러 헤드는 다음 각목의 기중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가.천장의 최상부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회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반사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것.
나.천장의 최상부를 중심으로 가지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의 가지관 상호간의
    거리가 가지관상의 스프링클러 헤드 상호간의 1/2이하(최소1m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되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가지관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천장의 최상부로부터의 수직거리가
    90cm이하가 되도록 할 것. 톱날지붕,등근지붕 기타 이와 유사한 지붕의 경우에는 이에 준한다.
- 습식 스프링클러외의 설비에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할 것. 다만,다음 각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드라이 팬던트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나)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장소가 동파의 우려가 없는 곳인 경우
  다)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 후러쉬 타입 스프링클라 헤드 ◆
작동 : 후러쉬타입 스프링클라 헤드는 특수합금된 FUSE를 판재로 하여 설정된 주위온도를 넘어
작동온도에 도달하면 하부의 히트콜렉타가 분해되어 떨어져 나가고 헤드 내부에 내장된 디플렉타가
자동으로 튀어 나오면서 동시에 살수되는 헤드이다.
◈ 스프링 클라 조인트(SP JONT) ◈
한솔사옥 지상층 사무실에 설치되어 있는 SP JONT는 스프링클라 회향식 배관작업을 좁고 복잡한
천정내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시공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후렉시블 부분에는
STS 304의 재질 및 망(BRAID)을 씌어 높은 내압성능과 인장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소둔처리된
표면은 우수한 내식성능을 갖고있다.
※ SP JONT의 취급시 주의 사항
1.SP JONT부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날카로운 물체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2.후렉시블의 한곳을 5회 이상 계속하여 구부리면 절손 또는 내압이 약해지므로 취급시 이유없이
  구부리지 말아야 한다.
3.SP JONT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용접의 어스용으로 사용하면 제품이 손상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4.SLIP NUT 는 반드시 손으로 조이고 무리한 힘을 가하면 O-RING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5.NIPPLE과 SP JONT의 연결시 NIPPLE이 O-RING 접촉부(PF)와 연결되도록 한다.
만일 반대로(PT) 연결시는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6.취부시는 절대로 파이프렌치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 SP JONT의 법적 조항(기술기준 제17조 ②항)
1.최고사용압력은 1제곱센티미터당 14킬로그램이상이어야 하고, 최고사용압력이
1.5배의 수압에서 변형·누수되지 아니할 것.
2.진폭이 5밀리미터, 진동수는 매초당 25회로 하여 6시간 작동시킨 경우 또는 매초 1제곱 센티미터당
3.5 킬로그램부터 35 킬로그램까지의 압력변동을 4000회 실시한 경우에도 변형·누수되지 아니할 것.
◈가압송수장치 설치기준◈

1) 정격 토출압력 : 헤드 선단에 1kg/c㎡~12kg/c㎡의 방수압력을 유지
2) 송수량 : 80ℓ/min(방수압력 1kg/c㎡기준(속도수두는 포함하지 않음))
3) 충압펌프의 설치기준
① 정격 토출압력 : 최고위 살수장치의 자연압+2kg/c㎡이상
② 정격 토출량 : 펌프의 정격 토출량은 정상적인 누설량보다 적어서는 아니되며
스프링클러 설비가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하여야 한다
4) 중간 가압송수장치
지하층을 제외한 건물의 높이가 60m를 초과하는 때에는 중간 가압송수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 가압송수장치의 종류 ◈
1) 고가수조 방식
①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압력(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된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H = h₁+ 10cm
H : 필요한 낙차(m)
h₁: 배관 및 관 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m)
10m : 헤드 선단의 방수압력 환산수두(1kg/c㎡≒10m)
② 고가수조에는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오버플로우관 및 맨홀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압력수조 방식
① 압력수조의 압력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P = P₁+ P₂+ 1kg/c㎡
p : 필요한 압력(kg/c㎡)
p₁: 낙차의 환산 수두압(kg/c㎡)
p₂: 배관 및 관 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압(kg/c㎡)
1kg/c㎡ : 헤드 선단의 방수압력
② 압력수조에는 수위계, 급수관, 배수관, 급기관, 맨홀, 압력계, 안전장치 및 압력저하 방지를 위한
    자동식 에어콤프레샤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펌프 방식
① 지하수조의 후트 밸브에서 송수펌프를 이용하여 최상단의 헤드까지 송수하는 방식이다
H = H₁+ H₂+ 10m
H : 펌프의 전양정(m)
H₁: 배관 및 관 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m)
H₂: 낙차(m)
10m : 헤드 선단의 방수압력 환산수두(1kg/c㎡≒10m)

◈ 배 관 ◈
1) 급수배관의 구경은 다음 표에 의한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급수관의구경(mm)

구분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50

2

3

5

10

30

60

80

100

160

275이상

2

4

7

15

30

60

65

100

160

275이상

1

2

5

8

15

27

40

55

90

150이상

 

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로서 1개층에서 하나의 급수배관(또는 밸브등)이

    담당하는 구역의 최대면적은 3,000㎡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란의 헤드수에 의한다. 다만, 100개 이상의 헤드를
    담당하는 급수배관(또는 밸브)의 구경은 100mm로 할 수 있다.
③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반자 아래의 헤드와 반자속의 헤드를 동일 급수관의 가지관상에
    병설하는 경우에는 "나"란의 헤드수에 의한다.
④ 무대부 특수가연물 취급장소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설비의 배관
    구경은 "다"란에 의한다.
⑤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방호구역이 담당하는 헤드의 수가 30개
    이하일 때는 "다"란의 헤드수에 의하고,30개를 초과할 때는 수리 계산방법에
    의한다.(유속 5.5m/sec이하 - 주배관의 유속)
◈ 가지배관 ◈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멘트 방식이 아니어야 하고 한쪽 가지배관에 설치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고 기존의 방호구역내에서 칸막이 등으로 구획될 경우에는 9개 이하로 할 수 있으며
가지배관을 신축배관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 가지배관을 신축배관으로 할 때 설치기준
① 최고사용압력은 14kg/c㎡ 이상이어야 하고,최고사용압력의 1.5배의 수압에서 변형,
    누수되지 아니할 것.
② 진폭이 5mm,진동수는 매초당 25회로 하여 6시간 작동시킨 경우 또는 매초 1cm2당
    3.5kg 부터 35kg 까지의 압력변동을 4000회 실시한 경우에도 변형,누수되지 아니할 것
◈ 일제개방 밸브의 2차측 배관 기울기 및 부대설비 설치기준 ◈
① 수평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200분의 1이상 기울기로 할 것
② 개폐표시형 밸브를 설치할 것
③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밸브와 일제개방 밸브 사이의 배관은 다음 각목과 같은 구조로 할 것
㉮ 입상배수배관과 연결하고 동 연결배관상에는 개폐 밸브를 설치할 것
㉯ 자동배수장치 및 압력스위치를 설치할 것
㉰ 나목의 규정에 의한 압력스위치는 수신부에서 일제개방밸브의 개방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설치할 것
◈ 스프링클러 설비 배관의 배수를 위한 기울기
①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을 수평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소화수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외의 설비에는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수평주행배관의 기울기를
    500분의1이상, 가지배관의 기울기를 250분의 1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기울기를
    줄수 없는 경우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를 설치하야야 한다.
◈ 시험장치 설치기준 ◈
①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의 끝으로부터 연결.설치할 것
② 시험장치배관의 구경은 25mm로 하고,그 끝에 개방형 헤드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방형 헤드는
    반사판 및 프레임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③ 시험배관의 끝에는 물받이통 및 배수관을 설치하여 시험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목욕실.변소 또는 그밖의 곳으로서 배수처리가 쉬운 장소에
    시험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교차 배관 ◈
① 교차배관은 가지배관 밑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구경은 설치기준에 의하여
    최소구경은 4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② 청소구는 교차배관 끝에 40mm 이상 크기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호스 접결이 가능한
    나사식 또는 고정 배수 배관식으로 한다. 이 경우 나사식의 개폐 밸브는 옥내소화전
    호스 접결용의 것으로 하고, 나사보호용의 캡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③ 하향식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가지배관으로부터 헤드에 이르는 헤드 접속배관은 가지관 상부에서
    분기하여야 한다. 다만,아파트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측면에서
   분기할 수 있다. 이것은 배관내에 물의 불순물에 의해 헤드의 방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④ 일제개방밸브 사용할 때 수평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200 이상 기울기로 하여야 한다.
⑤ 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의 시험장치배관의 구경은 25mm로 하고 그 끝에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 배관의 고정방법
① 가지 배관
가지배관에는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상향식 헤드의 경우에는
그헤드와 행가사이에 8c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다만, 헤드간의 거리가 3.5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3.5m 이내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한다.
② 교차 배관
교차배관에는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에 1개 이상의 행가를 설치하되 가지배관 사이의 거리가 4.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4.5m 이내마다 1개이상 설치한다.
또 수평주행배관에도 4.5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common/js/viewer-1.1.2.1.js"></script><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viewer_image_url = "http://blogimgs.naver.com/blog20/blog/layout_photo/viewer/"; var photo = new PhotoLayer(parent.parent.parent); photo.Initialized(); window.onunload = function() { photo.oPhotoFrame.doFrameMainClose(); }.bind(this); </script>

스프링클러 보조펌프에 대하여

스프링클러 보조펌프에대해서 좀 설명해주세요 어디서 자료 복사해서 붙혀넣기 환영 입니다 복사 해서 답달아주세요 그리고 가능하면 웨스코형식도좀 알려주세요...

대연각 화재 사건에 대하여 자세히...

... 14층, 21층, 22층옥상 창고에는 보조기계 장비실이 있다. 2.... 수동식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장치가 있다. 1층에 설치된 비상전원장치는 소화펌프, 엘리베이터, 일부의...

포소화설비에서 일제개방밸브는...

...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 13. “포워터스프링클러설... 부분에 대하여는 호스릴포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1968년도 화재사고

... 화재에 대하여 년도별로 알려 드립니다. 1971년 12.25 06:38 중구... 수동식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장치가 있다.1층에 설치된 비상전원장치는 소화펌프, 엘리베이터, 일부의...

소방시설점검 업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 보조인력(2~3명)의 도움을 받아서 합니다 업무에대하여... 방화샤터, 스프링클러설비, 저수조, 보조탱크의압력 적정여부, 가압펌프 전동기, 비상방송, 템퍼스위치 등등의...

소방시설관리사 질문입니다.

... 옥외소화전설비에 대하여 아래조건을 참고하여... 주펌프, 보조펌프의 운전스위치를 수동의 위치로 한다.... 표준형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을 정방형으로 설치하려고...

기왕증에 대하여

... 위에서 펌프배관 용접작업을 하다가 발을 헛디디는... 작업대 보조발판으로 떨어짐. [사용자측 과실] 착암기의... 내 스프링클러 배수주철 지지철 물 설치를 위하여 2인...

기왕증에 대하여

... 위에서 펌프배관 용접작업을 하다가 발을 헛디디는... 작업대 보조발판으로 떨어짐. [사용자측 과실] 착암기의... 내 스프링클러 배수주철 지지철 물 설치를 위하여 2인...

소방기술사가 되기위한 과정은...

...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누설동축케이블의 손실과... 특성이 동일한 펌프 2대를 직렬운전 할 경우 특성곡선을 X... 간이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에 대하여...

실험실에서 지켜야할 약품과...

... 험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또한 학교 또는 공공단체 등의 실험실과 연구 실에... (5) 스프링클러 (가) 스프링클러는 자동적으로 작동되므로 실험실 작업자들이 임의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