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까지 교육학개론 정리좀 해주세요 내공 100!

내일까지 교육학개론 정리좀 해주세요 내공 100!

작성일 2010.04.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ㅠㅠ 으헝헝

 

레포트를 제출해야 하는데....이거...원...

 

내용이 방대하고 그러다 보니 이걸 어떻게 정리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요약이나 이런걸 잘 몰라서...

 

내일까지 좀 해주세요 ㅠㅠ

 

[교육의 종합적 이해-교육과학사]

1장에서 4장까지요 ㅠㅠ

메일보내주시면 ...내용 보내드릴게요 ㅠㅠ(한글파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교육학개론정리
 

⹁ 교육의 개념

1. 동양:敎→孝 中心으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여 가르친다.→외부 또는 성숙자에 의해 행해지는 행위

育→親 慈 中心으로 가르친다.→내면적 가능성의 저연적 성장을 조성하는 것

맹자의 진심장구에서 언급

2. 서양:E(ex, out), ducare(drowing)

인간의 참된 능력을 밖으로 끌어내어 실현시키는 것→啓發

ex) 서양교육사에서 계발교수법과 가장 관련된 교육사조는?

소크라테스교수방법, 19세기 페스탈로찌 프뢰벨 교수방법

3. 교육의 3요소(교육의 3대장은 가정 사회 학교)

⑴ 주체:교육 활동시 영향을 주는 요소

형식교육:교사, 비형식교육:부모, 사회인사, 선배

⑵ 객체:교육 활동시 영향을 받는 요소. 가장 중요한 요소

형식교육:학생, 비형식교육:자녀, 주부, 노인

⑶ 매개체:주체와 객체를 연결

형식교육:교육내용, 교재, 비형식교육:인간관계, 시설, 장소, 매스미디어

⑷ 학자들의 견해

① 루소:인간, 자연, 사물

② 페스탈로찌:지, 덕, 기→ 3H 조화인(HEAD, HEART, HAND)

③ 로크:체, 덕, 기

4. 교육의 형태

⑴ 듀이의 분류

형식(협의)

비형식(광의)

교육기관에 의한 교육

계획성, 의도성, 지속성, 계속성

교육의 3요소가 모두 포함

학교, 강습소, 직업 훈련소

교육 기관에 의하지 않는 교육

자연 발생성, 단속성

교사나 교재없이 이루어지는 교육

가정, 사회, 자연 교육

⑵ 그리크의 분류

① 의도적 교육:학교 ② 반의도 교육:가정, 직장 ③ 무의도 교육:사회교육

5. 교육의 특성

⑴ 교육의 의도성

① 교육의 목적의식을 성립시킴 ② 어떤 인간을 기를 것인가?

③ 어떤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일으킬 것인가?

⑵ 교육의 계획성:의도성을 실현 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및 접근 전략을 수립하는 것.

넓은 의미에서 계획성은 의도성을 포함한다.

⑶ 교육의 가치지향성:인간의 잠재가능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현

☞ 교육의 기본 전제(기본 가정)

⑴ 인간주의적 가정:교육은 인간존중 사상에서 출발해야 한다.

⑵ 인간 주체론적(결정론적) 가정:인간은 환경에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반응하는 존재

⑶ 인간은 가소성의 존재:인간은 무한한 잠재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⑷ 인간은 과학적 이해의 존재

6. 교육의 기능

⑴ 본질적 기능

① 개인의 인격완성의 기능 ② 교육의 사회화적 기능 ③ 문화전달 창조의 기능

⑵ 사상적 배경을 달리하는 기능

① 보존(보수)적 기능:보수적 입장, 초등 교육단계. 전통문화를 유지하고 보존. 뿌리교육

국적있는 교육

② 적응적 기능:진보주의 입장, 중등교육단계, 급변하는 현실 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기술

③ 혁신적 기능:문화재건주의 입장, 고등교육단계,

전통문화의 토대위에 외래 문화 수용→새로운 문화 창조

7. 교육의 기본구조

⑴ 도야:교사, 학생, 교재에 의한 교육 형태:형식적 교육

⑵ 교화:매개물과 피교육자에 의해 형성되는 교육형태:반의도적 교육

⑶ 형성교육:피교육자가 스스로 형성해 가는 교육형태:비형식적(무이도적) 교육, 환경영향

8. 교육과 훈련(피터스:훈련이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길러주는 것임에 반하여 교육이란 인간의 넓은 신념체제를 다루는 것이다)

교 육

훈 련

타당성에 관심, 가치지향적, 전인적 변화

인간의 신념체계의 변화

신뢰 수치상의 문제에 관심, 가치중립, 일부변화

제한딘 특수 기술의 연마

9. 교육의 가능성과 용도(교육의 본질적인 목적과 교육의 수단적 용도)

⑴ 성장력:인간의 성장 가능성이 성장력을 바탕으로 최대한 발현할 수 있는 성장의 조건을 제공

⑵ 성장조건과 교육의 한계:최적 조건의 미비→ 많은 투자

⑶ 교육의 참 목적과 용도

① 교육의 본질적 목적:자아실현

② 교육의 수단적 용도:교육의 본질적 목적의 성취 결과로 나타난다→ 국가발전, 경제발전

⹂ 사상적 배경에 따른 교육의 정의

1. 인격성(도덕성)에 중점→ 이상주의, 정신 세계의 강조, 절대적 가치의 인정, 이성에 의한 합리적인 사고 강조, 고전 학습 강조

Kant: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작용이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영향을 줌 Piaget→Skohlbury

교육은 본능적 존재(Sein)→가치와 도덕과 당위성을 아는 존재(Sollen)로 변화시키는 것

Herbart:도덕적 품성을 도야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Peters:교육은 바람직한 정신상태를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법으로 의도적으로 실현시키는 것. 교육활동을 성년식에 비유.

공자, 소크라테스, 맹자, 주자, 이황, 이이 등

2. 자연성 강조→ 성선설에 입각, 자연주의의 영향, 인문주의에 대립

Roucou:교육은 인간의 자발 자전을 위한 모든 조성활동이다. 성선설에 입각.

Ellenkey:아동개성의 계발과 자유로운 자기발전을 주장.

「아동의 세기」→주지주의적 교육은 아동에 대한 정신적 살인이다.

Montessory, Neill 등

3. 사회성 강조→ 사회 발전 유지 존속시키기 위해 한 인간의 사회적인 성장의 가능력을 교육을 통해 실현시킴

Dewey: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며 또한 사회진보를 가져오는 근본적인 수단과 방법이다.

Brameld:교육은 사회적 자이실현의 과정이다.

Pestalozzi:교육은 사회개혁의 수단이다. 교육의 목적을 사회개혁에 두었다. 대중교육 강조, 위로부터의 교육을 강조한 플라톤의 엘리트중심 교육관(서민교육 불필요)에 대하여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Natorp, Krieck 등

4. 문화성 강조→ 전세대 문화 유산을 후대에 전달하고 이를 계승 발전 시키는 것

Kerscheugeiner:교육은 문화의 전달과 갱신의 과정이다.

Spranger:교육작용의 본질은 문화의 번식에 있다.

교육의 제 1차적인 관심은 종교적인 각성에 두어야 한다

Paulsen:교육은 문화의 전달이다.

Dilthey:교육은 문화전달의 과정이다.

5. 종교성 강조

Comenius:지상생활은 천국생활을 위한 준비과정이다.

Martain:신의 모방으로서의 인간의 완성이 요청된다.

Willman(독일의 기독교적 교육학자), Frobel(신성의 계발중시) 등

6. 교육의 현상학적인 정의

⑴ 규범(목적론)적 정의:교육을 통해 학문의 진리를 추구한다든지 민주적인 인격을 완성하는 것→ 교육법 1조 홍익인간의 이념에 포함되어 있다.

⑵ 조작주의적 정의→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교육만능설 주장)

⑶ 기능적인 정의→문화 유산을 전달하고 계승 발전 시키는 것

⹃ 교육학(Pedagogy)←Science of education

1. Pedagogy→어원 Paidagogos = Paidos(어린이)와 agogos(인도하다)

고대 그리스에서 어린이를 학교나 체육관 기타 공공장소에 데리고 다니는 노예출신의 교사들→敎僕

2. 학교교육학 과학적 체계화:19C 헤르바르트

◈ 1개의 교육목적:도덕적 품성의 도야

◈ 2개의 기초과학┏윤리학→교육목적론에 영향

┗심리학→교육방법론에 영향

◈ 3개의 교육방법:관리활동(질서유지활동), 훈련활동(도덕적 단련활동)

교수활동(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전달, 흥미유발, 형식단계설)

◈ 4개의 교수단계:명료, 연합, 체계, 방법

◈ 5개의 도덕적 이념:자유, 완전, 호의, 정의, 보상

◈ 6개의 흥미:경험적, 사변적, 심미적, 동정적, 사회적, 종교적

◈ 특징:선지후행→주지적 입장이 강하다. 올바른 행실을 하려면 먼저 무엇이 옳은지에 대한 지적인 표상능력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 저서:일반교육학

☞ 헤르바르트와 주자교육과의공통점은? 선지후행

☞ 선행후지→ 최한기, 경험론적 인식론(로크 베이컨), 진보주의(듀이), 실용주의, 페스탈로찌의 실천노작 교육관(생활이 도야한다)

☞ 표상심리학적 입장→심리학적 지식을 교육학에 최초로 수행한 사람: 나토르프: 종합적 교육학이론 기초과학(윤리학, 심리학) 보조과학(논리학, 미학)

☞ 로크의 형식도야설

◈ Wolff의 능력심리학을 기초로 한다→학교에서 수학교과나 라틴어 교과학습을 열심히 시키면 일반정신 능력이 길러지고, 그래서 그 도야된(길러진) 능력이 여러분야에 일반적 전이를 일으킨다.

예: 판단력, 상상력, 추리력, 기억력, 주의력

◈ 일반적 정신능력, 정신태도를 도야하기 위한 쉬운 교과의 학습을 통해서 그 교과 이외의 모든 사물의 학습에 전이할 수 있는 일반적인 능력을 훈련하는 것을 교육이라 한다.

◈ 능력심리학에 토대를 둔 전이설

◈ 로크의 형식도야설은 18C 칸트의 교육관에서 절정기를 만난다.

◈ 백지설을 주장하여 교육가능설을 주장


⹄ 여러 교육관

1. 루소:18세기 자연주의 교육관]

⑴ 교육:아동의 스스로의 발전을 조장해 주는것→자발자전을 조장(식물재배에 비유)

⑵ 아동중심의 자유교육관:전통교육관에 대하여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이루어 놓은 사람

⑶ 영 향

① 18C 후반 독일 범애주의 교육관(루소의 자연주의 + 기독교의 박애사상)

② 19C 독일 페스탈로찌의 계발주의 교육관 → 프뢰벨의 계발주의 교육관에 영향

③ 19C 후반 미국 신교육운동

㉠ Oswego 운동(sheidon) → 페스탈로찌 사상보급

㉡ Quincy 운동 (Parker) → 페스탈로찌 + 프뢰벨 사상보급

공통점

차이점은 비중의 차이:Oswego운동은 페스탈로찌, Quincy 운동은 프뢰벨에 비중을 둠

④ 20C 미국 진보주의(듀이), 유럽 자유주의(Ellenkey, Neill, 몬테소리)

⑷「Emile」(5부)

① 제1편(1-5세):유아기교육→자연조건을 이겨내게 함을 강조

② 제2편(6-12세):아동기교육→언어의 습득과 감각의 훈련을 시킨다. 독서 필요없다 함

③ 제3편(13-15세):소년기→지식수련의 시기. 노작교육제창, 자기활동·발견주의교육

④ 제4편(16-20세):청년기교육→도덕교육과 종교교육의 시기.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교육.

⑤ 제5편(여자교육론):현모양처가 되는 방법.

2. Durkhein「교육과 사회학」교육사회학의 아버지

⑴ 교육의 본질=사회화(미숙한 존재를 성숙한 존재로 변화시키는 활동)

⑵ 보편적 사회화→보편적인 생활양식을 내면화하는 활동.

특수적 사회화→특수한 생활양식을 내면화하는 활동(전문교육)

⑶ 평균인 양성추구→문화 기대에 잘어울리는 사람 또는 집합표상을 잘 수용한 사람.

*집합표상:그 사회가 구성원들에 대해서 요구하는 보편적인 사회의식을 말한다.

☞ Anomie:구체적 상황속에서 행동규범이 명확하지 못한 무규범상태. 초기 사회화과정의 잘못이 원인

3. Spencer「교육론」완전생활 준비를 위한 교육설. 교육의 목적을 완전생활(이 지상에서의 행복한 생활→코메니우스 교육목적관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⑴ 생활영역중심 교육과정운영(5대영역)→훗날 F.Bobbitt의 활동분석법에 영향

① 생존에 직접 필요한 지식 획득(생리학)→ ② 자기생존에 간접적으로 필요한 지식 획득(수학, 과학)→ ③ 자녀 교육에 필요한 지식(심리학, 가사학)→ ④ 공동생활에 필요한 지식(역사, 공민과)→ ⑤ 여가 생활에 필요한 지식(레크레이션, 예능)

2) 사회유기체설→생명을 가진 유기체에 비유

4. R.S Peters:「윤리학과 교육」→ 현대영국의 분석주의 철학자.

분석주의:개념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혀서 객관적으로 정리하는데 촛점을 둠.

⑴ 교육 의미분석

① 규범적인 기준:교육이란 바람찍한 정신상태를 추구하는 활동이다→교육목적론적 접근

② 인지적인 기준:교육은 지식의 형식을 중심으로 가르쳐야 한다→교육내용론적 접근

③ 과정적인 기준:교육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해서 도덕적으로 용당한 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교육방법론적 접근

보충) 교육과 훈련을 구별할 때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가치성의 기준이다.

⑵ 교육활동을 ① 학문에 의해서 도야된 안목을 가지고 세상을 밝게 보게해 주는 활동

② 문명된 삶의 형식을 후세들에게 수용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활동(성년식에 비유)이라 설명

⑶ 피터스는 교육과 훈련의 개념 비교, 인격의 기능을 세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① 입법적 기능:스스로 규범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

② 집행적 기능:설정된 규범을 실천할 수 있는 기능

③ 심판적 기능:스스로 행한 행동들을 반성할 수 있는 기능.

⹅ 교육목적

1. 정의:교육활동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수준

학생의 행동변화로 귀착:도착점행동(Mager), 성취수준(Gagne)

예) 과학인을 육성, 생산인을 육성

2. 위계:교육이념 → 교육목적 → 교육목표 → 단원목표 → 수업목표

☞ 교육목표:교육목적의 하위개념, 구체적이고 좁은 의미의 목적의식

예) 과학적 태도를 함양, 분석적 사고력을 배양하자

☞ 교육이념:교육목적의 상위개념, 교육이 추구하는 최대 이상, 교육목적에 철학적 관점제공

3. 논쟁

⑴ 교육목적 내재설:듀이→교육활동 그 자체가 교육목적이다.

피터스→교육의 개념 속에 교육목적이 들어있다.

⑵ 교육목적 외재설(랭포드와 그린):교육의 목적은 장래생활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4. 교육목적의 기능

⑴ 방향제시의 기능: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⑵ 학습경험의 선정기준:학습경험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⑶ 학습평가의 기준제공:절대평가의 경우 교육목표 달성도를 측정한다.

⑷ 교육활동의 통제기능:교육목적의 한계에 의해서 모든 교육활동이 이루어진다.

⑸ 학습동기 유발의 기능:교육목표가 확실할수록 동기유발이 촉진된다.

☞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는?

교육목적 확인→ 평가장면 결정→ 평가도구 제작→ 평가실시·채점→ 평가결과 해석·활용

☞ 목적하는 바를 얼마나 충실히 달성하고 있는가의 정도를 평가의 타당도(합목적성)라 한다

5. 교육목적의 설정자원(Tyler의 견해)

+---------------+ +---------------+ +---------------+

| 학습자의 요구 |---------------| 사회의 요구 |-------------+ 전문가의 요구 |

+------+--------+ +-------+-------+ +-------+-------+

+--------------------------------+-----------------------------+

↓(1차 추출)

+----------------------------------------------------+

+--------------+-------------+ +-------------+---------+

|교육철학의 요구〔제 1의 채〕| | 학습심리적 요구 |

+--------------+-------------+ +-------------+---------+

+----------------------------------------------------+

최 종 목 적

6. 교육목적의 설정 및 진술원리

⑴ 교육목적의 철학적 일관성 ⑵ 교육목적의 구체성 ⑶ 교육목적의 포괄성

⑷ 교육목적의 실현가능성

⑸ 교육목적의 주체에 대한 내면화:교육목적을 학교에 근무하는 모든 교직원이 받아들여야 함

⑹ 교육목적의 가변성

보충) Wesley 교육목적 진술원리

⑴ 실현가능성의 원리: 성취 가능한 것 ⑵ 현실성의 원리: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것.

⑶ 능력의 원리: 다룰수 있는 내용 ⑷ 사회의 원리: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것.

7. 교육목적의 이원분류

⑴ 의의:교육목적을 내용과 행동으로 진술한다.

⑵ 필요성:교육목적의 설정뿐만 아니라 교육평가를 위한 준비과정에서도 필요하다.

⑶ 내용면의 분류:교과영역이나 교과서의 단원에 따른다. 개조식(주제나열식)으로 표기한다.

⑷ 행동면의 분류

① 인지적 영역(위계적으로 분류하기가 가장 용이하여 가장둁 많이 인정 받는 영역)

단 순 ㉠ 지 식:단순암기수준, 정보재생능력

↑ ㉡ 이해력:의미파악능력(번역, 해석, 추론능력)

예) 우수한 학생에게 비교적 쉬운 문제로 검사를 실시하면 어떤 분포로 나타날까요?

㉢ 적용력:사태에 응용하는 능력(문제해결능력)

㉣ 분석력:요소간의 관계 파악, 조직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

↓ ㉤ 종합력: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내용 및 요소 정리·조직능력

복 잡 ㉥ 평가력:준거에 의해 대상을 비판할 수 있는 능력(가치판단능력)

예) 무기화합물과 유기화합물의 특징을 비교하시오→ 추론적 발문

② 정의적 영역(위계적으로 분류하기가 가장 어려운 것)

얕 다 ㉠ 수 용:감수. 주의집중 또는 관심을 표명하는 것

↑ ㉡ 반 응:흥미 만족을 보이는 것

내면화 ㉢ 가치화:의의나 가치를 부여하는 내면화의 정도(확신, 가치수용, 가치선택)

↓ ㉣ 조직화:가치체계의 종합(가치의 개념화, 가치체계의 조직)

깊 다 ㉣ 인격화:개인의 독특한 생활방식을 형성(성격화, 일반화딘 행동태세)

③ 심동적 영역(Bloom이 직접 분류한 것이 아님)

단 순 ㉠ 반사적 운동:의사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동작(엄밀히 보면 심리운동이 아니다)

↑ ㉡ 초보적 운동기능:심리가 작용해서 나타나는 가장 단순한 행동

㉢ 운동지각 능력:외부자극을 받아들여 행동할 수 있는 능력

㉣ 신체적 기능:체력과 근육운동, 민첩성

↓ ㉤ 숙련된 운동기능:경기규칙에 입각하여 경기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유연, 능률성)

복 잡 ㉥ 동작적 의사소통:몸짓이나 표정을 통한 의사소통능력(Body language)

⹆ 시대별 교육목적

1. 원시사회의 교육목적

⑴ 교육목적:생활의 안정과 심리적 안정

⑵ 교육내용:생활경험

⑶ 교육방법:경험, 모방, 성년식(집단수호의지, 협동심, 인내심)

⑷ 윈시사회의 교육이 갖는 교육사적인 의의→ 교육의 원형적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보충) 생활중심교육

① 비형식적교육 ② 원시교육

③ 기사도교육(화랑도): 기사도와 화랑도의 유사점→종교성이 있다. 계율이 있다

기사도교육은 기독교 화랑도는 유·불·선 + 토속신앙

④ 길드교육(도제교육): 엄격하고 단계가 있음(견습공→ 직공→ 직장)

2. 고대사회의 교육

⑴ 고대 희랍교육(Hellenism교육관)

① 특징:현세주의, 자연주의, 낙관주의

② 교육목적:조화로운 인간(예:플라톤의 진선미조화인)

③ 시대개관

고 그리스시대

신 그리스시대

B.C 10 B.C 5 B.C 4 BC 1

*호메로스시대

*호모의시→자긍심

*지혜롭게 사는것이

*지덕체 전인교육관

*역 사 시 대

초기아테네시대

스 파 르 타


*과 도 시 대

*후기아테네시대




*세계주의시대

*주지교육발달

*대학수준의 학교발달

*아카데미아(플라톤)

*리슘(아리스토텔레스, 소요학교)

*수사학교

☞ 히브리 사람들의 교육관에서 가장 우선시 했던 덕목은 무엇일까?

Hebraism교육관→ 신앙제일주의

덕> 지> 체 조화인

세계시민주의(평등주의), 내세주의, 금욕주의, 염세주의


⑵ 고대 로마의 교육

① 교육목적:로마적 선인 양성→ ㉠ 준법적 시민

㉡ 용감한 군인:스파르타 교육목적과 동일

㉢ 유능한 지도자(웅변인)

㉣ 실용적·실제적 인간(근면, 검소, 강건한 사람)

② 특징:모방성, 실제성이 대단히 강했다. 국고에 의한 학교교육 지원

③ 시대개관

왕정시대(BC 8 ∼ BC 6)

공화정시대(BC 6 ∼ BC 1)

제정시대(BC 1 ∼ AD 5)

*학교교육 존재하지 않음

*가정중심 교육


*학교등장

*로마의 독자성 유지노력(사치적인 희랍의 문화가 유입되는 것 반대)

*학교교육발달, 도서관↑

*주지적교육 발달

*사회의 윤리·도덕 쇠퇴

*로마의 독자성이 무너지고 희랍문화에 의해서 정신적으로 지배당함


3. 중세 사회의 교육

⑴ 시대 개관

중세전기(AD 5 ∼ AD 11)

중세후기(AD 11 ∼ AD 15)

십자군 원종

*암흑의 시대

*기독교의 형식적인 권위가 강함

*세속의 시대

*세속적인 지식이 요구되었던 시기

⑵ 교육목적:기독교적 관점→ 기독교인 양성

세속적 관점→ 실용적 양성(대학교수)

☞ 중세 사회에서 최초로 공인을 받았던 대학은 어떤 대학인가? 볼로냐대(1088, 伊, 법학)

☞ 살레르노(伊, 의학) 파리대(프, 신학) 옥스포드university(영, 세계 최초의 종합 대학교, 본과→법·의·신학, 인문학부→ 교양)

☞ Collegy〔←Collegum〕→ 합숙소, University → 교수와 학생의 연합체


4. 근대 사회의 교육

⑴ 르네상스운동 배경하의 고인문주의 교육

개인적 인문주의

개인의 인격완성추구

고전을 수단시

사회적 인문주의

사회개혁 발전추구

형식적 인문주의

키케로주의

화려하고 훌륭한 문장 문체 어법 암송

고전을 목적시

*르네상스의 원뜻은 재생 부활의 의미가 있고 르네상스의 근본정신은 휴머니즘이다.

⑵ Reformation movement를 배경으로 한 교육(신교주의)

① 교육목적:성속일치의 기독교인 양성→ 형식이나 권위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내면적인 자유 신앙을 추구하는 기독교인

② 특징:성서지상주의, 초등교육 발달에 공헌

평등주의 사상→ 여교사 출현의 계기 마련

만인 사제주의

⑶ Anti-Reformation movement를 배경으로 한 교육(구교주의)

① 교육목적:구교질서옹호

② 특징:교사양성(사범교육)교육에 관심

청년교육 발달→ 중등교육 발달에 공헌

⑷ 17세기 실학주의 시대의 교육(시청각교육 발달에 공헌, 실용성 실천성을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생각)

인 문 적 실 학 주 의

사회적 안목을 길러준다→ 사회참여능력↑

사 회 적 실 학 주 의

유능한 지도자 양성(신사: 덕성, 지혜, 예절, 교양)

감각적(과학적) 실학주의

자연의 법칙 발견·활용→ 행복↑

⑸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

① 자연주의(루소):선성(자연성) 계발

② 합리주의(칸트):이상적인 인격도야, 로크의 형식도야설을 수용하여 더욱 발전시킴

③ 범애주의(바제도우 잘즈만):애국애족적 시민양성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행복한 시민 양성

자선적교육→일요학교, 조교제학교, 실과학교, 유아학교운영

☞ 18세기 후반에 특수교육이 성립됨(맹아 농아학교 설립, 수화법 고안)

⑹ 19세기 신인문주의 시대의 교육

① 계발주의→ 인간의 잠재적 능력 계발(신성의 계발)

② 국가주의→ 애국심

③ 과학적 실리주의→ 과학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행복한 생활추구

5. 현대의 교육

⑴ 19세기 후반 신교육운동

⑵ 20세기 미국:① 진보주의 ② 본질주의 ③ 항존주의 ④ 문화재건주의

⑶ 20세기 유럽:① 분석주의 ② 실존주의

6.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⑴ 전통교육에서의 교육목적:유교적 입장에서 인재, 선인의 양성 등. 교육내용은 유교경전

⑵ 오늘날의 교육목적

① 헌법상의 교육조항(제31조)

㉠제1항→ 기회균등조항 ㉡제2항→ 의무교육조항 ㉢제3항→ 무상의무교육조항 ㉣제4항→ 교육의 자율성 조항 ㉤제5항→ 평생교육 조항 ㉥제6항→ 교육에 대한 법률제정 조항

② 교육법 제1조의 교육이념 및 교육목적

◈교육이념:홍익인간의 이념

교육목적 +-◈민주적인 사회개조를 위한 자유로운 인간

+-◈빈곤을 극복하고 경제적인 자립을 할 수 있는 생산적 인간

+-◈생활의 합리화와 문화수준의 향상을 위한 과학적 인간

+-◈민족의 독립과 인류의 평화를 위한 평화적 인간

③ 각급 학교별 교육목적

㉠ 유 치 원:"유치원은 유아를 보육하고 적당한 환경을 주어 심신의 발육을 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국민학교:"국민학교는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초등 보통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중 학 교:"중학교는 국민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보통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고등학교:"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고등 보통교육과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대 학 교:"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광범하고 정치(精緻)한 응용방법을 교수·연구하며 지도적 인격을 도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특수학교:"특수학교는 맹아 농아자 정신박약자 기타 심신장애자에게 국민학교 중학교에 준한 교육과 생활에 필요한 지식가 기능을 가르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은 심신 청각장애자 정신지체 시각장애자 등을 대상으로 하며 학급당 15인 이하로 구성한다"

학령아동:교육법상 만 6세가된 다음날 이후의 최초의 학년초부터 만 15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학년말까지

적령아동:국민학교에 취학할 연령에 도달한 아동

7. 미국의 교육목적

⑴ 중등교육의 7대원리

① 건강 ② 기본과정의 습득(3R's) ③ 가정관계 ④ 직업 ⑤ 시민교육 ⑥ 여가선용

⑦ 도덕적 품성

ex) 미국 현대교육철학 중에서 개개인의 건강증진에 관심을 갖는 대표적인것은? 진보주의

⑵ NEA(미국교육 연합회)의 교육정책 위원회가 제시한 미국 민주주의에 있어서의 교육목적

① 자기실현의 목적 ② 인간관계의 목적 ③ 경제적 능률의 목적 ④ 공민적 책임의 목적

⹇ 수월과 평준

1. 수월

◈생활의 모든 면에 있어서 최상의 표준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을 수월이라 한다.

◈수월은 민주사회의 원리 중 하나인 평등을 파괴하여서는 안된다.→ 문제점

◈교육의 질적수준 향상을 지향하는 것이다.

◈Gardner "수월은 개인의 생활을 풍요하게 하는 요인일 뿐 아니라 사회를 향상시키고 인류를 전진시키는 절대적인 요인이기도 하다."

2. 평준

◈아리스토텔레스 "동등한 사람을 불평등하게 다루는 것은 정당할 수 없음과 같이 부동등한 사람을 동등하게 다루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민주적 평등의 내용:개인적 차별의 인정, 획일화의 회피

3. 평등과 교육

◈교육을 받을 동등한 권리 ◈동등한 교육절차 ◈다양성의 고무 ◈평등과 수월의 조화

◈최저 한도의 표준설정

4. 수월을 위한 교육

◈기능적 엘리트:신분보다 능력을 중시.

◈다수의 엘리트:소수보다는 다수의 엘리트 형성이 중요.

◈엘리트의 복수화:다방면의 지도자 양성지향

◈엘리트는 반드시 사회에 봉사하는 것을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 교육만능설(환경만능설, 교육가능설, 교육긍정설)

⑴ 이상주의적 입장에서 교육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는 설

⑵ 환경을 중요시→ 인간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의 작용이라 보고, 소질까지도 환경의 힘으로 변화시킬수 있다고 주장

⑶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성질을 가소성 또는 도야성이라 한다.

⑷ 칸트 "인간은 오직 교육에 의해서만 인간다운 인간이 될 수 있다"

⑸ 라이프니쯔 "교육을 통해 반세기 이내에 유럽인의 성격을 일변시켜 놓을수 있다"

"사람이란 방법 여하에 따라 의도하는 데로 될 수 있다"

⑹ 로크:심의 백지설

☞ 교육부정설(소질만능설, 교육불가능설)

⑴ 교육의 효과를 의심하고 부정하는 설

⑵ 교육은 선천적 가능성을 구현시켜주는 일에 불과하다.

⑶ 쇼펜하우어:사람이란 소질이 지배하는 것이며, 미래의 발전도 소질에 의해 결정된다.

⑷ 롬브로소:범죄자 골상연구 ⑸ 멘델:유전법칙

☞ 교육이 한계설

⑴ 교육이 효과는 인간이 내적 요인(유전)과 외적요인(환경)에 의해 제한 받는다.

⑵ 유전과 환경의 상호 작용(Woodworth)

B = f( H E )

환경 +------+

+------+

유전

⑶ 레빈 B = f ( P . E )

⑷ 폭주설:환경과 유전 쌍방의 상호 작용을 폭주라 부름

☞ 가소성(Plasticity)

1. 의의:인간의 타고난 소질변인이 환경자극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는 성질. 교육가능성

2. 견해:통설→ 상호작용설 입장(환경 [<-->] 교육)

극단설→ 과신:환경만능설(교육만능설)

→ 불신:소질만능설(교육부정설)



☞ 상호작용설

① Woodworth:상승적(相乘積)이론

D(발달의 양) = f(H·E)

② Lewin:장(場)이론→ B(행동) = f(P(개체변인)·E(환경변인))

장이란 인간 행동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생활공간을 말한다.

③ Stern:폭주설(Convergenth) H-↘

→ D

E-↗

④ Jensen:D 㟔 (H(80%) ↔ E(20%))

⑤ Luxemberger:인간의 발달은 유전변인과 환경변인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 환경(사회화)의 중요성:결정적 시기를 놓치게 되면 가소성에도 한계가 있다.

① 1920년경 늑대소녀의 실례(싱목사가 양육:Amara-Kamara)

② 맹모삼천지교, 말은 제주도 사람은 서울

③ 로크:백지설(Tabula-rasa)→ 경험론적 인식론 지지

④ Watson / Leibnith→ "우리에게 교육을 다오. 그리하면 반세기 안에 유럽사회를 바 꾸어 놓으리라" / Lysenk 춘화처리이론

⑤ 루소

⑥ Hassia 야생아실례(Comenius), Marie Yvonne실례(Vellard), Averon야생아실례(Ittard)

☞ 소질중시

① Mendel, Morgan

② Lombroso(범죄자 골상연구)

③ Schopenhauer

④ 가계사 연규들:Edward가문연구→ 우수가계연구

Max Juke→ 열등가계연구

Kallikak(Goddard연구:정박아 연구의 선구자)→ 정박아가계연구

☞ 교육학에서 말하는 환경→ Murray, Stern

α- Press:객관적이며 물리적인 환경

β- Press:모두가 공통으로 지각하고 있는 심리적인 환경

γ- Press:개인이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심리적 환경


⹈ 교육에 관한 여러 견해들

보충) 교육의 조작적 정의→ 교육을 인간 행동의 게획적인 변화로 보는 입장이다(정범모)

+인간행동+ 외현적 행동(가시적 행동):몸짓, 손짓, 울기, 말하기, 낭독

| + 내현적 행동(정신적 행동):지식, 태도, 가치관, 동기

+계획:의도성(교육목적, 프로그램을 포함)

+변화:육성, 계발, 개선, 발달 등을 포함(발전적, 긍정적인 변화만을 의미)


4. 교육에 대한 정의방식

⑴ 규범적 정의

◈교육에서 추구하여야 할 가치를 제시하는 경우의 정의로 프로그램적 정의

◈가치지향적, 목적론적정의

◈교육활동에 중요한 방향감과 목적의식을 준다.

◈교육은 ∼해야 한다, ∼이어야 한다.

◈예: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이어야 한다.

① 주입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가치있는 지식이나 신념을 전달해 주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가장 원시적인 교육관이고 순박환 교육관

◈교육의 교화적 입장 강조

◈두가지 권위주의에 빠지기 쉽다

→주입자:주입내용 선택·평가의 권위, 피주입자:강제수용

② 주형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바람직한 활동을 형성시키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초한 교육관(스키너의 차별적 강화기법)

◈아동은 석회나 진흙 교사는 제작자

◈학습자는 피동적이고 타율적인 존재

◈교육만능설을 묵시적으로 주장

③ 도야로서의 교육관

◈교육은 일반적인 정신능력을 배양해 주는 활동이어야 한다.

◈관련

→Wolff의 능력심리학에 기초한 로크의 형식도야설(일반능력의 전이설, 전이설의 효시)

→교과형 교육과정의 운영(예:7자유교과), 교양배양

④ 계명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무지로부터 학생을 해방시켜 주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플라톤「국가론」→동굴의 비유 "철학자는 밝은 빛으로 무지자를 깨우쳐야 한다"

⑤ 성장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아동의 천부적 잠재력 및 개성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나타나는 것

◈루소, 프뢰벨, 듀이

⑥ 자아실현으로서의 교육

◈교육은 인간의 잠재능력을 실현시켜 주는 작용이 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아실현 최초로 소개, 교육의 목적은 행복의 실현(자아실현)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심리학의 제3세력)

→인간의 욕구단계설(매슬로우):최초의 욕구는 자아실현, 인간의 동기를 계속동기와 결핍동기로 구분하고, 자아실현을 성장동기의 계속적 충족을 기하는 과정으로 설명

→로저스의 이상적 인간상→만발기능인(㉠창조적인 사람:늘 새로운 삶을 알아가는 사람 ㉡자유로운 사람:스스로 결단하고 책임지는 사람 ㉢실존성이 높은 사람:주체성이 있는 사람 ㉣신뢰성이 있는 사람 ㉤경험개방성이 높은 사람:인간적인 교류가 원활한 사람)

→Allport:이상적 인간상→성숙인

cf) 정신분석학적 세력(제 1세력), 행동주의적 세력(제 2세력)

⑵ 기술적(서술적)정의

◈인간 변화의 설명 원리만을 규정할 때의 정의.

◈가치중립적, 가치개방적, 조작적정의

◈교육은 ∼이다. 예:교육은 인간행동의 변화이다.

◈교육활동과 교육현상에 비교적 객관적인 안목으로 접근하는데 편리

① 행동변화로서의 교육:교육은 학생 행동의 성취를 관찰하고 평가하여 이것을 신장시키거나 변화시키는 과정

☞ 행동의 개념: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을 명시적 행동이라 하고 명시적 행동에 의해 추리해 낼 수 있는 인간의 내적조건(성향)을 암시적 행동이라고 한다.

② 문화획득으로서의 교육:교육은 문화의 전승과정이고 개조과정이다.

③ 경험의 개조로서의 교육:교육이란 경험의 형성 또는 개조의 과정 그 자체이다.

교육적의미를 가진 경험이란 성장가능한 경험이며, 성장가능한 이유는 지력때문이다.

④ 습관형성으로서의 교육:교육은 필요한 습관을 형성, 변화, 개조, 성장시키는 과정.

교육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습관은 지력의 습관 즉, 문제해결의 방법적 과정에서 사고하는 습관

⑶ 약정적 정의

◈교육과 관련된 다른 활동과 교육을 구별하려는 하나의 약속으로서의 정의

◈교육은 ∼이라고 하자

◈예: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라고 하자.

⹉ 전인교육과 평생교육

1. 전인교육

⑴ 개념:지·덕·체가 조화된 전인을 기르기 위한 교육, 자아실현을 도모하는 교육

⑵ 필요성

① 학문 중심교육과정의 보완으로 중시(주지적교육 극복→ 인간 삶의 충실을 촉진)

② 현대 산업사회의 인간소외의 문제를 극복

⑶ 구현방안

① 능력(적성)별 학습지도:수업의 개별화 방안 고안(IPI, ATI, TTTI활용)

② Guidence활성화:학생 개인이 자기자신 및 주변의 환경세계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를 하고 자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해 주는 서비스과정을 말한다.

③ 교과활동(주로 인지적능력↑)과 특별활동(주로 정의적·심동적능력↑)의 유기적 연계

☞ 제 6차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별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학급활동, 학교활동(학생회활동 + 학교행사), 클럽활동, 단체활동

☞ 한국에서 최초로 특별활동을 규정했던 문서는 1954년도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령에 의해 처음으로 언급

④ 수업지도에 있어서 종합화의 원리를 추구한다.

⑷ 사상적 배경

① 진보주의:경험형 교육과정(듀이), 전인교육의 주장

② 인본주의 심리학(제 3심리학):인간의 존엄성 강조

③ 실존주의:인간중심적 교육과정

㉠ Bollnow:만남은 교육에 선행한다. 교육이란 졸고 있는 영혼에 고통을 주어서 호虁심을 겪게하는 작용이다.

㉡ Buber:만남에 의한 인격교육 중시

㉢ Frankl:의미치료기법고안, 현존분석기법고안

㉣ Binswanger:실존은 세계 내의 존재이다(나와 너의 세계, 주변환경세계, 고유아의 세계)

㉤ Boss:의미라는 것은 드러나는 것이다.

⑸ 시대별중점

① 헬레니즘교육:지 > 덕 > 체

② 헤브라이즘교육:덕 > 지 > 체

③ 고종(교육입국조서, 1895→ 한국 근대 교육을 위한 최초의 법제도적 근거):덕>체>지

④ 로크:체 > 덕 > 지(한국의 이기「해학유서」)

⑤ 페스탈로찌:3H 조화인(Head→ 지적능력, Heart→ 정의적능력, Hand→기술적능력)

2. 평생교육

⑴ 개념:평생동안의 모든 형태의 교육으로서 가정·사회·학교교육을 모두 포함한다.

⑵ 3대관점

① 이념적 관점:삶의 질적 수준 향상을 추구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

② 포섭적 관점:모든 형태의 교육을 수직적(시간)·수평적(일정시점에서 통합)으로 통합한 교육

③ 기능적 관점:문제해결 능력을 높여서 실질적인 현실참여 능력을 제고한다

⑶ 4대이념

① 전체성:전체의 교육에 정통성을 부여

② 통합성:다양한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결

③ 융통성:각자의 처지에 알맞게 고려해주고

④ 민주성:각자의 요구에 알맞게 교육해 주는 것

⑷ 용어사용

① 1965년 이후 UNESCO에 의해 평생교육의 개념발달→ Paul Lengrand

② 1970년 세계교육의 해의 지도이념

③ 1980년 제 5공화국 헌법에 평생교육 조항규정

④ 제 6공화국 헌법에서는 제 31조 5항 6항에 규정

⑸ 필요성

① 삶의 질적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② 현대사회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③ 지식의 팽창과 정보의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

④ 학교교육의 한계점과 역기능을 극복하기 위해서

⑤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과 여가시간의 증대

☞ 학교교육의 무용론→ 갈등론자의 주장

오늘날 학교교육은 인간적인 학습기능에 있어서 실패한지 오래다.

오늘날 학교교육은 차라리 하지않는 것이 더 좋다.

라이머→ 학교는 죽었다 -+

+-학교기능:학습기능, 교화기능, 보호기능, 선발기능

일리치→ 학교없는 사회 -+


⹁⹀ 학교교육

1. 특징:⑴ 도야교육 ⑵ 조직성 ⑶ 계획성 ⑷ 일관성, 계속성, 합리성

2. 교육의 역기능: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인간의 자아실현에 두지 않는 데서 파생된다.

⑴ 창의성 저해 ⑵ 자율성 저해 ⑶ 현실적응성 약화 ⑷ 인간적인 접촉 약화

3. 개혁을 위한 노력(예)

⑴ 섬머힐 학교(영, Neill)

① 기초:루소의 성선설에 입각한 아동관

② 핵심가치:자율

③ 목적:창의성이 넘치는 행복한 시민양성

④ 낭만주의적 교육관

⑵ 노작학교(독, Kerschensteiner)

① 실천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학교

② 진보학교:아동중심학교, 학교를 축소 사회로 생각

⑶ 지역사회학교(Olsen):궁극적인 목적은 생활개선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생활문제중심 중핵형교육과정 운영

⑷ 아동의 집(Montessory), 평화의 집(Targor), 전원학교(Lietz), 로슈신학교(Demolin), 아보스호름학교(Reddie), 현산학교(한서 남궁억)

4. 학교의 기능

⑴ 학교의 사회적 기능

① 학교는 사회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 사회인으로서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과 태도를 가르친다.

③ 가정과 사회의 교량적 역할을 한다.

⑵ 학교의 사회개혁적 기능

① Brameld "교육은 사회를 개혁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② 학생들에게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지시, 기능, 태도, 신념을 가르친다.

③ 학교가 사회개혁의 지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⑶ 학교의 사회통합적 기능

① 학교는 공동생활을 통하여 계층문화의 융화가 이루어진다.

② 문화의 공통요인을 형성 전수한다.

보충) Green교수활동

조 건 화 훈 련 수 업 교 화

+------------+------------+------------+------------+

+-------------------------+-------------------------|

습관이나 행동형성 지식이나 신념형성에 관심

교화:지식이나 신념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활동(목사의|설교, 대중연설)

형성:무의도적인 교육→ 예:인간은 자연의 학생이다.


⹁⹁ 가정교육:가족 상호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1. 중요성:가소성이 풍부한 시기를 가정에서 보내기때문

2. 가정환경

⑴ 환경:인간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자극이나 압력을 말한다.

⑵ Murry Stern

α- Press:객관적이며 물리적인 환경(학교시설, 학교규모)

β- Press:모두가 공통으로 지각하고 있는 심리적인 환경

γ- Press:개인이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심리적 환경

⑶ 과정변인과 지능상관(Wolf), 과정변인과 학업성취상관(Dave)

C

+-----------+ ----------------------------------+

| 지위환경 | +-------------+ |

+-----------+↘| |A+-------------------------------+

| 과정 환경 |→| 지 능 발 달·학 업 성 취 |

+-----------+↗| | +-------------------------------+

| 구조환경 | +-------------+ |

+-----------+ ----------------------------------+ A > B > C

지위환경:객관적이며 물리적인 환경

구조환경:체제환경(eg) 양육체제(방식))

과정환경:순수한 심리적 환경

⑷ 가정환경의 2대구분: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

⑸ 가정환경의 하위개념

① 지위환경:부모의 SES, 부모의 상태, 거주지의 생태적 조건

② 구조환경:가정 내의 문화적 상태, 위생상태, 언어모형, 가치지향성, 강화체제

③ 과정환경:가족간의 상호관계, 상호작용, 심리적요인

보충) 과정환경이란?

① 환경을 외적 조건과 개인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

② 동적인 작용측면을 강조 ③ 상호간의 인간관계의 질

④ 과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3대 변인은 ㉠부모의 언어모형 ㉡부모의 자녀에 대한 성취기대(압력) ㉢학습조력


⑹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성격

① 과보호적인 부모:약한 사회적응성, 의존적, 미숙, 고립, 사려성, 책임감부족, 판단력부족

② 거부적인 부모:공격성, 관심을 끌려고 함, 침착하지 못함, 반항적, 싸움 잘함

③ 지배적인 부모:정직, 친절, 조심성, 부끄러워함, 눈치빠름, 열등감, 미숙, 당혹

④ 복종적인 부모:고집이 셈, 공격성, 반항적, 우월감, 부주의, 지나친 자신감

⑤ 수용적인 부모:협동성, 우정, 충성, 정서적 안정, 명랑, 자신감

자율

+----------------------+----------------------+

| 민 주 적 | 방 임 적 |

수용 +----------------------+----------------------+ 거부

| 과 보 호 적 | 전 체 적 |

+----------------------+----------------------+

통제

⹁⹂ 사회교육

1. 정의:학교교육 이외의 모든교육(계속교육(영), 기본교육(UNESCO), 순환교육(OCED))

2. 사회교육형태

⑴ 학교중심의 사회교육

① 간접적 방법:학교의 시설과 설비를 지역사회 주민에게 개방함으로써 사회교육에 공헌

② 직접적 방법:학교가 독자적인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법

문맹퇴치, 어머니 교실, 새마을 교실, 청소년 직업교육, 대학의 주부교실, 시민교양강좌

⑵ 준학교 형태의 사회교육

교육법에 규명된 학제 중 기간학제가 아닌 방계학제에 의한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육

공민학교, 고등공민학교, 방송통신대학, 기술학교, 개방대학

⑶ 사설학원 형태

3. 특징:⑴ 현실생활 관련성 ⑵ 자율성 ⑶ 자발성 ⑷ 적응성

⹁⹃ 교육제도

1. 개념:널리 국민교육을 가장 유효 적절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마련된 교육행정 및 교육실시상의 법적 그리고 실제상의 기구 및 제도

2. 학교제도:각종·각급 학교의 전반적인 조직을 통칭하는 말로 보통 학제라 부른다.

⑴ 단선형

◈부국강병을 위한 국가정책과 교썂기회의 균둥이라는 시민권의 발로로, 능력에따라 고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즉 모든 국민에게 교육의 기회균등 등의 정책실현을 가능하게하는 학교체계→ 통일학교운동

◈행정을 취하는 척도가 연령이라는 의미로 연령계층형이라 한다

◈보통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의 3단계

◈미국형

⑵ 복선형

◈지도자계층의 학교계통과 서민계층의 학교계통이 분리되어 있는 학교제도

◈독일의 김나지움, 프랑스의 리세, 영국의 그래머스쿨→ 지배계급의 자녀를 위한 학교

◈유럽형

♣실제로는 2개가 복합하여 있는 형 즉 양자의 중간형이 많이 있다.

♣단선형은 단적으로 말하면 민주형, 복선형은 독재형·전제형이라고 할 수 있다.

3. 의무교육제도

⑴ 의무교육의 실시는 교육의 기회균둥사상에 입각하고 있다.

⑵ 의무교육제도의 3가지 요소는 취학의 의무, 학교설치의 의무, 교육의 보장의 의무이다

⑶ 의무교육의 본질적 의의는 공공의 책임으로 교육권을 보장하는 데 있다.

⑷ 의무교육이 국가에 의해 보장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독일의 루터에 의해 처음 주장되었다.

⑸ 우리나라 의무교육제도

헌법에 ①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어린이에게 초등교육을 받게할 의무를 가진다.

③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라고 규정

교육법에 ④ 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가 만 6세가 도니 익일 이후의 최초 학년 초로부터 만 15세가 되는 날이 속하는 학년 말까지 취학시킬 의무가 있다.

4. 복식학급과 단식학급

⑴ 복식학급: 한 학급에 2개 학년 이상의 학생을 수용하기 위하여 편성하는 학급

교실의 부족, 교사의 부족, 학생수의 부족 등이 원인

⑵ 단식학급: 같은 연령, 같은 학년의 원아·아동·학생으로 편성하는 학급 

http://blog.naver.com/goldcrack/100004575148

교육학개론 정리좀 해주세요 내공 100!

... 어떻게 정리해야 될지 모르겠어요;ㅁ; 요약이나 이런걸 잘 몰라서... 내일까지 좀 해주세요 ㅠㅠ [교육의... 내용 보내드릴게요 ㅠㅠ(한글파일) 교육학개론정리 교육의...

교육학개론 도와주세요 내공 100드릴...

... 부탁 드리겠습니다 내일까지 빨리 해야되요 교육의 어원은 eduoc란 라틴어에서... 중국 후한시대의 [설문해자]책에 의해 정리하면, 교자는 성인이 위에서 베풀어 주는...

일반사회 임용고시 학원 추천좀 해주세요

... 일반사회 교원임용고시로 유명한 학원 알려주세요..... 7,8월에 교육학정리하고, 9월,10월에 교육학과... 실력을 100% 발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틀린 문제는 표시를 ...

9급 공무원에 대한 질문들....

... 내공은 많이 걸겠습니다. 프린트 뽑아 서 볼꺼에요 길게 해주세요^^ A4로 100장이하면 됩니다.^^ ㅎㅎ 많은 답변을 바라시겠지만 지식인답변은 길다 싶으면 답변등록...

체육임용고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ㅜ

... 2.미리 교육학 교재를 사서 공부해도 될까요? 3.교재 추천좀해주세요ㅠ 아무것도 몰라서,, 질문이 많죠?ㅜ 그래도 부탁드립니다ㅠㅠㅠㅠㅠ 내공 만이드릴게요ㅠㅠ...

공무원 준비

... 더 제가 모르는 거외에 더 조언해주셧으면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공 100겁니다. 답변... (2):교육학개론, 행정법총론, 사회, 과학, 수학, 행정학개론...

임용고시 준비 질문이요~~

... 해주세요, 교재랑 인터넷 강의 모든지 다요~~ 부탁좀... 7,8월에 교육학정리하고, 9월,10월에 교육학과... 실력을 100% 발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틀린 문제는 표시를 ...

현재,미래직업좀알려주세요~~

... 미래직업좀알려주세요~~~~내공100 내일까지입니다ㅠㅠ... 심리학, 교육학, 조직운영에 관한 지식이 있으면 좋다....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체육교사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 교육학개론수업만 이수하고있는데 사회학이나, 심리학...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면 내공 팍팍.. 효율적인... 100% 발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틀린 문제는 표시를 ...

햇살론당일대출 저신용자 받을수있나요?

... 자격조건 정리 준와이프2022 삼호저축은행 2021년 9년 27일... 되는지 주세요. 신혼부부전세보증금 대출... 무직자대출문의 추가내공100 4대보험미가입자전세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