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고2 이과생 공부방법

예비 고2 이과생 공부방법

작성일 2013.02.2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일주일 뒤 고2가 될 학생이에요..

제가 공부를 너무 못해서요. 근데 수학을 좋아한단이유만으로 이과로 올라가게 되네요..ㅠ

일단 제 내신등급과 모의고사 등급은 같아요(언/수/외/탐=7/4/7/6. 심각하죠??

제가 문제집은 많아요.. 저 주위에 저보다 나이가 많은 분이 없어요(??)사촌중에서도 첫째 집에서도 첫째 부모님은 문과쪽이시고.. 저만.. 공부방법도 모르고 지금까지 공부하면서 제대로된 공부를 해 본적이 없는것 같아요.. 그냥 종이에 글적글적.. 교과서엔 필기만 가득히.. 공부를 할 줄 몰라요.. 이젠 정말 공부도 열심히 해야겠고, 좋은 대학도 가고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됬어요..

제가 질문하는것들을 잘 읽어봐 주시고, 잘 답변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다른곳에서 가져오시지 않으셨으면해요.. 왠만한건 다 봐서..

1.수1은 시그마까지 오늘 끝냈어요..정말어렵더라구요..^^ (참.. 저 혼자 공부해요.. 과외,학원,인터넷강의 아무것도 안들어요.. 중3 2학기때부터 지금까지 앞으로도 다닐형편이.. 좀..) 수1을 끝내면수2를 시작해야 되나요?? 아님 지금 늦었지만 수1과 수2를 병행해서 나가야 하나요?? 그리고 적분과통계 기하와 벡터 이 두과목은 언제 공부하는 게 적절하고, 어떤식으로 수1,수2,기벡,적통 이것들을 공부해야 할까요??
또 수학 모의고사준비는 입시플라이로만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또 수1은 개념원리 수2는 교과서와 해법수학 문제집을 사용할 것이고, 모두 준비되어있습니다..

2.영어에 관한 질문인데요.. 전 영어에관해 아는 게 하나도 없어요.. 문법은 어떤식으로??독해는??단어는??모두 할 줄 모릅니다. 혼자서 해야되서. 학교수업도 따라가질 못해요 항상 최하반.. 제가 천일문이랑 리딩튜터입문 경선식영단어 이3가지책이랑 수영복듣기를 하려고 하는데 혹시 이 책들을 이용해 보신 분이 있다면 어떤식으로 공부를 하셨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구요.. 영어공부를 하는 방법(방식)을 자세하게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3.국어 수능리셋이라는 책으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문학과 비문학 어떤식으로 공부하면 좋을까요??

4.과탐공부는 어떤식으로 하나요?? 설명이 자세하게 되어있는 문제집정도 추천해 주시고, 공부방법 가르쳐 주세요..

5.week 플래너 시중에 파는 1900원짜리를 이용중인데 어떤식으로 활용하나요??

6.마지막으로 제가 어휘실력이 많이 부족해요.. 글 읽어 보시면서 아시는분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말이 앞뒤가 안맞거나 글 수준이 고등학생이라고 하기에 많이 떨어지는 단어들이 많아요.. 어휘실력을 늘이고, 단어들을 많이 아는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영어가 아니라 한글이에요..^^)

지금까지 글들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성실한 답변 부탁드리고,, 모든분들 공부 열심히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학은 중(고등)학교 전과정이 6개 영역(함수,기하,집합,수&식, 연산, 통계)입니다.,

 

저는 목동에 살고, 공대출신이고, 이번에 딸래미는 중학교가는데~, 수학학습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문은 이 여섯가지 영역의 수준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두고 있습니다. (특히, 함수 부문은 가장 중요하죠.., (나중에, 수열, 순열, 미적분, 통계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열심히 수학'정석'문제 푸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각 영역의 개념과 문제 접근 방식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학년이 올라가면, 함수를 중심으로 다 영역이 복합적으로 출제되는 문제를 당황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수학의 개념도 모른다'라는 이야기가 있죠, 각 영역에 대한 간단한 정의를 알고 있는지를 꼼꼼하게 정리해 두지 않으면,  수학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갑자기, 수학점수가 곤두박질치고, 어렵다고 느껴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8가지 영역의 체계가 무너져 있기 때문입니다 (P.S. 어떤 친구들은 ‘식’과 ‘함수’의 정의도 잘모르고, 문제만 열심히 풀고 있더군요), 고 2 올라가는 학생이라면.., 어느 정도 각 영역을 다루어 봤을 것입니다.

 

따라서, 공부하는 방법은 1단계) 아래 수학 로드맵을 보시고, 각 단어(항목)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노트해 보세요.., '함수'가 뭔지, '수식'과 함수의 차이가 무엇인지.., 예를들면, '동위각'과 '엇각'이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정리해 보세요..

 

이 작업이 끝나면.., 잘 안풀리는 문제가지고 씨름하지 마시고, 각 문제가 어떤 영역에 해당하고,

정리해 놓은 각각의 특징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요약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은 각 영역별로 '수학공식'이 있습니다.., 이 공식들을 한 두번씩 유도해 보고, 외우세요..

 

마지막으로, 해결된 문제와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영역,공식,문제해결 포인트'를 정리해 놓고, 반복 학습하시면, 큰 무리없이 수학을 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다구요.., 천만에 말씀.., 아래 6개 영역을 읽어보는데, 하루면.., 떡을 치죠..

그 다음 6개 영역에 대해.., 각각의 정의를 '정석'이던 다른 수학책이던 간단하게 정리하는데.., 3~7일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공식'을 유도하고, 정리하는데, 2주에서 4주.., 그 다음에는  문제풀이에.. 길게 잡아서 두달에서 3달 정도 소요되고.., 그 다음에 '오답노트'와 '반복학습'을 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서론이 길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영역'을 똑같은 수준으로 맞추는 것입니다.

 

똑같이 출발해서.. 똑같은 시점에서 끝내는 것입니다.

 

'수식, 함수, 통계, 기하'를 동시에 진행합니다, '월요일- 수식, 화요일-연산, 수요일 - 함수, 목요일 - 기하, 금요일 -집합, 토요일 - 통계' 형식으로, 계획을 세워보세요..

 

1) 첫째주 : 각 영역의 정의,

2) 둘째주 : 각 영영의 정의에 따른 공식 유도,

3) 세째주 : 각 영역의 공식외우기와 문제의 적용 (여기서, 문제 적용은 문제 푸는 것이 아닙니다.., 각각 적용되는 영역의 정의와 어떤 공식을 활용할  것인지를 정리하는 것입니다.),

4) 네째주 :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를 짧은 시간내에 풀어나가게 됩니다.

 

이렇게 진행하시면, 큰 무리없이 '수학의 기초'부터 '고난도 수학'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P.S 다음은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다루는 수학에서 나오는 모든 수학 공식입니다.., 참조하고, 정리해서, 공식을 유도해 보시고, 외워보세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3&docId=167317545 

 

그리고,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시구요.. 카톡 ID: kidstorm 파이팅 ^^* 


 

[

 

 

 


 

I. 집합과 자연수

 

우리는 태어나면서 좁게는 한 가정에 속하고, 넓게는 어느 지 역, 어느 국가의 한 구성원이 된다. 출생 신고를 하면 주민등록번 호가 생기고, 학교에 가면 학년, 반, 번호가 생긴다. 또 1분은 60 초, 1시간은 60분, 1일은 24시간, 1주일은 7일, 1년은 12개월 이라는 수의 규칙 속에서 생활한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의 많은 기준은 수학과 관련이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생활과 수학에 가장 기초가 되고 중요한 개 념인 집합과 자연수를 이해할 수 있다.

 

 

 

 

II. 정수와 유리수

 

자연수는 아주 기본적이고 편리한 것이지만, 더 많은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연수보다 더 넓은 수의 영역을 알 필요가 있었다. 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0`이다. 어떤 사람들 은 0`이라는 것도 자연수만큼 기본적인 개념이므로 자연수에 포 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만약 0`이 없었다면 오늘날처 럼 편리하게 수를 표현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이 영역을 통하여 자연수와 0 이외에도, 0보다 작은 수인 음수 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고, 이들의 대소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III. 문자와 식

 

특정한 수를 나타낼 때에는 숫자를 사용하지만 문자를 활용하 면 미지의 수를 나타낼 수 있고, 더 일반적인 수의 성질을 쉽게 설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2+1, 2+3=3+2 등과 같이 개별적인 수의 성질을 일일이 다 나열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수의 성질을 문자를 사용하면 a+b=b+a 와 같이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문자를 활용하여 식을 세우는 방법을 알고, 간단한 방정식을 풀 수 있다.

 

 

IV. 함수

 

세상에는 서로 관계가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용어가 함수이다. 예를 들어, 공장에 원료 가 들어가서 제품이 만들어져 나오는 것, 자전거 페달을 밟으면 바퀴가 돌아 앞으로 나아가는 것, 피아노 건반을 누르면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은 현상을 함수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함수의 뜻을 이해할 수 있고, 함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V. 통계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히면 과거와 현재 를 알 수 있고, 나아가 미래를 예측하고 설계하는 힘이 길러진다. 역사적으로는 주로 정부에서 통계적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지 만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한 것은 불과 100`여 년 전부터이다. 최 근에는 통계의 활용 범위가 점점 넓어져 암호 해독에도 이용하 고, 생물학자들이 유전자 분석을 하는 데에도 필수적으로 활용하 고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각종 자료를 목적에 맞게 정리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알 수 있고, 표현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VI. 도형

 

점, 선, 면은 사물과 공간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도형이다. 평행선과 삼각형은 단순한 도형이지만, 그 응용 범위 가 매우 넓다. 철도를 놓을 때에나 차선을 설계할 때에는 두 선이 평행이 되도록 해야 하고, 창문이나 건물은 수평과 수직이 잘 맞 도록 해야 한다. 건물의 지붕, 높은 철탑 또는 무거운 것을 드는 기중기 등이 튼튼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처럼 세 변이 그 모양을 결정하는 구조가 있어야 한다. 이 영역을 통하여 점, 직선, 평면의 관계를 이해하고, 간단한 도형을 작도할 수 있으며, 삼각형의 결정조건과 합동조건을 이해 할 수 있다.

 

 

VII. 평면도형

 

사람들이 다니는 길의 바닥에 깔아 놓은 블록 또는 목욕탕이나 벽의 타일, 마루의 쪽매 등에는 다양한 무늬가 있다. 이와 같이 평면에는 수많은 문양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삼각형, 사 각형 등의 다각형과 원이다. 이러한 도형에는 각각이 가지고 있 는 특유의 성질도 있고, 모든 도형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보편 적인 성질도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다각형과 원의 성질을 이해한다.

 

 

VIII. 입체도형

 

우리의 몸이나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 우리가 타고 다니는 자 동차, 또 강과 산 등에서 다양한 입체도형을 찾을 수 있다. 이러 한 입체도형에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도형으로 다면체가 있 고, 꽃병, 도자기, 전신주 등과 같이 돌려 가며 보아도 그 모습이 변하지 않는 회전체가 있다. 이 영역을 통하여 다면체와 회전체의 뜻을 알고, 여러 가지 성질을 이해한다. 또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를 구할 수 있다.

 

P.S. 학습자료'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연락(쪽지나 메시지)주세요..(카톡ID : kidstorm)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 나 다음, 구글등에서 공부방법이란 방법들은 다 읽어보고 시도도 해보았지만 성과가 별로 없었어요..
그래서 ebs 공부의 왕도란 프로그램을 보고 그래 이거야!! 요약노트를 작업해서 공부해보자라고 생각했죠~~
그런데..ㅠㅠㅠㅠ 요약노트를 작성하는게 넘 어려운거예요... 그래서 친구들이 만든 요약노트라도 구해서 공부하려고 요약노트 검색하다 snote1이란 사이트를 알게되었는데 완전 신기하게도 제가 찾던 요약노트 형태의 공부방법으로 되어있는 인강이였습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겠지만 기존에 동영상강의와는 완전히 다른 형태예요~~
선생님들도 유명한 선생님들이 개발한거라 이해가 넘 잘되고 머리에 쏙쏙~~
강추입니다. 꼭 올해는 내신 1등급을 위해 홧팅!!!

예비 고2 이과생 공부방법

... 일주일 뒤 고2가 될 학생이에요.. 제가 공부를 너무 못해서요. 근데 수학을... 공부방법도 모르고 지금까지 공부하면서 제대로된 공부를 해 본적이 없는것 같아요.. 그냥...

예비고2 이과생 공부방법등등질문입니다

... 예비고2가 겨울방학에 수1,수2를 동시에시작하면 늦은거아닌가요? 수학질문2.... 이과생은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고 하루에 몇시간정도 투자해야하나요?(학원빼고)...

예비고2 이과생 공부방법 및 질문!!

... 외국어3등급(이과생으로서 필요한것만 적은거에요)이렇게 나옵니다.. 수학을 너무... 고2올라가시는거 같은대 명심하실것은 처음부터 점수가 안나올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비고2이과생 문제집, 공부방법...

올해 고2되는 이과생 입니다. 내신, 수능을 이번 방학에 조금 확실이 공부해둬야 할 것... 그 책을 이용한 공부방법도 부탁합니다 모의고사 치면 언어영역은 1~3등급정도로...

예비고2 이과생 문제집, 자습서...

예비 고 2 이과생 되는 현재 고 1 겨울방학을 보내고 있는 학생입니다. 고 2도 되서 학원 끊고 독서실다니며 혼자 해볼려고 하는데 문제집 , 자습서 이거 고르기힘들더군요;...

예비고2이과생공부방법과문제집추천해...

안녕하세요 저는지금 고1학생입니다 이제기말고사도다가오고 조금만있으면제가고2잖아... 추천해주세요 이과생 준비중이시라면 수리는 수1,수2를 같이하셔야 되구요....

예비고2 이과생, 수학공부방법

... 예비고2 이과생입니다. 과학은 어느정도 성적이 나오는데, 수학은 정말 안나오네요.... 그리고 겨울방학 때 이과생공부방법좀.. 이번에 수능을 본 수험생입니다^^ (이과...

예비 고2 이과생 공부방법이요 ㅜㅜ

... 예비 고2 이과생인데. 어느것부터 손을 대야할지 모르겠어요. 수학은 뭘 시작해야할지 과학은 뭘 해야할지 주변에 아는 언니들도 없고, 제가 첫째라.. ......실험용이...

예비고2이과생 내신&수능대비 공부방법

안녕하세요 예비고2인데요 내신도그렇고 모의고사성적도..좋지않은데 고1땐 내신공부만했습니다 거의교과서만보고 공부해서 어떤참고서가좋은지도잘모르고ㅠ 수능대비도...

예비 고2 이과생 수학공부방법

... 예비 고2라고 하셨죠? 수능까진 아직 2년 정도 남으신 분이군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또 경험상으로 비추어 봤을 때, 너무 서두르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중학교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