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삼한

한국사 삼한

작성일 2022.04.0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한은 대략 몇세기경에 있었나요?


#삼한 한국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원전 108년 북쪽에 위치하였던 위만조선우거왕(右渠王) 때에 이르러 한 무제(漢武帝)의 침략을 받아 붕괴되그 땅에 한의 군현이 설치됨에 따라 한족(漢族)의 세력과 문화가 크게 흘러 들어왔습니다. 이와 같은 외래의 정치적 세력과 문화는 한의 군현과 이웃한 고대 한민족(韓民族)의 여러 부족 국가 또는 부락국가에 커다란 자극과 영향을 주었는데, 이 무렵에 이르러 남쪽 진국은 지리적 환경에 따라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등 삼한으로 나뉘었습니다.

따라서 삼한시대(원삼국시대)는 서기전 100년경부터 서기 300년경까지의 약 400년간의 기간을 말합니다.

이 시대는 서기전 100년경 한반도 북부 및 중국 동북지방 일원에서 고대국가 고구려가 성립하고 한반도 서북부에 낙랑군이 설치되며, 남부에서 도구용 청동기가 소멸하고 철기가 본격 생산되는 가운데 각 지역에 삼한 소국들이 성립되는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으로는 청동기의 실용성 소멸, 철기생산의 보급 및 확대, 김해토기의 출현, 농경(벼농사)의 발전, 고인돌〔支石墓〕의 소멸, 돌덧널무덤〔石槨墓〕의 발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대략 4세기경에 삼국이 고대국가로 발전함으로써 원삼국시대는 종결되고 삼국시대로 진입합니다.

출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삼한(三韓)은 고대 한반도 남부에서 거주하던 농경인들로서, 고대 한반도 북부와 만주에서 거주하던 반농반목 수렵민족인 예맥(濊貊)인과 함께 현 한민족의 주류 조상이 되는 한(韓)인들의 나라들을 말한다.[1]

삼한이라는 개념의 시작은 기원전 194년고조선에서 쫓겨난 준왕이 새로 자리잡아 왕에 오른 한(韓), 혹은 진국(辰國)에서 나뉘어진, 고대 한반도 중남부 일대에서 형성된 소국들의 연맹체인 마한, 진한, 변한 등이 탄생하면서 시작된 개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길게 걸쳐져있어요

마한 유적은 1~3세기경으로 추정

한국사 삼한 소도

한국사에서 여러나라의 성장에 삼한이 있는데요 삼한에 정치에서 제사장(찬군)이 관리하는 소도 존재 했다던데 여기서 말하는 소도가 뭔가요? 요즘 우리말 식으로 예를 들면...

한국사 삼한의 발전...

내가 알고있는거: 삼한은 진국의 발전. 마한, 진한, 변한으로 이루어져있다. 궁금한거: 1. 마한이 백제로 성장했다고 하는데, 백제는 고구려 에서 태어난 온조가 건국했다고...

한국사 삼한

삼한은 대략 몇세기경에 있었나요? 기원전 108년 북쪽에 위치하였던 위만조선은 우거왕... 등 삼한으로 나뉘었습니다. 따라서 삼한시대(원삼국시대)는 서기전 100년경부터 서기...

한국사 삼한

삼한 중에서 마한의 소국 중 하나인 목지국의 지배자가... 목지국이 삼한지역을 대표 진국이라하고 북부는고조선... (目支國) 삼한시대 때 지금의 충청남도직산 (또는 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