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 성악설 (예)

순자 성악설 (예)

작성일 2024.05.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위와 예의 개념이 너무 헷갈려서 그러는데
예를 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보아야 하는 건가요 아님 위는 행위, 예는 보통 아는 규범(예의)이라고 보아야 하는 건가요
인위적인 개입 = 후천적 교화 = 교육 = 위 라고 나와있길래 '위를 통해 예를 따르게 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생각했는데 악한 본성과 대비되는 것, 후천적인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부분 이라는 설명도 있어서 예가 위에 포함되는 건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 어느 것이 맞나요 ㅠㅠ

1)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위라는 행위를 통해 예를 배우는 것이다)

2)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위는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그 중 하나가 '예'이다)


#순자 성악설 #순자 성악설 근거 #순자 성악설 주장 #순자 성악설 비판 #순자 성악설 원문 #맹자 성선설 순자 성악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순자에게 '위'는 인위, 인간의 능동적인 작위를 뜻합니다. 보다 쉽게 설명하자면 '적극적인 행위'입니다.

'예'는 3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 1. 백성을 충족 2. 과도한 욕구을 제한 3. 능력에 따른 직분을 부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는 표준이면서도 규범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순자가 제시하는 '화성기위'를 풀이 해보자면 '인간이 타고난 악한 본성을 인위를 통해 교화시킨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왕이 제정한 예와 법도로 본성을 교화시킨다는 입장에서 보았을 때 예는 규범을 뜻하고, 위는 방법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쉬울 것 같습니다.

인위, 예는 공, 맹, 순 모두의 공통점입니다. 다만,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예로서 교화해야한다고 보는 입장인

반면, 공,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만, 외부환경에 의해 타락할 수 있기 때문에 수양을 통해 본성을 보존해야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교화, 보존 모두 '위'에 해당하는 행위입니다.

순자 성악설 관련 사회 윤리 문제

순자성악설과 관련된 사회 윤리 문제 하나만 알려즈세요ㅠㅍ 사회적 약자인 위안부 할머니를 이용하여 금품을 빼돌리고도 발뺌하는 모 여성 국회의원의 경우가 순자의...

순자성악설 사례가 있나요?

도덕숙제인데 순자의 성무성악설 저거 사례를 조사하라는데 알려주세요 순자성악설 사례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성악설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순자 성악설 주장

중학교에 들어 오게 되어서 ppt를 만들어야 하는데 끝부분에 맹자 성선설 또는 순자 성악설 둘 중에서 자신의 생각을 한쪽으로 정하여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긍정적 의의와...

... 하지만, 순자성악설은 다른 선조들의 성적 영성과 관련된 성이론과는 다릅니다. 순자는 이성적으로 접근하여 인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인간의 내면에서...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성악설+인간성

... 구체적인 (사례)에 관해서 2가지 정도 알려주세요~ 최대한 빨리 답변해주시길..;; 맹자 성선설과 순자 성악설의 시대적 배경에 대해 질문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다음과...

순자 성악설

순자가 생각하기에 인간의 본성이 악함에도 인간이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은 '(禮)'에 의한 후천적 노력 때문이 맞나요?? 맞아요 순자는 사람은 태어날 때 부터 악하지만 예를...

순자성악설의 의미

순자성악설의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성, 악이 정확이 무엇인지 서술해서 의미 설명... 그래서 순자는 행위 규범으로서의 (禮)의 준행을 강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