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최대다수 최대행복

공리주의 최대다수 최대행복

작성일 2024.04.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공리주의 기본 원리가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고 했는데 밀의 입장에도 해당되는건가요? 밀은 쾌락의 질을 더 우선시하니까 불만족스럽더라도 고상한 행위를 추구하는데 그걸 최대행복이라고 볼 수 있나요? 불만족스러운건 쾌락의 양이 적은 것이지만 질이 좋기때문에 행복하다고 봐야하나요?


#공리주의 최대다수 최대행복 #공리주의 최대다수의 #공리주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은 공리주의의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가급적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야 그 사회가 행복한 사회가 된다는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행복이 조화를 이룬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다만 그 개인의 행복을 양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 벤담이고, 질과 양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밀입니다. , ~

공리주의 질문

공리주의최대다수최대행복이잖아요 그런데 만약에 백명의 사람의 행복의 총합보다 한 명의 행복이 더 크면 공리주의자들은 한명이 행복한 쪽을 정의롭다고 하나요? 그건...

공리주의 최대다수 최대행복

공리주의 기본 원리가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고 했는데 밀의 입장에도 해당되는건가요? 밀은 쾌락의 질을 더 우선시하니까 불만족스럽더라도 고상한 행위를 추구하는데 그걸...

기초하는데 왜 최대다수에게의 행복?

... 공리주의최대다수에게 최대행복을 주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공공의 이익을 중시하는 건가보다 하고 생각했는데, 네이버에 공리주의를 쳐보니 공리주의는...

공리주의 최대다수최대행복

공리주의적으로 판단할때 최대다수행복최대행복중에 뭐가 더 우선시 되나요? 공리주의의 사회후생함수는 Ua+Ub+............ 개인의 효용합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공리주의 최대다수최대행복

... 공리주의는 "최대다수최대행복"이라는 원리에 따라, 전체 집단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원리는 모든 사람들에게 공평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