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도덕법칙

칸트 도덕법칙

작성일 2024.02.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칸트는 도덕적 행위를 하려면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성을 극복해야 된다고 보나요? 이유와 함께 답 부탁드립니다!


#칸트 도덕법칙 #칸트 도덕법칙 비판 #칸트 보편적 도덕법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임마누엘 칸트는 도덕적 행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이성과 의지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도덕적 행위가 단순히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성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칸트에 따르면, 도덕적 행위는 '순수한 이성'에 의해 지시되어야 하며, 이는 무조건적이고 보편적인 '도덕 법칙'을 따라야 합니다. 이러한 도덕 법칙은 그의 유명한 '실천이성비판'에서 다루어진 '정언명령'의 개념을 통해 설명됩니다.

칸트는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성을 '경험적인 욕구'나 '감성적인 동기'로 보았고, 이러한 동기는 변덕스럽고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도덕 법칙의 기초가 될 수 없다고 봤어요. 그에 따르면, 진정한 도덕적 행위는 이성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이는 모든 이성적 존재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원칙에 기초해야 합니다.

따라서 칸트는 도덕적 행위를 하는 데 있어서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 이유는 도덕적 행위가 개인의 감성적인 욕구나 행복 추구를 넘어서는, 이성적이고 보편적인 원칙에 의해 지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덕적 의무는 개인의 행복이나 욕구와는 독립적이며, 오로지 이성에 의해 결정되는 보편적인 원칙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칸트는 자신의 저서 <도덕형이상학정초>에서 도덕적 행위에 있어 행복 추구와 같은 일체의 경향성을 배제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오직 ‘의무로부터 나온 행위’만이 도덕적인 것입니다. 심지어 결과가 의무에 합치(합의무적 행위)한다 할지라도 그 동기가 오직 그것이 옳기 때문에 행하려는 의지인 선의지에 기반하고 있지 않다면 도덕적이라 할 수 없습니다.

칸트도덕법칙

칸트 선지로 이성으로 발견한 도덕법칙을 따른다고 나왔는데 도덕법칙은 자기가 세우는 거 아닌가요 발견하다라는 단어가 적합한가요? 자기가 발견했으니 자기가 세우는...

칸트도덕법칙

'행위가 도덕법칙에 들어맞으려면 그 행위는 도덕적이어야만 한다' 라는 말이 오답이라는게 잘 이해가 안가서요 행위가 도덕적이지 않고 어떻게 도덕법칙에 들어맞을 수 있죠?...

생활과 윤리 칸트 도덕법칙

칸트는 경향성 그 자체는 동기가 될 수 있으나 도덕법칙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했는데요 다른 문제에서 칸트는 동정심을 포함한 모든 감정을 도덕적 행위와 관련하여...

칸트 도덕법칙 예시

칸트 도덕법칙이 무엇인지 예시 설명해주세요!! 급해요 칸트의 도덕법칙은 두 가지예요. 첫번째. 너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인 한, 그것에 따라 행위하라. : 보편화가...

칸트 도덕법칙

칸트의 정언명령에서 준칙이 보편주의와 인격주의 두 가지의 정식에 해당되어야 도덕법칙으로 성립할 수 있는건가요 ??/ 아니면 보편주의만, 인격주의만 해당되어도...

칸트 도덕법칙

칸트에서 행복의 원리에 바탕을 둔 준칙은 도덕법칙이 될 수 없다 라는 선지가 있는데 저 준칙이 보편성과 인격성을 지니면 도덕법칙이 될 수 있지 않나여?? 답은 아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