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윤리와 사상 불교 육바라밀

윤사 윤리와 사상 불교 육바라밀

작성일 2024.02.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종교가 불교이신 분들 말고 윤사를 아시는 분이...
답해주세요 순수한 질문이 아닌 학업이 목적입니다....ㅠ

2024 수특인데

보시는 자비를 베푸는 육바라밀의 덕목 아닌가요? ㅠㅠ

허망과 상에서 하고 하면 안되는 보시와 육바라밀 덕목으로써의
보시는 다른 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승에서 강조되는 것은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즉 상(相)에 머물지[住] 않는[無] 보시를 말합니다.

무슨 말인고 하면 집착이 없는 베풂, 내가 남에게 베풀었다는 생각조차 버리는 베풂을 말합니다.

그런데 상을 남기는 보시라고 하면 이것과는 정반대로 집착하는 베풂이 될 것이고, 무주상보시를 강조하는 대승불교에서는 지양하겠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마음에 상을 남기는 보시는 베풀고서 베풀었다는 것을 기억하고 거기에 보답을 기대하는 보시를 말합니다. 따라서 보시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상을 남기는 보시를 해선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