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 감정 객관적실재

흄 감정 객관적실재

작성일 2024.01.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흄은 감정이 객관적실재가 아니라고 하지만 감정이 주관적이지 않다고 하잖아요 그러면 흄은 감정은 객관적인거긴한데 실재하는건 아니라고 하는건가요?


#흄 감정 #흄 시인의 감정 #흄 주관적 감정 #흄 도덕 감정 #데이비드 흄 감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직교사입니다.

흄과 관련된 질문을 주셨군요

흄은 선, 악을 판단할 때 무엇으로 판단하고자 할까요?

바로 시인과 부인의 감정인 '도덕감'입니다.

우리는 남을 돕는 행위는 우리에게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하죠?

반대로 남을 해치는 행위를 볼 때는 나쁜 감정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왜 우리는 남을 돕는 행위에 대하여 좋은 감정을 느끼고 남을 해치는 행위에 대하여 나쁜 감정을 느낄까요?

흄은 그것을 '사회적 유용성'에서 찾습니다. 즉 남을 돕는 행위는 사회적으로 유용하기 때문에 우리는 쾌감을 느끼는 것이고, 반대로 남을 해치는 행위는 사회적 유용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전차처럼 쾌감을 느끼게 하는 즉 시인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행위에 대해 우리는 '선'이라고 판단하고

후자처럼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즉 부인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행위에 대해 우리는 '악'이라고 판단하죠.

결국 질문자께서는 도덕감에 대해 말하는 것이므로

'선, 악은 객관적 실재가 아니다' 라고 이해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아까 남을 돕는 행위는 선한 행위라 그랬고, 남을 해치는 행위는 악한 행위라 그랬죠?

왜 그렇죠? 남을 돕는 행위 안에 선이라는 실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선이라고 인지하는 건가요?

대답은 아니요입니다. 선, 악은 우리와 별개로 따로 바깥에 실재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시인의 감정을 느끼게 하면 선, 부인의 감정을 느끼게 하면 악이 되는 것처럼

우리에게 어떤 감정을 가지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지요.

선,악은 우리와 따로 존재(실재)하는 객관적인 실재가 아닌 것입니다.

둘 쨰, '감정이 주관적이지 않다.'를 고찰해보겠습니다.

정확히 말해서는 감정이 주관적이지 않다는 틀린 말입니다. 감정은 주관적이죠.

질문자께서 궁금해하시는 주관적이지 않은 감정은 '도덕감'을 말하는 것입니다.

질문자께선 궁금함을 가져야 합니다. 그럼 사람의 쾌감, 불쾌감에 따라 선,악이 갈라지는거네?

그럼 선, 악도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습니다.

도덕에서 누구나 따라야 하는 보편성을 확립하는 일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마다 선,악이 모두 달라질테니까요. 그건 모두가 따르는 도덕이 될 수 없겠죠.

이 보편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흄은 공감이란 개념을 도입합니다.

공감은 타인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느끼게 해 주는 심리적 기제이자 자연적 성향입니다.

나의 이익과 상관없는 타인 및 사회의 이익에 쾌감을 느끼는 것도 바로 이 공감 덕분이지요.

공감은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사회적 유용성을 지닌 행위에 대하여 시인의 감정을

저해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는 부인의 감정을 느낄 것 입니다.'

시인과 부인의 도덕감은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지니는 감정이지요.

다시 정확히 말하면 '도덕감은 주관적인 감정이 아니라 보편성을 가지는 감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윤리와사상 흄 감정

선악은 쾌와 불쾌의 감정에서 느껴지는 객관적 실재이다(x) 이 문장에서 틀린 부분을 다 집어주세요 +궁금한 것 1. 감정으로 구별된 선악과 사회적으로 느끼는 시인, 부인의...

윤사 질문이요!!

... 시인의 감정을 안겨준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1번이 맞은 이유는 흄은 감정을 도덕적... 능력에서 찾았습니다. 공감은 객관적 실재가 아닌 주관적 느낌이기 때문에 1번입니다

흄의 주정주의

... 주정주의란 말 그대로 감정이 주가되는 것이라고 선생님이 설명해 주셨는데 그러면... 다시 말해서 도덕적 가치는 객관적 실재라기보다는 주관적 느낌의 문제라고 주장하고...

윤리와 사상 질문

흄의 입장에서 도덕적 선악은 객관적 실재 X 시인과 부인의 감정은 주관적 감정 X 보편적 감정 O 이건가요? 도덕적 선악과 / 시인과 부인의 감정은 흄의 입장에서 다른 건가요?...

그는 어떤 사람이였나요?

... 뿐이어서 객관적 필연성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예(내가... 그는 물체적 실체(物體的實體), 외계의 실재(實在)도... 3편이 <감정편> <도덕편>인 것을 보아도 분명한 것처럼, ...

흄이 경험과 관찰을 통해서 참된 진리

... 것으로 객관적 필연성은 없다. 물체적 실체(物體的實體), 외계의 실재(實在)도 역시 마찬가지로 신념과 습관에... 것처럼, 철학의 목표였다고도 할 수 있다. ‘이성은 감정...

흄의 회의주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인간 정신이라는 것은 단지 관념/ 기억/ 감정 따위의... 뿐이어서 객관적 필연성은 없다는 것입니다. 예(내가... 그는 물체적 실체(物體的實體), 외계의 실재(實在)도 역시...

한자들 한글로좀 부턱합니다

... *실재론 주관과 관계없이 대상이 객관적, 독립적으로 실재한다. D.Hume *지각내용은 印象impression과 관념 idea이다 인상: 내적인 감정이나 외적 감각에 최초로 나타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