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자연윤리 레건 질문

생윤 자연윤리 레건 질문

작성일 2023.11.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선지 ㄹ에 관련한 질문입니다

일단 마더텅 답지에는
< 레오폴드, 테일러, 레건 모두 인간 이외의 생명체를 인간의 삶을 위해 자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허용 가능한 경우가 있다고 주장한다 > 라고 되어있거든요

근데 레건은 일부 포유류 생명체는 내재적 가치를 지녔다고 보았고 결코 자원으로 대우해서는 안된다고 주장 한걸로 아는데
왜 ㄹ주장에 레건이 동의하지 않는지 이해가 안돼요ㅠ

1. 선지 문장은 일부 포유류가 아닌 모든 인간 이외의 존재를 가리키기 때문에 레건이 동의하지 않는건가요?

2. 아님 "비도구적 가치를 지닌" 이라는 문장 때문에 일부 포유류는 해당이 안된다고 적용되는건가요?

마더텅 해설처럼 비도구적 가치를 지닌 비이성적 존재가 내재적 가치를 지닌 인간 이외의 존재라면

3. 일부 포유류 = 도덕적 무능력자 = 비이성적 = 하지만 내재적가치 지님 이라 저 문장에 일부 포유류도 포함 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나요?
아님 다른 유기체들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지만 삶의 주체는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걸까요?

요약하자면 저 ㄹ 선지에 레건이 왜 부정하는지 정확한 근거가 알고 싶습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ㅠ(빠른 채택 해드려요)



#생윤 자연윤리 #생윤 자연윤리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극강의 쌍윤러 리나입니다 :D

일단 레건은 칸트와 같이 의무론적 입장을 취하는 사상가입니다. 다만 질문자님께서도 알고 계시다싶이 레건과 칸트는 의무로 대우해야 하는 대상의 범주가 다르죠.

그런데 의무론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수단으로‘만’ 대우하지 말고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라 입니다. 이걸 조금 달리 말하면 목적으로 대우해준다면 수단으로 대우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건 또한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들을 수단으로‘만’ 대우하는 것에 부정한 것이지, 어떠한 경우에도 수단으로 대우하는 것을 부정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올려주신 사진에 나와있는 대로 ㄹ 선지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말했기 때문에 레건을 포함한 세 사상가 모두 부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레건 입장에서 ‘비도구적 가치를 지녔다’라는 것은 수단으로‘만’ 대우해서는 안 되는 존재, 즉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들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들은 질문자님께서 알고 계신대로 인간과 동물이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레건 입장에서 ‘비도구적 가치를 지닌 비이성적 존재’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이 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ㄹ선지가 레건 입장에서 부정하는 이유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말했기 때문이지, ‘비도구적 가치를 지닌’이라는 표현 때문이 아닙니다. 레건은 동물을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 되는 경우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생윤 자연윤리 레건

레건은 내재적 가치를 지닌 삶의 주체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무조건적으로 반대한... 두번째 문제 ㄹ선지에서는 레건이 아닌 레오폴드가 들어갈 수 없습니다. 레오폴드는...

레건 자연윤리 생윤

레건은 다른 사상가들과 달리 절대로 동물을 자원시하면 안된다는 주장 맞나요? 레건은 임마누엘 칸트의 의무론에 기초하여 동물 권리론(animal rights theory)을 주장하였다....

생윤 자연윤리 질문

... 자연윤리에 대한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지위를 가진 존재와 도덕적 행위의 주체의 차이: - 도덕적 지위를 가진 존재: 이는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생윤 생명윤리 레건부분 질문이요

레건은 도덕적 무능력자도 내재적 가치를 가진다 했는데 동물은 도덕적 무능력자인가요?... 질문 주신 내용은 모두 수능과 모의평가에 매력적인 오답으로 자주 출제되는...

생윤 자연윤리 질문

싱어와 레건의 고려 범위가 더 넓은 것은 싱어 라는데 그 이유는 뭔가요? 생윤자연윤리에서 싱어와 레겐의 고려 범위가 더 넓은 것은 싱어가 인간의 복지와 행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