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밀 질문

생윤 밀 질문

작성일 2023.10.2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
이 선지가 밀에서 맞다고 알고있었는데 인강에선 인간이라면 누구나가 아니라 모든 종류의 쾌락을 경험한 자만이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하는게 맞다네요 진짜 제가 알고있던 선지가 틀린건가요??


#생윤 미래엔 #생윤 밀 #생윤 미래엔 목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모든 종류의 쾌락을 경험한)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

라는 뜻 아닐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자의 의견에 따라 원문이 약간 수정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생윤 밀 질문"이란 문장은 철학자 생각에서 나온 질문이며, 간단히 설명하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는 의견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 주장은 밀의 유익주의적인 철학에서 비롯된 주장으로, 모든 사람이 더 높은 차원의 쾌락을 추구하며 피하고자 하는 고통을 경험하기 때문에 그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인강에서 언급한 내용은 조금 다릅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라는 주장이 아닌, 모든 종류의 쾌락을 경험한 자만이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는 주장입니다. 이 주장은 쾌락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보다 세련된 쾌락을 즐기는 사람들이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생윤 밀 질문의 원상태 선지는 모든 사람이 더 높은 차원의 쾌락을 선호한다고 주장하지만, 인강에서 언급한 내용은 모든 종류의 쾌락을 경험한 사람들이 더 높은 차원의 쾌락을 선호한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즉, 선지에서 서술된 내용은 약간 부정확하거나 강요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으며, 인강에서 언급한 내용은 더 정확하고 관대한 주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어진 문장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는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두 가지 다른 해석이 가능한데, 무엇이 옳은지를 판단하려면 주어진 상황이나 정보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강의나 텍스트의 내용에 따라 다르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문맥이 없는 한 어느 것이 "맞다" 혹은 "틀리다"고 확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또한, 어떤 주장이 "맞다" 혹은 "틀리다"고 결정짓는 것은 종종 주관적이며, 철학적인 주제나 관점에 따라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가지 해석 모두 가능하며, 어떤 문맥에서 이러한 주장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할 수 있습니다.

생윤 밀 질문

... "생윤 밀 질문"이란 문장은 철학자 생각에서 나온 질문이며, 간단히 설명하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을 더 선호한다"는 의견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공리주의 (생윤질문

밀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두 뛰어난 쾌락만을 추구해야한다는 말이 왜 오답이죠? 답지에 양적으로는 떨어져도 질적으로 나은 쾌락을 추구하라는데. 이해가 안되네요. 밀도...

생윤 벤담 공리주의 관련 질문

생윤 수특을 풀다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30페이지 문제 7번의 ㄷ 항목입니다. (7번의 정답은 1번입니다.) 사상가 을이 ㄷ에 '예'라고 답했다는 건 밀이...

생윤,윤사 질적 공리주의 밀 질문

가끔 선지보면 벤담 공통된 의견으로 쾌락의 양을 중시한다 등등 이런 선지가... 강조하나요 생윤과 윤사는 모두 질적 공리주의자이므로 쾌락보다는 도덕적 가치를...

생윤 밀 소수의견존중 질문

생윤에서 밀이 ‘우리가 침묵시키고자 하는 어떤 의견이 반드시 잘못된것이라는... 그게 도대체 생윤 어느단원 어느 파트에서 나오는건가요? 대충이라도 말해주세요...

생윤 밀의 공리주의

... 이 질문에 밀의 공리주의 관점에서 '예'라고 답을 하나요? 이유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리주의자들음 행복,효용의 증진시키는 것이 도덕적 가치를 지닌다고...

생윤 밀 질문

... 칸트는 알겟는데 잘 모르겟어요.. 예 들어서 설명좀..부탁..드려요 네, ㄹ도 맞는 답이 될 수 있습니다. 칸트의 도덕론은 정언명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정언명법은 "그것이...

생윤 벤담,

... 라는 질문에 벤담은 예 라고 되어있는데 밀의 답변도 예 인가요? 공리주의자는 다 그래여! 애초에 사익의 합은 공익이니까여! 공리주의자들의 해외 원조의 목적도 인류...

생윤 질문

밀이 질적 공리주의잖아요 그럼 약간 질 높아야지 되는 거 아니였나요 7번에서 ㄷ 에서 어떤 행동이든 이 왜 맞죠 최대 다수 최대 행복은 기본적으로 공리주의 원리기 때문에...

생윤 질문입니다.

... 1:1 질문이 와서 답변드립니다. Q 1) 싱어가 가까운... (생윤의 다른 파트인 매킨타이어, 아리스토텔레스의... 벤담, )의 행위의 원리와 보편성을 강조하는 측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