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유교 맹자 교화

윤리와 사상 유교 맹자 교화

작성일 2023.10.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의 성을 교화 시킬 수 있다.
맹자는 틀리고 순자만 맞는 선지라는데
교화: 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함.
맹자가 성선설을 주장하긴 했지만 본성을 유지 확충 하기 위해 수양을 하라고 하잖아요
그렇다면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의 성을 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나요?
유지되지 않고있는 성은 교화시켜야 하지 않나요?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문제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맞습니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지만, 본성을 유지하고 확충하기 위해서는 수양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의 성을 가르치고 이끌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는 것도 말이 됩니다.

맹자는 인과 예가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고 발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습니다. 인과 예는 인간이 지녀야 할 기본적인 도덕적 가치이기 때문에, 인과 예를 실천함으로써 인간의 선한 본성이 드러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인과 예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마음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지만, 인과 예를 실천함으로써 더욱 강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의 성을 교화할 수 있다는 맹자의 주장은 충분히 타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순자의 성악설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악하기 때문에, 인과 예로 다스리기만으로는 백성을 선하게 만들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을 선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맹자의 교화론은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인과 예로 다스림으로써 백성을 선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윤리와사상 맹자 순자

2017년 7월 모의고사에 " 교화를 통해 도덕적 사회를 구현한다 "라는 선지가 맹자 순자... 교화유교에서 공맹순 모두 사용하는 말입니다. 교화는 같은 말은 후천적노력...

윤리와사상 문제입니다 급합니다 답을좀...

... 성품의 교화시켜 예의 법도를 갖도록 한다 다음 내용과... - 4단을 넓혀 가면서 채워나가도록 한다 4단은 맹자가... 나머지 유교의 주장입니다. 순자는 본성이 악하고 했습니다....

윤리와 사상 교과서 정리좀...

...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ㅠㅠ 윤리와 사상을 내일 치는데... 사상가 : 맹자, 루소, 피히테,스토아학파 성악설(性惡說)... 구분 유교적 인간관 불교의 인간관 도교의 인간관 인간의...

이황,공자에 대해 조사

... 풍속을 교화함. 합리성을 존중하여 현실에 맞는... 사상가, 유교의 시조. 최고의 덕을 인이라고 보았다. 인... 이런내용은 윤리와사상 고등학교때 배우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