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규칙 공리주의 햇갈려요

행위•규칙 공리주의 햇갈려요

작성일 2023.04.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규칙 공리주의가 유용성의 원리를 행위가 의존하는•전제하고 있는 규칙에 적용한다고 하는데 행위가 규칙에 의존•전제한다는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요..
행위 공리주의는 행위에다가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하는데 그 행위가 의존하눈 규칙이 있다는게 뭔지 모르겠어요..


오늘 자정까지 부탁드려요..급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규칙공리주의는 행위 자체에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따지는 행위공리주의와 달리, 행위의 규칙에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해서 따져봅니다. (미리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규칙들을 따져보고, 실제 상황이 닥치면 옳은 것으로 판명난 규칙을 꺼내서 적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철수가 영희를 죽이려고 하는 상황이 있다고 칩시다. 이때 철수의 살인이라는 행위 자체에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따져본 뒤 살인이 유용성을 해친다고 생각하여 영희를 죽이지 않았다면 이것은 행위공리주의가 됩니다. 하지만 사전에 '사람을 죽여서는 안 된다'라는 규칙에다 유용성의 원리를 적용해서 따져본 결과 이게 옳은 규칙이라고 결론이 났다면, 철수와 영희의 상황에서 (그 상황 자체를 유용성의 원리에 따라 판단하는 게 아니라) 이미 판단이 끝난 이 규칙을 적용해서 사람을 죽이지 않게 되면 규칙 공리주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규칙공리주의 관점에서 철수가 '영희를 죽이지 않는다'라는 행위를 한 근거는 규칙인 것이고, 그 규칙을 옳다고 판단한 근거가 공리의 원리(유용성의 원리)가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