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직업윤리

생윤 직업윤리

작성일 2022.11.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순자는 직업의 귀천을 구분하잖아요 생윤 직업윤리 파트에 나오는 동서양 사상가 중에 순자만큼까지는 아니더라도 직업 간에 좀 중요도를 달리했던 사상가가 누가 더 있나요??


#생윤 직업윤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양 사상가 중 맹자는 노심자(다스리는자)와 노력자(다스림받는자)로 직업을 나누었고

순자는 생산자(농인,상인,공인)와 관리자(도에 정통)로 나누었습니다

서양의 사상사 중 플라톤은 국가 3계급설을 주장하며 통치자(지혜,인격/수호자 계급)와 방위자(용기 강조/수호자 계급)와 생산자(절제 강조)로 나누었습니다

생윤 직업윤리

맹자가 직업에 귀천은 없으며 차별해서는 안된다고 했는데 공자도 마찬가지의 입장인가요? 아주 옛날 사람들이기 때문에 직업이 개인의 선택이라기 보다는 신분에 따라...

생윤 직업윤리

... 프리드먼은 자신의 이윤 창출을 극대화하는 것이 곧 사회적 책임이라고 보았어요. 따라서 3번은 틀린 선지입니다! 그럼 생윤 공부 열심히 하세요! 저도 열심히 할게요 ㅎㅎ

생윤 직업윤리 특수성

생윤 직업과 청렴의 윤리에서 특수 직업 윤리가 나오는데 직업군인이 가지는 특수성은 무엇이 있나요?비밀유지,명령복종 이것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ㅜ 애국심 국가에 대한...

생윤 직업윤리

순자는 직업의 귀천을 구분하잖아요 생윤 직업윤리 파트에 나오는 동서양 사상가 중에 순자만큼까지는 아니더라도 직업 간에 좀 중요도를 달리했던 사상가가 누가 더 있나요??...

생윤 직업윤리

... 한다고 주장한 게 맹자의 직업윤리 인가요? 맹자 맞고 직업윤리와 제왕의 통치 윤리 국가 복지에 관한 윤리 직업윤리에 있어 항산과 더불어 사회분업도 추가 공자는 정명 사상

생윤 직업윤리

... 순자와 플라톤의 사상은 모두 직업윤리의 중요한 요소를... 직업 윤리가 개인의 삶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순자와 플라톤의 직업윤리에 대한...

생윤 직업윤리질문

이거 정답이 2번인데 왜그런지 알려주세요 ㅜㅜㅜㅠ 맹자 성선설이죠 백성들은 항심을 유지하려면 항산이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항심 직업활동=항산 이해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