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롤스 질문이요ㅠㅠ

생윤 롤스 질문이요ㅠㅠ

작성일 2020.10.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사상가가 롤스인건 알겠는데, 답지에서 롤스가 순수 절차적 정의의 입장이라는게 이해가 안가네요ㅠㅠ그냥 분배적 정의에만 해당되는거 아닌가요?왜 절차적 정의가 적용되는건가요?

2.그리고 원초적 입장의 사람들은 무지의 베일에 속하니까 사회적 지위나 소질, 능력 등의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데 왜 롤스는 원초적 입장의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답안지에 나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ㅠ

아시는 분 쉽게 설명부탁드려요ㅜㅜ



#생윤 롤스 #생윤 롤스 노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이 질문은 롤스를 체계적으로 이해하시면 그냥 당연한 소리하는구나 싶으실 겁니다. 롤스는 절차적 정의를 통해 분배적 정의를 보장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롤스에게 '롤스 선생님 어떻게 해야 정의로운 분배가 될 수 있습니까?'라고 질문했을 때, 롤스는 '분배 절차(과정)가 공정하면 분배 결과도 공정하기 때문에 우리는 분배 과정을 따져보면 됩니다.'라고 대답할 거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분배 결과, 분배적 정의를 논하기 위해서 절차의 정의를 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롤스의 생각입니다.

여기서 약간 심화해서 들어가자면 롤스는 절차적 정의를 완전 절차적 정의, 불완적 절차적 정의, 순수 절차적 정의로 구분합니다. (수능완성에서 제시된 바 있으니 교육과정 외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순수 절차적 정의에 대한 이해는 있어야 합니다.) 이때, 롤스가 분배적 정의를 논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 바로 '순수 절차적 정의'입니다. 일단 수능완성 제시문을 적어드리고 그에 관해 해설을 더 달아드리겠습니다.

순수 절차적 정의라는 관념은 완전 절차적 정의와 불완전한 절차적 정의를 비교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완전 절차적 정의의 특징은 어떤 결과가 정의로운지를 결정하는 독립적인 기준과 그러한 결과를 보장하는 절차가 있다는 점이다. 완전 절차적 정의는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이런 완전한 절차적 정의가 드물다는 것은 분명히 말할 수 있다. 불완전한 절차적 정의의 특징은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은 있으나 그것을 보장할 만한 절차가 없다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순수 절차적 정의가 성립하는 경우에는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이 없으며, 이러한 경우는 게임(gambling)에서 볼 수 있다. 우리는 공정한 게임의 결과로 생긴 것이라면 어떤 식의 재화의 분배도 거의 모두 정의롭거나 공정하다고 말할 수 있게 된다.

-수능완성 46쪽-

완전 절차적 정의의 특징은 어떤 결과가 정의로운지를 결정하는 독립적인 기준과 그러한 결과를 보장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불완전한 절차적 정의의 특징은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은 있으나 그것을 보장할 만한 절차가 없다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순수 절차적 정의의 특징은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이 없으나, 올바르고 공정한 절차가 있어서 그 절차만 제대로 따르면 내용에 상관없이 그 결과도 마찬가지로 공정하게 된다는 점이다. 우리는 공정한 경기의 결과로 생긴 것이라면 어떤 식의 분배도 공정하다고 말할 수 있다. 순수 절차적 정의가 갖는 이점은 정의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다양한 여건과 특정 인간의 지위를 계속 추적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나는 분배의 몫의 문제는 순수 절차적 정의의 문제로 취급하길 원한다.

-수능완성 51쪽-

읽어보시면 대충 이해가 가실 텐데요. 쉽게 말하자면, 완전 절차적 정의가 좋긴 한데 그건 현실적으로 어렵고 불완전 절차적 정의는 별로니까 분배 절차만 잘 따지면 결과도 정의롭다고 할 수 있는 순수 절차적 정의가 좋다. 뭐 이런 말입니다.

2. 어... 이것도 무지의 베일이라는 사고 실험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롤스는 정의의 원칙을 도출하기 위해서 무지의 베일이라는 사고 실험을 제안합니다. 여기에서 배제되는 것은 '자연적, 사회적 우연성'입니다. 본인이 금수저이거나, 뭔가 뛰어난 재능이 있다는 걸 본인을 포함한 누구도 알 수 없게 하라는 거죠. 그치만 이 상황에서 개인들이 자기 이익에까지 무관심한 건 아닙니다. 오히려 되게 합리적이고 자기 걸 잘 챙길 줄 아는 개인들이 모인 상황에서 '자연적, 사회적 우연성'만을 모르게 했을 때 만장일치로 도출되는 결과가 바로 정의의 원칙이라고 봤습니다. 롤스는 '합리적이고 자기 걸 챙길 줄 아는 개인'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 개인들이 정치 현상, 경제 이론의 원칙, 사회 조직의 기초, 심리학 일반의 사실까지 알도록 설정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상식을 알게 설정해서 모르는 사람이 무지로 인해 계약에서 불공정함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죠.

그러니까 더 쉽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1. 개인들은 자기 이익에는 관심 있음. -> 모든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자기 손해 안 볼지 열심히 궁리하는 상황에서도 만장일치가 나오는 원칙이라면 정의롭다고 할 수 있음.

2. 그런데 그 개인들이 본인을 포함한 상대의 자연적, 사회적 우연성은 모름. -> 그래서 롤스 차등의 원칙이 나오는 겁니다. 상대방이 어느 정도 여력인지도 모르지만 내가 어느 정도인지도 모르니까 최소 수혜자의 최대 이익이라는 원칙이 나옵니다. 만약 내가 금수저이면 정말 좋겠지만 흑수저에 능력 하나 없다면 그땐 정말 곤란하니까, 돈도 없고 능력도 없는 최소 수혜자에게(본인을 위해 만약을 대비하는 거죠) 최대 이익을 주자고 만장일치로 합의합니다.

3. 모든 개인이 일반적인 심리학의 사실이나 경제 이론 같은 것을 안다. -> 어느 누구도 바보 같은 결정을 할 리가 없음. 그렇게 모두가 합리적 판단을 했는데도 동의할 만한 원칙이다?? 그럼 정의롭다.

도움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ㅎㅎ!!

생윤 롤스 질문

... ㅠㅠ?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차라리 모두 똑같이 분배받아야 한다는 뜻인가요?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면 그것으로 인한 어떤 불평등도 가능하다고 보는게 롤스의...

생윤 롤스 질문이요 ㅠㅠ

... 마르크스는 동의하죠? 롤스는 최소수혜자에게 최대의 이익을 주기 위한 의도적 불공정분배는 정의롭다고 보았습니다. 채택 부탁합니다

생윤 롤스 질문

... 업적이나 성취를 고려한 분배가 가능하다 ㅡ이 문장이 롤스입장에서 맞는 문장인가융..? 질문이 좀 많지만 ㅠㅠ 알려주세용 ㅜㅜ 1. 가능합니다 소유권의 일부 제한은 부의...

생윤 롤스 질문이요

정의의 원칙도 시민불복종의 대상에서 제외 되지 않는다 이게 왜틀린건가요??!ㅠㅠ 롤스의 정의의원칙이 기회균등이랑 차등의원칙이랑 평등한자유의 원칙 아닌가여??...

생윤 롤스 원초적 상황 질문

롤스의 원초적 상황에서 당사자는 타인의 이익에 무관심하다고 했는데 왜 정의로운 사회에서 타인의 처지와 이익에 무관심하다는건 틀린 답인거죠??ㅠㅠ 네, 원초적 상황과...

생윤 롤스 질문

사진 속에 질문 있숩니다 왜죠ㅠㅠ 설명햐주실분 무지의 베일은 그냥 사고 실험입니다. 원초적 입장에서 무지의 베일을 쓴 상태에서는 우연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