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안산vs인하vs아주vs성대공대 중에 어느 학교가 공대 조은가요?

한양안산vs인하vs아주vs성대공대 중에 어느 학교가 공대 조은가요?

작성일 2003.11.10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 수능을 본 고3학생입니다..

얼래는 한양서울이 목표엿는데 점수가 지원하기 아슬아슬한 점수여서

위에 4학교도 조금 알아보려구요..

대충여기글들 보니깐 공대는 설,포공,카이스트,연고대,한양설 뒤로는

담으로 저 대학들 가튼데 설,포공,카이스트,연고대분꼐서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객관적으로 답변해주실수잇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대]

한양공대는 연고공대를 거의 전분야에서 압도합니다.

누적조회 1만번 돌파 엠파스 최고 인기 질문
http://kdaq.empas.com/dbdic/db_view.jsp?num=3246084&ps=src 에서 검증된 자료

[1] 대교협 중앙일보 공학평가 ( A~Z까지 모든 요소를 다 총괄하여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자료, 1990년대 ~ 2003년 ) :
가장 공신력 있는 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양공대는 재료공학1위 건축공학1위 전자전기2위(안산), 토목공학1위 등, 거의 전분야에서 연세대,고려대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
재료공학 분야 : 한 양 대(1위), 포항공대(2위), 고 려 대(3위)
전기전자 분야 : 포항공대(1위), 한 양 대(안산2위), 연 세 대(3위)
건축공학 분야 : 한 양 대(1위), 서 울 대(2위), 울 산 대(3위), 한 양 대(안산,4위)
토목공학 분야 : 한 양 대(1위), 연 세 대(2위), 고 려 대(5위)

수 학 과 분야 : 포항공대(1위), 서 울 대(2위), 한 양 대(3위), 고 려 대(4위), 연 세 대(5위)

>
기계공학 분야 : 과 기 원(1위), 서 울 대(2위), 포항공대(3위), 한 양 대(4위), 연 세 대(5위), 고 려 대(6위)
건축공학 분야 : 서 울 대(1위), 한 양 대(2위), 한 양 대(안산,3위),,, 고 려 대(7위),, 연 세 대(9위)
전기전자 분야 : 포항공대(1위), 서 울 대(2위), 연 세 대(3위), 고 려 대(4위), 한 양 대(6위)
토목공학 분야 : 과 기 원(1위), 서 울 대(2위), 한 양 대(3위), 연 세 대(4위), 한 양 대(안산5위), 고 려 대 (6위)

*참고사항- 조선일보(연세대 재단), 동아일보(고려대 재단), 중앙일보(삼성계열-성균관대)

[2] 공학분야 BK21 (1999년 ~ 2005년) : BK21 사업의 중심은 과학기술분야.

한양공대 : 과학기술분야( 기계, 재료, 건설기술 ) + 핵심분야(12개(종료)+2개(신규))
한양공대(서울) : 과학기술분야( 기계, 재료 ) + 핵심분야(9개(종료)+1개(신규))
고대공대 : 과학기술분야( 정보기술 ) + 핵심분야(3개(종료)+신규없음)
연대공대 : 과학기술분야(없음) + 핵심분야(13개(종료)+3개(신규))
성대공대 : 과학기술분야(없음) + 핵심분야(12개(종료)+10개(신규))

* BK21 국비 지원액 - 한양공대(전체) > 한양공대(서울) > 고대공대 >> 성대공대 > 연대공대

[3] 국책대학원 (1995년 ~ 1999년, 공과대학 매년 50억지원, 이과대학 매년 40억지원) :

[공과대학] 포항공대, 한양공대 [이과대학]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4] 우수공학연구센터 (ERC - Engineering Research Center, 94년부터 선정, 매년 10억 최장9년 지원, 3년단위 중간평가)

서울대(7개소) : 지진공학 연구센터(97~ ) 고차구조형유기산업 연구센터(99~ ) 지능형생체계면공학 연구센터(2000~ ) 초미세생체전자시스템 연구센터(2000~ ) 무구속생체계측 연구센터(2001~ ) 마이크로열시스템 연구센터(2001~ ) 에너지변환저장 연구센터(2002~ )

한양대(5개소) : 초대형구조시스템 연구센터(94~2000) 세라믹공정 연구센터(97~ ) 최적설계신기술 연구센터(99~ ) 방선안전신기술 연구센터(2000~ ) 첨단도로센터(안산,2003~ )

연세대(3개소) : 생물산업소재 연구센터(94~2000) 정보저장기기 연구센터(97~ ) 생체인식 연구센터(2002~ )
고려대(1개소) : 유변공정 연구센터(2000~ )
인하대(2개소) : 초정밀 생명분리기술연구센타(2000~ ) 집적형광자기술연구센터(2003~ )

[5] 공학분야 국가지정 연구실(NRL - National Research Lab., 99년부터 선정, 매년 2억 최장 5년지원, 2년단위 중간평가)

연구[센터]에 비해 마이너항목으로, 한양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6] 공학분야 SCI급 논문수(2002년) : 논문숫자보다 피인용지수 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항목. 순위는 크게 의미없음.

(전체) 서울공대 - 과기원 - 한양공대 - 포항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순
(일인당) 과기원 - 포항공대 - 서울공대 - 한양공대(서울)- 연대공대 - 고대공대 순

[7] 기업임원, 기술사 [재직율], [승진율], [확보율], [취득율] :

공과대학으로 하면 100대기업,4대,5대,10대,20대,30대그룹, 어떤 범위에서도 당연히 비교 불가이며,
서울공대 > 한양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2003년, 2001년 삼성전자 [신규]임원 1위, 한양공대 15명>연세공대6명>고려공대2명

[8] 누적 기술고시 합격자수:서울,한양대>>>연세고려공대

[자연계 입시점수]

한양대 자연계열 언어120점 제외, [수과외]전형으로 (한양대 입학점수 완전공개사항)
http://www.hanyang.ac.kr/admin/menu_process.phtml?cd=AM30

210점대 (208.29 ~ 216.73점, 변표만점224점, 2003년), 210점대 (209.32 ~ 215.27점, 변표만점226점, 2002년)
207점대 (변표만점224점, 2003년) 207점대(변표만점226점, 2002년) -------> 이공계에서, [수과외]비중 >>> [국어]비중

공과대학[수과외]순위, 과기원 포항공대 서울공대 - 한양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이과대학[수과외]순위, 과기원 포항공대 서울대 - 한양대 - 연세대 - 고려대


한양공대 210점대, 한양대 자연대 207 점대는 [수과외]에서,
서울대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낫고, 연대공대 연대자연대(>고대)를 상회하는 점수이다.

*[추가]* 이공계 국비 장학생(2003년)
서울대 613명, 한양대 295명, 연세대 267명, 고려대 250명
한양대이공계(19.4%), 연세대이공계(18.8%), 고려대이공계(16.7%)


대학 취업현실▶▶2002년도 주요 사립대 이공대 취업률

주요대학 컴퓨터학과와 물리학과 취업률
(D일보 올해 8월26일)

2003년 2월 졸업한 컴퓨터학과 취업자료

서울대는 졸업자 69명중 미취업 10명,

연세대는 졸업자 146명중 미취업 21명,

고려대는 졸업자 55명중 미취업 3명,

한양대는 전기,전자,컴퓨터로 나왔고 졸업자 312명중 미취업 57명 입니다.


물리학과는

한양대 42명 졸업에 미취업 0명.

고려대 34명 졸업에 미취업 0명,

서울대 41명 졸업에 미취업 2명,

연세대 43명 졸업에 미취업 9명,

대학교 취업현실▶ 대학전체취업율은 한양대,고려대가 앞서고 연세대가 좀 뒤처지는 경향이다.

산업계4대그룹 ▶
2003년 4대그룹 신규임원진은 서울대>고려대>한양대>연세대 순이었고,
그중 이공대 출신은 서울대>한양대>고려대>연세대였습니다.

산업계30대그룹▶▶서울대>한양대,한양공대>연세,고려대>연세,고려상대,공대

기술직공무원현황▶▶기술고시 합격자 누계:서울,한양대>>>>연고대

▶국내 대기업CTO(최고기술경영자) 108명 출신대학
[ 대기업 CEO ]
서울공대 > 한양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입니다

1 서울대 (43.5%)
2 외국대학(미.독 등)(34.2%)
3 한양대(9.3%)

4 연세대(2.8%)/ 5 고려대(2.8%)
6 기타대(7.4%)
[한국경제] 2002.12.10


현대기아자동차 정몽구 회장 (모두 한양공대 출신 CEO)
김쌍수 LG전자 회장

이상완 삼성전자 사장
현대건설 이지송사장
이영국 GM대우자동차 부사장

노기호 LG화학 사장
조영환 LG마이크론 사장.
최영재 LG홈쇼핑 사장

고홍식 삼성종합화학 사장.
박재영 한진중공업 사장.등등
.....................,,,,,........등
..............................

한양대(한양공대)
2003년 삼성전자 신규임원 공대출신, 한양대(15명) 연세대(6명) 고려대(2명)입니다.

▶대기업 임원, CEO되기 위해서, 한양공대 가라고 해야 정답입니다.


▶30대 그룹 임원 출신대학
1위 서울대 (29.9%)
2위 한양대 (12.1%)
3위 연세대 (10.0%)
4위 고려대 (9.4%)

5위 성균관
6위 부산대
7위 인하대
*전략.....출신대로는 서울대 출신이 29.9%로 가장 많다. 다음 자리는 연세
대(10.0%)와 고려대(9.4%)를 제치고 이공계 출신들이 강세인 한양대(12.1%)
가 차지하고 있다.
서울대 졸업자중엔 공대 출신(2백33명)이 상대 출신(1백57명)보다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상대 졸업자중엔 고대출신(56명)이 연대출신(53명)보다 많
으며 서울대 법대(100명)와 한양대 공대출신(97명)은 이들 두 대학 상대출
신을 합한 숫자와 거의 맞먹는다

▶30대그룹: 서울>한양>한양공대>연고대상대>연고공대

▶기업연구소 연구원 배출 순위

1.한양대 2.서울대 3.인하대 4.연세대 5.경북대

한국 산업기술진흥협회는 전국 3474개 기업부설 연구소에 근무하는 연구원 7만 8천 3백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연구소 연구원현황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학력은 학사학위 소지자가 전체의 61.3퍼센트이며 석사학위 2.1,박사학위 4.5퍼센트로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공학이 전체의 77.3퍼센트로 이학(16.5퍼센트) 농학(2퍼센트) 의학(0.3퍼센트)보다 월등히 많았다.

출신대학별로는 한양대(7.28퍼센트) 서울대(6.15퍼센트) 인하대(5.3퍼센트) 순으로 나타났고 재직기간은 3-6년이 35.7퍼센트로 가장 높았으며 3년미만(27) 6-10년(21.1)순이었다.



▶전국 대학교 기술사 배출순위* (한국 기술사회 DB현황)

01.한양대 822 (명)
02.서울대 688

03.연세대 359
04.인하대 263
05.고려대 227
06.부산대 210
07.서울산업대 162
08.중앙대 137
09.KAIST 133
10.건국대 118
11.충남대 117
12.경북대 116
13.홍익대 112
14.전남대 106
15.전북대 97
16.경희대 94
17.성균관대.시립대 86
18.충북대 85
19.단국대 68
20.숭실대 59
21.동국대 57
22.강원대 49
23.아주대 45
24.국민대 21
25.광운대 19
26.서강대 15
27.세종대 4
28.포항공대 3
29.이화여대 2
http://i2s.kordic.re.kr/~techman/human/test2.html

한양공대는 연고공대를 거의 전분야에서 압도합니다.

[한양대,연세대,고려대 이공계 신입생 자질]

▶ [이공계 국가 장학생]: 한양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

공과대학[수과외]순위, 과기원 포항공대 서울공대 - 한양공대 - 연대공대 - 고대공대
이과대학[수과외]순위, 과기원 포항공대 서울대 - 한양대 - 연세대 - 고려대

한양공대 210점대, 한양대 자연대 207 점대는 [수과외]에서,
서울대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낫고, 연대공대 연대자연대(>고대)를 상회하는 점수이다

국가이공계장학금은, 수도권은 (수리1등급+과학1등급)(과학1등급+수리1등급)(수리1등급+과학2등급)
비수도권은 (수학 3등급내+과학 3등급내) 내에 들어야, 그 수혜자가 될 수 있다.

2003년 각대학별 수혜자수[본교+분교]는 다음과 같다.
======================================================================
서울대 613명, 한양대 295명, 연세대 267명, 고려대 250명

한양대이공계(19.4%), 연세대이공계(18.8%), 고려대이공계(16.7%)
-----> 수혜가능대상자[서울기준], 공대+자연대+농대(인문계열제외,경제)+사범대(이과) 신입생 대비, 한양대(1503명) 연세대(1419명) 고려대 (1486명) 이다.

한양대이공계(21.34%), 연세대이공계(20.99%), 고려대이공계(18.53%)
-----> 위에서 수능을 치르지 않는 수시 1학기 신입생 제외, 한양대(1382명) 연세대(1272명) 고려대(1349명) 이다.
========================================================================================
그런데, 여기에 추가해서 주목할 것이 있다.
각 대학이 20% 내외의 수혜수를 보이는 상황에서, (수리1등급+과학1등급)이 차지하는 비율은
(과학1등급+수리1등급)(수리1등급+과학2등급)에 비해서 극히 일부분이라는 것을 생각할수 있다.
(즉, 수혜자중 (1등급+1등급) 에비해, (1등급+2등급)이 절대 다수라는 것을 나타낸다 )

더불어, 한양대 안산은 한양대(서울)과 동일한 수도권으로 전체 수혜율이 20% 미만인 상황에서
수혜대상자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한 수준이다
이와는 달리,
연세대 원주, 고려대 서창은 (수과학 3등급)내로, 위에 연세대 267명,고려대 250명의 수혜자
중에서 상당수를 차지 하고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 실재로, 비수도권으로서 수과학 3등급내 적용을 받는 지방대학의 수혜자수는 무려
경북대 297명, 부산대 268명, 한국교원대 110명, 전남대 97명 등으로, 서울 주요대와 비슷한
수준이다 )

매스컴에 발표된 수혜자수를 바탕으로 확실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다음의 수혜비율보다
각 학교 서울캠퍼스, 수혜비율은 한양대가 연세대,고려대보다 약간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
서울대 613명, 한양대 295명, 연세대 267명, 고려대 250명

한양대이공계(19.4%), 연세대이공계(18.8%), 고려대이공계(16.7%)
한양대이공계(21.34%), 연세대이공계(20.99%), 고려대이공계(18.53%)

▶ [이공계 국가 장학생]: 한양대>연세대>고려대


한양공대(6천여명)는 서강대학교(7천여명) 만 하며, 한양대학교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전학과가 고루게 우수한 [과기원, 포항공대, 서울공대, 한양공대]는 메이져 공과대학으로, [1]~[10] 입학성적, 국비장학생 등, 거의 전 분야에서 연대공대,고대공대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그냥 [종합대학]네임밸류는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일지 모르지만,
공대 [공과대학]네임밸류는 한양공대가 연대공대나 고대공대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건 실제 체감 인지도 평판과,각종 대학평가에서 검증된 사항입니다.

한양대학교 전체를 평가할때, [한양공대의 가중치]와 [한양법대의 비중]을 가하면,
명문사학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공과대학은 연세대를 능가하고 법대는 연세대 다음의 실력으로 이런 조건 의 종합대학은 대한민국에서 서울대 제외하고, 한양대학교 밖에 없습니다. 위에서도 밝혔듯이, 서강대학교는 한양공대 만하고 한양공대 하나로 커버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한양공대와 법대만으로도 연고대와 같은 명문대로 평가 받을수 있습니다.

▶[주요대학 종합평가]

▶법대: 서울대>고려대>연세대>=한양대>성대> 서강>중앙,경희

▶상경,인문:서울대>연세,고려>서강>=성대=한양>중앙,경희

▶공대:서울>한양>연세,고려>서강>성대,인하

▶▶공과대학으로 하면, 서울대 - 한양대 - 연세대 - 고려대 라인이 성립

공과대학으로 하면,서울대 - 한양대 - 연세대 - 고려대 라인이 성립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상, 종합대학 평가시, 법학이나 경영학 같은 인문계열 학과를 고려하고 [한양공대의 가중치]와 [한양법대의 비중]을 함께 종합평가 하면,

▶▶서울대 - 연세대 - 고려대 - 한양대 - (서강대,성균관대) 라인을 정합니다

>

"한양대 學·硏·産 클러스터 본격 가동"

한국의 스탠퍼드대학인 한양대학교가 실리콘밸리를 안산 경기테크노파크에 실현하고 있습니다.

실용학문의 전당,신기술에 의한 국부의 창출,대규모 창업(취업)의 발생지인 한양대가 국내
최고의 산학협력과 세계적인 첨단기술 산실의 공대로 중흥,부활하여 실질적인 국내 1위의
공과대학교로 전진하고 있다.과거도 미래도 한양대는 국내 1위의 공과대학교 이다

한양대에 삼성그룹계열 기업등이 줄서서 협력하고 있더라(아래기사: 바이오칩 파운드리센터에
참여하는 17개 기업)
한국의 스탠퍼드대학교인 한양대학교와 어느기업이든 협력하고,협력할 수밖에 없다.
한양대에서 수학한 유능한 인재는 국내외 일류기업에서 인류의 행복을 위하여 더 많은 봉사를 할 기회(취업,창업등)를 갖게 되었다.

지겨운 모략성 홀리건 행위(특정신문의 선택적 편향보도 등)는 더 이상, 한국의 스탠퍼드대학인 한양대학교와 경기테크노파크 밸리에 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한양대,공대(행당,안산)의 위력>>>> (서울대,포공,카이스트를 제외한) 상위권
대학교와 특히 웃기는 ㄱ대학교 and ㄱ공대를 계속하여 격차를 벌리고 압도 할것으로
확신한다,

(조선,중앙일보가 보도하였으나,D일보는 경쟁학교의 연합통신 커다란 기사를 어떻게 하고있나...)

한양대 學·硏·産 클러스터 본격 가동
산학연 협동 구축

[속보, 사회] 2003년 10월 29일 (수) 20:43

동영상 보기
⊙앵커: 한국의 실리콘밸리를 꿈꾸는 대학과 기업, 연구소가 대학 캠퍼스 안에 모였습니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날로 심각해져가는 요즘 기업과 대학, 연구소 모두가 함께 살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보도에 김 석 기자입니다.

⊙기자:수도권의 한 대학이 국내 최초로 대학캠퍼스 안에 71개 기업체와 연구소를 유치한 것입니다.

⊙기자: 산업자원부 산하 국내 최대 연구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도 이 대학 캠퍼스에서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대학과 기업체 연구소가 각 분야에서 유기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협동체제가 대학캠퍼스 안에 구축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주덕영(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그것은 우리의 실용적인 연구하고 결합을 시킬 수가 있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기업을 지원하는 그런 역량이 훨씬 더 늘어나는 거죠.

⊙기자: 대학측은 이번 학기부터 산학연 공동과정 수업을 진행해 학생들의 취업과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기자: 이번에 구축된 산학연 협동체제는 날로 심각해지는 이공계 기피현상을 해소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 석입니다.

[조선일보 이태훈 기자] 대학의 전문인력, 연구소의 R&D 기능, 기업의 경제 마인드가 결합된
'학연산(學硏産)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대학이 생산 전진기로 탈바꿈
[속보, IT] 2003년 10월 29일 (수) 14:12

경기도 안산 지역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안산연구센터와 한양대학교 학연산 클러스터 사업
단이 잇따라 문을 열면서 새로운 산학연 클러스터로 부상하고 있다 .
특히 안산지역은 반월.시화 공단을 중심으로 수천개의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어 산학연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할 경우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창욱 교수는 "취업을 원하는 학생에게는 현장 중심형 교육을, 연구소로 가려 는 학생에게는
연구개발 중심형 교육을, 창업하려는 학생에게는 창업형 교육을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미 올 2학기부터 사업단내에 경영마인드, 기업과 디자인 등 3개 교과목을 개 설했으며 앞으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할 예정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은 일단계로 현재 첨단부품연구단과 허브로봇센터 등 2개의
연구센터를 한양대 안산캠퍼스에 입주시켰으며 280명의 박사급 연구원들을 투입해 연구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한양대 클러스터 사업단은 현재 세계적인 클러스터인 미국의 `리서치 트라이앵 글 파크`의
한국 사무소를 비롯해 세계 수준의 연구소 유치를 목표로 세우고 독일 등과 접촉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 다양한 용도의 바이오칩을 설계,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칩
전용 바이오파운드리(Bio-foundry)`가 국내 처음으로 설립됐다.
한양대 마이크로바이오칩센터는 31일 오전 개소식을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에는 삼성종합기술원을 비롯한 17개 기업이 참여했다.

[email protected]

>

지난 6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의 로봇연구팀이 한양대 안산캠퍼스로 첫 입주를 완료했다. 올 가을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05년 완공을 계획하고 있는 생기원은 연구와 개발(R&D)의 메카로서 테크노파크, 안산캠퍼스와 함께 국내 유일무이한 학연산 클러스터의 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양대는 국내 유일의 "경기테크노파크 學·硏·産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되기
시작 했다.

한양 안산공대가 서울행당 본교공대 수준으로,더 발전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 한다.

한양대 전체의 힘은 연고대를 본질적으로 앞설 수 있는 계기를 확보하고,
한국의 스탠퍼드대학, 한국의 실리콘 밸리의 산학연 종합대학으로서 전진하고 있다.

한양공대는 메이저 공과대학으로, [1]~[10] 입학성적, 국비장학생,BK21 산학협력,우수공학연구센터,고시 등, 거의 전 분야에서 연대공대,고대공대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 공대:서울공대>한양공대(서울)>연고공대>=서강,인하,안산한양공대

이지만 수년내에 ▶▶ 한양(서울)공대> 한양안산공대> 연고공대 로 기대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과대학
...................................................................................
1그룹
@서울대@ 누가뭐라하는사람도없다. 최고의 공과대학 가끔 포공이나카이스트에서태클도오지만 학벌로살려면 서울대를가라
@카이스트@ IT,BT 등등.모든분야에서 최고의 대학교 학부생도 대학원생같은 학교
@포항공대@ 졸업하면 POSCO에다 취직하기때문에 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들다.ㅡㅡ; POSCO보다 좋은데 취직되면 거기로간다.
@ICU@ 한국정보통신대학교(맞나?) 공대생으로 이학교를 아느냐 모르느냐에따라 쫌아는놈 or 공대에대해아무도모르는놈으로 갈

림 원래 대학원이었는데 2000년쯤부터 학부생뽑음 1년 3학기제. 카이스트와 비슷한쪽으로나가고있음 ETRI(한국전자통신연

구소)
에서 분리된학교 이학교모르면 공대에 대해 논할자격이없다는걸로 보면 된다.
....................................................................................
2그룹
@연대공대@ 연구결과나 실적등도 꽤 돼고 연대라는 이점때문에 공대도 좋아진케이스다.고려대도 마찬가지다.
@고려공대@ 연세대와마찬가지다. 재학생수준도 좋고 실적도 괜찮은 편이고 점점 좋아지고있다.
@한양공대@ 건축,전자분야에서 특히두각을 나타내는공대, 그외 공대도 좋다.종합적인 공학대학으로.상위권그룹의 선두다.
@서강공대@ 잘난거 하나도없다.그러나 학교에서 공부를 많이시킨다고해서 회사에서 학생들을 매우 쳐준다.
....................................................................................
3그룹
@성균공대@ 별거없다.삼성에서인수했다고 좋게보는시선이있는데 의대와 경영대만 지원한다. 재학생들도 맨날 투정이다.
그래도 투자안해도 삼성빽댐시 점수가 폭등했다.재학생 수준이 높으므로 3등급에껴준다.
@광운공대@ 전자분야에서 최고,최고의학교 원래 2그룹에 껴줄수도있지만 점수폭락으로 3그룹이다. 전자분야는 2그룹으로쳐줘도
(전자계열) 무리가없다.삼성연구원5위,전자계열서만 1년에 100명넘게들어간는 삼성,LG 단골 대학이다 옛날 삼성과 재단협의 실패로

성균관대에 넘겨줬다.국책연구소3개로(단일계열=전자) 최다선정대학교다.
@인하공대@ 선배가 엄청많다,여기도2그룹이었는데 점수폭락으로 3그룹.기계항공공학부를 최고로쳐주며 전자정보통신공학부도 괜찮

다.
(기계,전자) 옛날에는 점수 매우높았지만 지금 추락.점수가 이쯤 되는 기계공지원생들은 꼭 가라고 조언.
@홍익공대@ 미대가 유명한관계로 디자인과 건축을 결합시킨 건축과가 좋다 선배들도 많을뿐더러 실력도 꽤쳐주고 점수도 많이 높다
(건축계열) 라군에속했던관계로 점수폭등한적있엇지만 꼭 그거 아니라도 괜찮은 과다.
@국민공대@
(자동차,기계 자동차 기계 건축계열에서는 많이 쳐준다.물론 선배들도많고 사회영향력도 괜찮다.대부분의 3그룹학교의 해당과들이
건축) 그렇듯이(광운전자,인하기계전자,홍익건축)처럼 점수는 별로높지않지만 매우좋다.이정도점수대면 꼭가라!!
@숭실공대@
(컴공계열) 한국최초의컴공학대학교. 선배도 많고 재학생실력도좋다. 삼성SDS등 국내유수 SI,IT회사에 많이 들어가있고 지금도 많이

들어간다.컴공을 가고싶다면 적극 추천한다.(물론 점수는 3그룹점수다)
@경북공대@
(전자계열) 지방대이기는 하지만 전자계열에서 광운대와함께 최고로 쳐준다 삼성연구원수 4위의 학교로 대구,구미공단에가면 연구원
중 3분의2는 경북대생이다.졸업생영향력도막대하며 기업인정도도 우수하다.
@아주대@ 별거없는 학교였지만 대우인수후 매우떳다.미디어 계열 점수가 엄청높았었다.
(미디어)
@건국공대@ 인하대항공에비해 떨어지지만 서서히 인정해주는 분위기다. 점수는 낮지만 항공과지원생이면 인하대공대와 같이
(항공) 지원해볼만한 학교다.항공대도 넣어라.ㅡㅡ;
......................................................................................
3.5그룹
@중대공대@ 뭐 잘난거 하나없는학교다. 문과가 좋기때문에 같이 점수상승한학교 별거없지만 재학생 점수가 꽤 높으므로 3.5에 랭크


......................................................................................
4그룹=+(3그룹 위에안써진 계열)
@경희공대@ 수원에있다고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행정상으로 용인이다.이사실아는사람 몇안된다.연구실적도 없고 교수진도 별로며
학생수준이 높은것도 아니다. 경희대가 문과가 좋아서 같이 상승하려고 했던 학교.문과와 상당히 차이가있어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있다.
@동국공대@ 재학생수준이 높지않다.실적좋은것도 없다. 그냥 말그대로 동국대학교다.인지도가되므로 4그룹.2003수능점수 원점수 평

균 330점이라고 거짓말한것은 알사람(합격생=재학생+다른학교로간합격생)은 다안다.
......................................................................................
4.75그룹
@세종공대@ 재학생수준이 높은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실적이좋은것도아니다.교수진이좋은것도아니다. 좋은점도없다.
중앙일보대학평가 순위가 높게나왓다.로비실적이 좋으므로 4.75정도에 랭크시켜준다.세종공대생들은 3그룹학교보다 좋다고

우긴다.
......................................................................................
5그룹
단국대,명지대,상명대,서경대,한성대
-> 그냥 인서울이라는 이유하나만으로 5그룹이다.단국대는 문과는 어느정도가지만 공대는 문과와 다르다.
6그룹
그외학교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설, 카, 포 는 보통 동급으로 치긴 하나 사람에 따라, 지역에 따라, 전공에 따라..

약간씩 그 순위가 바뀌고 있죠..

사회적 인맥이나 기타 등등을 따진다면 설대가 젤 낫구..

학문에서의 인맥이나 과기부 쪽으로 진출을 생각한다면 카이가 나으며..

실제적인 연구 분위기나 하고픈 연구 등등을 생각한다면 포공이 낫습니다...

(물론 이는 제가 생각하는 바이나 대부분 동의하는 사항이기도 합니다..)

또한 그 밑으로 연, 고, 한대를 놓는게 일반적인데..

공대로는 연대 >= 한대 > 고대의 순으로 놓습니다.

(한 예로 포항공대나 카이스트 대학원 입학정원의 비율을 따진다면

40명 정원 학과에 연대랑 한대에 각각 10명씩의 TO가 일반적이며

고대는 한두명?? 정도 있을까 합니다..

회사에서는 고대 비율이 조금 더 올라가는 경향이나 비슷한 경향인터..)

결론적으로 고대 공대 갈바엔 차라리 그 아래 대학 공대를 가는게 나으리라

추천하네요..

(물론 고대 라는 네임 밸류가 목적이라면 추천합니다.. 다만 공대 전공을 살릴

생각이라면 ㅎㅎ..)

이제 본격적인 질문의 답이 돼겠군요...

위 대학 아래의 공대는 님께서 짚으신 대학들 외에도 몇가지가 더 있습니다.

비슷하긴 하나 대략 순위를 매긴다면..

아주대 인하대 성대 홍대 서강대 한대안산 정도로 순을 정할 수 있긴 합니다만...

여기서 서강대는 제외했음 싶네요...

(입학점수는 높으나 졸업후 뒷받침이 어려운 곳이라..)

또한 이들은 전공별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여기서 부터는 전공에 따른 차이가 상당합니다....>



대략 성대는 생물학 쪽으로 뛰어나며

한대 안산은 NT방향으로의 장래가 유망합니다..

전통 공대 이미지의 인하대는 기계와 전자 방향이 우수하며

아주대는 요즘 어떤지 모르겠네요... (의대라면 아주대가 최고긴 하나....)

참.. 건축 계통이람 홍대가 젤 낫구요...
(홍대 건축은 전체 레벨에서도 설대, 한대 다음으로 홍대를 친답니다..
입학 점수도 높을껄요..??..)



여튼 학학교 홈피에 들어가서 관심가는 전공의 교수님 연구실 홈피에 찾아가보세요..

같은 과라 하더라도 세부 분야가 상당히 폭넓으며

교수님 위상이 엄청 차기가 있기에 필히 조사해 볼 필요 있습니다...


그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수냠냠

한양안산vs인하vs아주vs성대공대 중에...

... (신규)) 성대공대 : 과학기술분야(없음) + 핵심분야... 한양학교어느기업이든 협력하고,협력할 수밖에... (서울)>연고공대>=서강,인하,안산한양공대 이지만...

안산 한양공대 vs 인하공대 vs 아주공대

... 싶은데요 안산 한양대는 저희집 앞에 있는거라 가까워서 좋을 것 같구요. 인하공대 역시 대기업에서 밀어주는 대학이라 취업이 잘 될 것 같고 아주공대는 두말할 나위 없이...

한양공대(안산)vs성균관공대vs경희공대...

... 어느학교가 더 인지도가 높고, 사회활동하기 쉬운지 도와주십시오. 한양안산 공대 다니고 있습니다.. 성대... 75점), 한양대(서울, 96.76점), 한양대(안산, 95.60점), 인하...

한양안산공대 vs 인하공대 vs 건국공대...

... 이 4개 학교 공대의 레벨과 적절한 분석과 화학공학의 앞날을 비춰주세요^-^ 위에 분 어느 학교인지는 모르겠지만... 타 학교 생임을 밝히며 씁니다. 한양안산, 인하공, 건국공...

성대공대vs한양안산공대vs인하공대

... 가군에 성대 기계 붙었습니다. 나군엔 중앙대와 아주공대... 암튼 한양안산이랑 비교당해서 이런저런말 써봤구요. 성대공대좋구요, 인하공대도 전혀 뒤쳐지진 않아요....

포항공대vs카이스트vs한양공대

포항공대나 카이스트,한양공대 모두 알아준다고 들었는데... 대학교가 있나요? 위의 대학은 그 포지션이 너무나도... 성균관대 공대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수원에 위치한 성대...

아주공대vs성수공 어디공대가 더...

... 어느쪽 승? 인하vs중앙은? 기분좋지않군요.. 성수공이 아니고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입니다. 글쎄요. 아주... 아리리버등등 성대공대에 뽑아갈라구...

한양안산vs인하공대vs 경희대...

... 외국어는 4등급초반이였습니다.....인하공대도 인프라가 굉장히 잘된 학교라 들었지만 한양안산보다... 수리3 외국어4 과탐1~3 등급이면 거기서 아주 조금만 더 올리시면...

한양vs인하vs경희vs아주vs홍익

... 어느 대학이 좋을까요 한양, 인하, 아주, 경희, 홍익 이... 다만 취직 시 선배들을 보면 한양대와 인하대가 너무 좋죠. 공대가서 취직하시려면 어느 학교가 좋은지를 따지기...

건축학부 어느곳이 더 조은가요?...

... 당연 한양안산 건축이라고 말해 드릴 수 있지만... 과학기술학부는 공대라기 보다는 자연대이기 때문에 공대 중에서도 강세인 건축과 비교한다면 학교의 우열을 따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