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100)인문계 고1입니다. 이제 정신차리고 독학할려고해요 독학해보신분...

내공100)인문계 고1입니다. 이제 정신차리고 독학할려고해요 독학해보신분...

작성일 2003.10.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서울에 있는 인문계고등학교 학생이구요

여태껏,,놀다가 이제 맘먹고 공부를 할려고합니다.

학원이나 과외는 제 적성에 안맞아서 독학을 할려고 해요.

아직 제가 목표로하는 대학하고 과는 없지만 일단 공부를 하다보면 길이 열릴것같아서

공부를 늦게나마 시작할려고합니다

저는 이과를 지원했는데(담임선생님의 반 강요로..) 일단 그쪽으로갔으니까 열심히 해볼려구요

물론 문과체질이 아니라서 이과를 갈려고했었습니다만......이야기가 새버렸네 -_-;;

이번 10월1일 모의고사에서는 500만점(언어 수리 외국어 사탐 과탐 각각100점만점)에 290점 나왔습니다.

언어가 68 수리 42 외국어 59 사탐 66 과탐 55이렇게 나왔어요

언어는 계속 오르는 중입니다. 물론 이점수는 엄청낮은것이지만

수리는 자꾸 떨어지구요.. 외국어는 그저 그대로이고 사탐은 의외로 잘봅니다..

과탐은 저희 학교에서 진도를 못따라가서 안배운게많아서 모르는게 많았구요..

이런 제가 이제 공부할려고하는데

모의고사위주로 공부를 해야할까요 아님 내신위주로 해야할까요??

워낙 늦게 시작해서 뭐부터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그리고 담임선생님이 영어샘이라 영어를 집중적으로

시켜요.. 전 수학을 해야하는데 그런것때문에 자꾸 페이스가 흐트러지구..

독학하기에 좋은 공부방법과 그에 따른 교재들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하튼 독학에 대한 모든 경험과 지식들을 전수해 주세요. 후배가 일 한번 내보렵니다.

부모님께 효도하고싶어요(장남입니당;;)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아직 님은 늦지 않았습니다..

저도 이 시기부터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무지 놀았거든요..

그래도 열심히 해서 200등에서 20등으로 올리는 성과도 보였어요..

그리고 그 이후로 폐인생활 청산하고 모든것이 달라졌어요..

ㅋㅋㅋ 님에게 제가 아는건 다 전수 시켜 드릴게요.. ^^

제가 과목별로 하고싶은 말은 대강 이렇습니다..

언어는 집중력이 크게 좌우됩니다.. 하지만 언어는 집중력이 안된다는게 문제죠..

집중력을 가장 크게 늘릴수 있는 방법은 중심문장 찾기 입니다..

문학같은 경우도 소설이나 시에서 물어보는내용 (시의주제, 인물간의 갈등 등..)을 찾아 내는거죠..

지금 문제를 빨리 풀려는 능력을 기르는것보다 그런것을 어떻게 찾아 내고.. 글에 씌여진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내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틀린 문제도 계속 보면서 이해하는게 중요해요..

독해가 안된다면 신문이나 책 읽기를 추천합니다.. 자신에게 휴식의 시간이 되면서 언어공부에도 도움이 됩니다..

수리요.. 외국어와 더불어 고등학교 초반에 가장 중요합니다..

수학은 공식을 무조건 외우는것 보다 이해하는게 중요합니다.. 공식 하나하나 마다 수학적 의미가 있죠.. 그것을 파악하고 증명해 보세요..

"이 공식은 이러이러해서 이렇게 되었다" 하고 한번 벽에다 대고 설명하면 그 공식에 대해서는 완벽해 집니다.. 그리고 면접에도 도움이 되고요..

그리고 문제 풀때는 이 문제가 무엇을 답을 요구하는지 봅니다..

만약 어떤 직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하면.. 무엇을 알면 이 직선의 길이를 구할수 있을까? 하고 생각해 본뒤..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서 자기가 알고 있는 공식에 대입하면 수학문제는 거의 다 맞춥니다.. 다만 생각해 내는게 문제죠..

그러기 위해서 오답노트 만들기를 권유합니다... 자신반의 노트를 만들어서.. 가령 "최소값을 구하는데는 산술기하, 함수값, 미분 등등을 이용한다.." 이렇게 정리해 주세요.. 그러니깐.. 자신의 생각을 넓혀줄 수 있는 그런 노트를 만들고 정리해 주세요..

독학으로 가장 어려운게 외국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외냐면 시중에 나오는 문법책이 너무 딱딱한데다 이해할수 없는 것들 투성이로 가득하죠..

큰 서점에서 한번 찾아보세요.. 분명 문법이나 독해를 알기쉽게,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로 풀어쓴 책이 있을겁니다.. 딱딱하지 않고 친근함이 있어서.. 보기에도 좋을겁니다..

하지만 일단은 가장 중요한 것이 단어 입니다.. 일단 단어를 새로이 2000개 정도 외우시고요..

그 다음 과제는 해석입니다.. 기초문법에 의거해서 영어를 해석하는데 치중하세요..

그니깐.. 그냥 영어 문제를 풀지 마시고요.. 시간 신경쓰실것 없이.. 하루에 세 지문씩 완전 분석 하는거에요.. 모르는 단어는 단어대로, 모르는 문장은 따로 적어두어서 그 노트에다 다시 한번 해석하는 연습을 하세요..

그렇게 문제집 한권을 끝내면 영어를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지문 3개 분석하던게 1시간 걸리던게... 계속 연습하다보면 1시간에 5개, 7개...가다가
결국에는 해석 못하는 문장은 거의 찾아보기 힘드실것 입니다..

님이 영어와 수학으로 고1,2를 보내다 보면 과학은 언제하냐고 하는데..

절대로 고2말부터 시작해라, 고3부터 시작해라.... 그런거에 속지 마십시요..

수학, 영어는 만점 받을 정도로 끊임없이 해야 하는데... 과탐을 뒤늦게 고3때부터 하면 이것저것 혼란해 집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수업시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님이 수업시간에 잠을 자는지 안자는지 모르겟지만.. 국영수는 자더라도 절대로 과학시간엔 졸지 마시기 바랍니다..

과학은 물리를 제외하고 아무나 다 잘가르치거든요.. 학교시간에 열심히 들어서 그날 30분 동안 복습하세요..그리고 과탐 한번 지나갔다고 해서 상심하지 마세요.. 여러번 되풀이해서 선생님들께서 설명해 주실겁니다...그때 기회를 놓치지 않고 들으세요.. 저는 고1때 수업에는 매일 잤지만.. 고2때 다시 설명들었을때 열심히 했습니다..

그리고 중간, 기말 고사있을때 시험공부 하셔야 하는데.. 수능문제하고 병행햐시면 내신 올리고 수능 올리는..효과 만점입니다... 그리고 모의고사 문제집을 사서 일주일에 한번씩 풀어주시면 과학은 금방 늡니다...

다만.. 님이 이해하실때 왜 그런지를 아는게 중요합니다.. "이런 현상은 이렇기 때문에 이러해서 이렇게 되었다.." 수학하고 마찬가지로 이렇게 이해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머릿속에 그려보는 것입니다...그냥 무턱대고 외우시진 마세요..

그리고 한가지 드릴 말슴은.. 잠은 충분히 자시길 바랍니다..

누구는 4시간 자는데... 누구는 새벽 3시에 자는데.. 그렇게 생각하지마세요.. 사람마다 잠에는 개인차가 있는데.. 자기가 잠을 많이자는 스타일이라면 어쩔수 없는겁니다..

고등학교 공부는 이런 이론을 이해하고 생각해서 응용하는 공부 입니다. 그런데 졸리는데도 계속 비몽사몽으로 공부하면.. 피곤하기 때문에 갈수록 사고의 범위가 줄어들어요.. 그래서 공부의 성과가 없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시려면.. 고2,3같은 경우 학교가는 평일에는 새벽 1시에 전까지 주무시고요..

공휴일이나 일요일에는 7~8시간 자면 아주 충분합니다..

그리고 공부는 수능,내신을 둘다 잡을 수 있도록 하세요.. 교재는 개념 같은 경우 재미있게 풀어쓴게 좋구요.. 솔직히 문제집은 아무거나 하셔도 좋습니다...왜냐면 문제집에는 문제외에건 안하니깐..다 똑같다는 말입니다. 다만 그걸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하죠....

그리고 항상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세요.. 제가 성공할수 있는 원인중에 하나라고 자부합니다..

제가 말한대로 공부하면 바로 오르지는 않아요.. 왜냐면.. 시간때문입니다..

제가 말한게.. 언어와 외국어는 시간에 구애받지 말고 수학은 기본에 충실하랬죠??

이건 시간을 보는 모의고사 성적과 연관이 없어죠.. 하지만 나중에 숙달하게 되면.. 어느새 님 성적은 크게 오를것입니다.. 그때까지 긍정적으로 보시고.. 희망을 잃지 마세요..

그리고 과외나 학원에 적성이 안맞다고 하셨는데..
괴외는 그렇다치고.. 학원은 좀 유명한 곳에 가셔야 해요.. 특히 외국어 같은경우 아주 쉽게 가르쳐줍니다.. 서울 강남이나 노량진 같은곳이 좋죠..

님이 만약 저처럼 지방출신 이시면.. 인터넷 강의를 권합니다... 유명강사 같은 경우 공부 방법을 가르쳐 주는데다 쉽게 가르쳐서 진짜 짱입니다 ^^
뭐.. 님이 그런곳에 갔는데도 적성에 안맞는다면 모르겠지만요..

또 지금 모의고사 성적 보고 이게 대채로 높다.. 저게 낮다고 생각하는것은 금물입니다..

2,3학년 가셔야 자신이 약한것이 눈에 띄게 되는데요..

저같은 경우도 고1,2초반에 언어 잘나와서 언어에 강하다고 생각했는데..고3와서 언어 거의다 망치고 있어요.. 할수 없어서 인터넷 강의도 들어보고 정 안되면 언어 반영 안하는 한양대나 중앙대 정도 바라고 있네요 ㅡㅡ;;

제가 아는거에다 이랬으면 좋겠다는거.. 다 적어드렸는데...

굼궁한거 있으시면 11월 5일 이후로 쪽지 주세요 ^^ 최근에 인터넷 강의 듣느라 컴을 자주 키는데 님 질문 보고 가르쳐 주고 싶어서 이순간 고3인걸 까먹었네요 ^^ 그럼 수고하시고.. 마음 단단히 먹으셔서 꼭 좋은데 가시길 바래요 화이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제소개부터 드리겠습니다..

저는 충남 금산의 한 시골에서 독학으로 님처럼 공부해서 4년제 들어갔걸랑요..

학원및 과외는 꿈도 못꾸고 그냥 학습지와 교과서로만 고등학교 1학년때부터 시작했습니다..

400점 만점 (98학번) 에 339.9 맞았거덩요....

그당시 점수로는 지역대학 약대 갈 정도의 점수였어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영어는 필수입니다..... 님의 목표가 우선 대학입학이라는것에 있지만서도...

요즘의 시대에 영어 못하면 서울대생이라도 택시할수 밖에 없는것이 사회 현실입니다...

차라리 수학을 좀 등한시 하더라도 미래를 위해 영어에 투자하심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어차피 대학가면 공대라도 수학 행렬부터 다시 가르칩니다...

수능을 올리는데에 있어서 수학보다는 영어가 훨씬 쉽습니다...

제경우에는 언어와 사탐... 영어에서 거의 점수를 땃습니다..

일단 과외나 학원을 생각지 않으셨다면... 많은 정보를 득하셔야겠습니다..

전 언어점수를 높이기 위하여 신문 사설을 가끔 봤거덩요.... 선생님이 추천해주시더라구요...

짧게나마 썼는데 도움 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비고1 고등학교 독학 준비 [내공100]

... 학교입니다 인문계구요 야자도 빡시게 시킬것같은데... 동영상강의와 독학으로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아는... 내공 100 이 아니라 제가 가진 모든 내공 드려도 좋으니...

중1 독학질문<내공100>

... 내공100걸고 욕설이나 내공냠냠 신고합니다 ㅋ 안녕하세요^^ 전이제 고1올라갑니다^^ 전 중학교내내 독학했구요... 중간에 정신차리고 공부해서 전교30등안쪽에서...

독학문제집추천(효과보신분만)<내공50>

... 정신차리고 공부할려고 맘먹었습니다 겨울방학때 저혼자서 독학을 할려구요 1.겨울방학때 독학을할껀... 님이 이제 중 1을 지나와봐서 알겠지만 중학교 공부가 그렇게...

재수 독학!!!!!!!내공100

... 6월모평끝나서 정신차리고 진짜 열심히했는데... 알켜주세요^^ 내공100겁니다 저는 학원다니면서 재수했어요. 학원다니면서 하는것도 힘들었는데 독학은 ..ㅠㅠ...

힘드나여??(★☆내공100☆★) 감사내공10

제가 내공100+10 110이나 거는만큼 성의있는 답변을... 마시고요 이제 후배님이 열심히 시작하실때입니다. 벌써부터 겁먹고 독학이다. 뭐다 포기하는듯한 말을 하는거는...

굶기 다이어트 해보신 분 ~ ? (내공 100!)

... 안해요 할 시간도 없고 주변에 운동할 수있는 뭐 그런것도 없고.. 해서 ㅠㅠ 굶기 다이어트 해보신분 ! 제가 한 6... ㅠㅠ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내공 100드립니다 ( 000 약광고...

고1 독학 ㅠ_ㅜ제발도와주세요~(내공有)

... 혼자 독학을 해서 .... 주위에서 열심히 해야한다는... 60%로 들어왔든 0.01%로 들어왔든 똑같은 인문계 고등학교에... 이제 고1 올라가는데 무슨 이런예기를 하냐고...

현재 고1인문계를 다니는 분은...

... 기말에 고1대비해서 성과보는지 궁금하구요.. 이성적에 올해 80%거든요 인문계 인문계가면 반 몇등정도 가능할까요? 그리고 EBS나 개인독학으로는 고등학교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