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세특 치매 관련 연구

대학 세특 치매 관련 연구

작성일 2023.11.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생명과학과, 생화학과, 생명공학과를 지망하는 고등학생인데요, 대학 지원 세특, 동아리 활동, 교과외 활동 용으로 뇌와 관련하여 깊게 탐구하고 보고서를 쓰려고 합니다.
일단 주제는 치매입니다.(그중에서도 특히 알츠하이머). 근데 이 이상으로 어떤 주제를 정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1.치매 치료제를 주제로 정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탐구해야 할까요? 치료제가 치매 진행을 늦추거나 치료하는 원리? 아니면 그 약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 외에 어떤 걸 보면 좋을까요?
2. 치매 발병 원인이 주제라면 발병 원인의 종류, 발병 원리 등 외에도 어떤 부분을 깊게 알아보면 좋을까요?
3. 혹은 그 외의 주제가 더 있을까요?
4. 덤으로 세특을 어떤 식으로 쓰면 좋을지 예시나 지침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빨리 주제를 특정하고 이래저래 찾아봐야 해서 급합니다... 최대한 많은 주제, 그 주제에 관련하여 어떤 분야를 조사하면 좋을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학 탐방 세특 #세특 대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치매 치료제

치매 치료제를 주제로 탐구한다면, 다음과 같은 부분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치매 치료제의 종류

  • 치매 치료제의 작용 원리

  • 치매 치료제의 효과

  • 치매 치료제의 부작용

치매 치료제는 크게 증상 완화제병리 기전 치료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증상 완화제는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는 반면, 병리 기전 치료제는 치매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치매 치료제의 작용 원리는 크게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제, NMDA 수용체 길항제,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제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제는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NMDA 수용체 길항제는 뇌의 신경 세포 간 신호 전달을 조절하여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제는 뇌에 축적되는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을 제거하여 치매의 진행을 늦추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치매 치료제의 효과는 아직까지 완전한 치유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지만, 증상 완화와 진행 억제에 일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매 치료제의 부작용으로는 두통, 현기증, 설사,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치매 발병 원인

치매 발병 원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부모나 조부모에게 치매가 있는 경우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고령, 뇌졸중, 머리 부상, 당뇨병, 고혈압, 흡연, 비만 등이 있습니다.

치매 발병 원인의 종류와 발병 원리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분을 깊게 알아보면 좋습니다.

  • 치매 발병 원인의 조기 진단

  • 치매 발병 원인의 예방

치매 발병 원인의 조기 진단을 통해 치매의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매 발병 원인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개선이나 의학적 치료 등을 통해 치매의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3. 그 외의 주제

치매 치료제와 치매 발병 원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제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 치매의 진단

  • 치매의 예방

  • 치매의 사회적 영향

치매의 진단은 치매의 정확한 단계와 진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과정입니다. 치매의 예방을 위해서는 치매의 발병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개선이나 의학적 치료 등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매는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치매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4. 세특 쓰기

세특을 쓰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제의 적절성

  • 내용의 깊이

  • 독창성

주제는 자신의 관심 분야와 관련된 주제로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제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내용을 작성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른 학생들의 세특과 차별화되는 독창적인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특을 쓰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 주제: 치매 치료제의 종류와 작용 원리

  • 내용: 치매 치료제의 종류와 작용 원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치료제의 효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

치매 연구 관련 (방사선과 재학생) 질문

... 갑자기 치매관련 연구에 관심이 생겼는데 어떻게 찾아봐야할지 잘 몰라서 지식인에... 대부분 연구는 학교에서 이뤄집니다. 미국 기준 대학원 땐 많아봐야 5만불, 원화로...

세특관련 사학과 뭐배우나요? 내공 100...

... 알려주세요 세특에 쓸만한걸로요. 희망대학은 공주... (교수님께서 68혁명 관련 논문이 있어 선택) ※보통... 수업보다 연구발표를 하는 세미나. 사학과에 다니는 이유는...

노화 관련 연구를 하려면 어느 대학...

... 가능한 한 우리나라에서 위와 관련연구가 최고인 대학 , 학과를 가고 싶은데... 암 연구였다가 한 때는 성인병 연구였다가 치매 연구, 그리고 이제 노화 연구로 넘어가는...

바이오인포매틱스 세특

바이오인포매틱스를 주제로 영어 세특 발표를 진행하고... 바이오인포매틱스가 생물학적 연구와 의학에 어떤...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대학 전공 및 코스: 바이오인포매틱스나...

생명과학2 세특주제 추천

생2랑 관련세특주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따라서 이 유전자를 연구하여 새로운 치료제를 만드는...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는 APOE 유전자, APP 유전자 등 잘 알려진...

한국지리 수행 및 세특 책 추천

... 과목 연구라도 하고싶은데 조사가 어렵네요ㅠ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답변> 한국지리와 수의학과 관련 책을 추천해드릴게요. 1. "수의사를 꿈꾸는 청소년을 위한 수의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