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정시지원가능한가요?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정시지원가능한가요?

작성일 2016.10.2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예비고3이구요.. 내신은 3등급초반정도 모의고사는 언수외 각각 223정도나오는데 내신은 힘들거같고 정시로 합격가능한가요? 그리고 실기 점수 기준을 잘 모르는데 알려주세요!!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최종 결과는 나와봐야 아는것 아닐까요?

저는 정확히 장담하지 못해서, 다른분에게 더 구체적인 답변을 맡기고, 이전의 점수안내와, 스포츠과학부와 성균관대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해드리겠습니다.

 

@ 점수등에 상관없이 Royal대인 성균관대나 서강대 가는게 좋다고 추천하면서, 문의하신 점수등 자료도 같이 올려봅니다. 대략적인 수시자료가 있고, 정시자료로 고교연합자료가 있음.  


성대는 수시가 중심입니다. 매일경제 자료 2016 수시점수와 내신, 정시 2016 고교연합자료가 있음. 


배치표는 참 많은데 그렇게 해도 서울대는 한국에 주권이나 학벌이 없으며, 국사 성균관에서 이어진 성균관대가 한국 최고 학벌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더 자세한것은 담임선생님, 진학지도교사, 부모님과 세부상담해야 더 정확해지고, 과에 대한 적성, 취직(학사와 석사, 그리고 박사가 다름), 학문분야로의 진출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최종 결정해야 됩니다.


고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분야가 사설 입시학원이나 입시상담가들이 제공하는 배치표나 예상점수등인데, Royal대학인 성균관대는 정시보다 수시에 더 비중을 두는 입시제도로 전환했습니다. 다른 Royal대학인 서강대도 그렇더군요.


다른 비신분제 대학들은 사설 입시학원등의 배치표로 우세하게 보이는데, 헌법(憲法 前文에 임시정부 반영)이나 법률.대통령령(행정법), 교과서로 가르치는 公교육(국사 성균관 교육. 성균관은 성균관대로 계승됨), 유교가 국교엿던 탓에 가르쳐온 전통의 삼강오륜교육, 세계사(서유럽이 세계를 지배하던 당시 서유럽학자들의 학설이 주로 나옴. 서유럽은 교황을 중심으로 하여 각국 왕들이 지배력을 행사해옴)등을 반영하여야 옳습니다.    



점수가 어떻게 나와도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뒤의 연세대(일본 강점기 연희전문 후신), 고려대(보성전문을 친일파 김성수가 인수하여 고려대로 변경) 이런 카르텔은 주권없고 학벌없는 서울대뒤의 추종세력에 불과합니다.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의 방식을 추종하는 대학들은 일본강점기 잔재들이나, 연세대, 고려대들일것입니다. 



한국은 국사 성균관에서 이어진 성균관대와 교황윤허 서강대가 Royal대학인데, 이 뒤에서 독립투사가 설립한 국민대나, 인하대 및 필요에 의해 선택한 육사등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Royal대인 성대나 서강대는 수시에 큰 비중을 두고 있어서, 이제 정시점수보다는 수시의 학생수준과 내신등이 더 중요하게 보여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수시자료를 보고 비교해 보시라고 자료 올려봅니다.


서울 9개 주요大 작년 논술전형 분석해보니

내신 1등급 탈락 6등급 합격…수시 `논술 역전`


  • 이은아,문일호 기자

2015.07.21 09:26





◆ 2016 대입 수시전략 ① ◆




  


@ 다음은 주요대학의 수시모집 비율입니다.


< 주요대 수시모집 인원 및 비율 >

대학

수시모집 인원()

수시모집

비율(%)

일반전형

특별전형

가톨릭대

534

567

1,101

58.9

건국대(서울)

484

1,290

1,774

53.3

경인교대

 

363

363

55.1

경희대

935

2,464

3,399

60.8

고려대(서울)

1,110

1,951

3,061

73.7

광운대

545

648

1,193

61.4

국민대

751

1,400

2,151

60.1

단국대(죽전)

832

699

1,531

58.0

덕성여대

438

233

671

51.9

동국대(서울)

 

1,780

1,780

57.8

동덕여대

536

160

696

37.9

명지대

614

1,561

2,175

65.6

삼육대

611

294

905

71.3

상명대(서울)

672

113

785

51.5

서강대

405

768

1,173

65.9

서경대

284

428

712

45.3

서울과학기술대

1,163

275

1,438

61.6

서울교대

 

190

190

48.7

서울대

1,688

845

2,533

76.4

서울시립대

403

344

747

39.5

서울여대

856

209

1,065

59.9

성균관대

2,525

369

2,894

76.3

성신여대

674

667

1,341

56.9

세종대

464

1,130

1,594

59.3

숙명여대

1,020

370

1,390

58.2

숭실대

414

1,423

1,837

59.8

아주대

381

735

1,116

54.8

연세대(서울)

683

1,974

2,657

72.8

이화여대

550

1,390

1,940

59.2

인하대

1,787

814

2,601

67.2

중앙대(서울)

1,917

861

2,778

72.3

한국교원대

 

381

381

64.1

한국외대(서울)

476

674

1,150

63.7

한국항공대

289

299

588

61.4

한성대

834

275

1,109

60.4

한양대(서울)

520

1,833

2,353

71.7

홍익대(서울)

1,360

205

1,565

56.4

.출처:http://www.susi119.co.kr/2016/15.asp


@ 배치표는 수 없이 많습니다.


고교 연합자료요약 2016 정시배치표입니다. 서강대나 서울대는 1페이지에 나오지 않고, 계속해서 읽다보면 나군에 나옵니다.

http://www.korteach.net/jinhak/univ_jungsi8_top.php 



@  합격가능한 수준이라면 성대에 지원해 보십시오.    



참고로 전체적인 대학 학벌로는 Royal대인 성균관대(국사 성균관에서 계승된 왕립대학 역사), 서강대(교황 윤허대학)만한 대학이 한국에는 없습니다. 다른대학들은 비신분제의 대학들입니다.


대학의 학벌로는 오랜 인류역사를 담은 한국사(성균관. 그 이전 국자감, 태학), 세계사(한나라 태학.국자감, 국자감이 경사대학당이 되고 북경대가 됨, 이태리 볼로냐 대학, 프랑스 파리대학)의 전통적인 Royal대학들과 유서깊은 대학들이 변하지 않고 교육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술적으로 정통성을 인정받고 교과서(참고서 포함)로 가르쳐지는 대학들이 세계나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대학들입니다. 


@ 다음은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입니다.

 

 

 

운동처방

  • 스포츠과학화를 통한 운동처방 분야의 역량과 기반 함양

스포츠 경영,지도

  • 스포츠 산업과 활동의 과학적 지도를 위한 역량과 기반함양

스포츠의 세계화 · 정보화 · 산업화의 세계적 추세에 부합하는 스포츠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스포츠과학부는 내실 있는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하여 운동처방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지도자 영역을 특성화함으로써 스포츠산업에 종사할 운동처방사, 스포츠경영자 및 마케터, 그리고 스포츠지도자 등 스포츠산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해온 한편 학문적 측면에서도

  • 1969. 12. 이공대학에 체육학과 신설
  • 1972. 10. 신설된 사범대학에 체육교육과로 학과명 개칭
  • 1988. 3.   체육대학으로 개편하여 체육학과, 무용학과로 편재

                   체육학과 박사과정 신설

  • 1997. 11. 스포츠과학대학 스포츠과학과로 명칭 변경
  • 1998. 10. 스포츠과학대학을 스포츠과학부로 변경

본교의 Vision 2010+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핵심요소를 반영하여 특성화 전략에 부응하는 학부중심의 직업 지향적 목표와 대학원중심의 연구 지향적 목표가 상호 연계하여 달성될 수 있도록 국내외 선진유수대학을 벤치마킹하여 교육과정과 운영체계를 새롭게 개편 및 재정비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원으로서 위상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 특성화: 운동처방, 스포츠경영, 스포츠지도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 세계화: 국내 외 우수대학과의 교환학생 및 교환교수 활성화 및 국제적 수준의 연구, 교육 능력 확보
  • 전문화: 학문 분야 특성화 영역별 전임교수의 확보 및 교육과정 개발


이상은 성균관대 스포츠과학과가 제시하는 교육목표입니다.


@ 학생의 성적은 성균관대에서 객관적으로 엄정히 평가하여 그 합격여부를 결정할 것입니다만, 합격여부에 관계없이 담임선생임.부모님.진학지도교사등과 세부상담을 거치고 지원해 보십시오. 


시중의 입시학원등에서 입수한 예상점수나 과거 점수가 있는데, 성균관대나 서강대같은 Royal대들이 수시모집에 비중을 두겠다면, 수능점수 대신에 다른 요소들이 더 높게 반영될 가능성도 많습니다. 해당대학에서 요구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잘 파악해 보시고 응시해 보십시오. 성대나 서강대는 Royal대며 다른 대학들은 비신분제 대학들일 뿐입니다.


본인이 보기에 성균관대(국사에서 가르치는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성을 승계)와 서강대(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물게 교황성하 윤허로 설립이 기획된 대학)같은 Royal대는 세계적.학술적.보편적 인지도를 입증받은 대학들이기 때문에, 시중의 입시학원에서 제시하는 예상점수나 과거 점수가 통용되지 않을 확률도 높습니다. 수능 변별력보다 수시모집형 인재들이 더 좋은 학업성적이나 다방면의 뛰어난 업적을 거둘수 있다고, 주요 대학들이 판단하면 앞으로는 수시모집형의 우수인재들이 성균관대나 서강대같은 Royal대에서 더욱 선호되고, 다른 비신분제 대학들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대학은 Royal대로 가는게 학술적.보편적.세계적인 학벌을 얻는 지름길입니다.


한국 체제나 학벌자격은 교과서 公교육(국사 성균관교육, 다른과목 삼강오륜 교육), 헌법, 법률, 국제법,취직, 입시점수등에 복잡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입시점수나 대중언론의 의견은 정부차원에서 발행하는 국사 교과서의 성균관교육(한국 정부는 성균관이 성균관대로 계승되었다고 정설로 함)을 이길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한문이나 윤리시간의 삼강오륜 교육도 역대 한국민족과 한국정부의 의지나 전통수호에 해당됩니다.


세계사는 서유럽학자들의 이름과 이론이 많은걸로 보아 교황청.서유럽의 학자들이 어느정도 객관적으로 쓴 교과서로 보여지는데, 이는 세계적 학문적 정설이라 이를 기준으로 하면 세계적으로 다 통합니다. 그래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카르텔이 입시학원이나 대중언론에서 구축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카르텔에 대항해 유교와, 국사 성균관의 기득권을 지키는 방법은, 세계의 지배세력이던 서유럽과 교황청의 세계사 교과서를 이용하는것입니다. 교황윤허 서강대와는 공조하는게 대중언론이나 입시학원의 담합에서 성대를 지키는 방법의 하나인것 같습니다.  황하문명, 유교, 한나라 태학.국자감이 세계사에 나오고,  세계사의 교황성하제도(서유럽이나 서양인은 교황중심), 볼로냐.파리대학이 세계사에 나오므로, 교황윤허 서강대와 공조하면 6백년 역사의 성균관대 기득권을 지키는 가장 안전한 협력자를 얻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농후합니다.    


성대는 국사에 나오는 성균관의 정통성을 승계하여, 6백년 역사를 인정받고 있음. 참조바람 



@ 미군정기 이후의 한국정부에서 조치한 내용(대통령령에 의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발간)으로, 정부입장을 알려드립니다.


1. 정부출연 연구기관 자료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에 대한 학술적 서술내용.

1).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학 중앙연구원과,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대한 설명.

가. 한국학 중앙연구원(韓國學 中央硏究院).

한국문화 및 한국학 제분야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는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의 설명자료임.

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韓國民族文化 大百科辭典).

........
발간된 경위를 보면, 1979년 9월 25일 대통령령 제 9628호로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찬사업 추진위원회 규정>을 공포하였고, 동 규정에 근거하여 1980년 3월 18일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편찬사업 담당부서를 두었으며, 1980년 4월 10일 제 1차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찬사업 추진위원회의 개최를 시작으로, 1991년까지 12년의 기간동안 3백여명의 편집진과 3천 8백여명의 집필자가 참여하였다.  
  


2).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


이칭별칭

성균관대, 성대

  • 유형

단체

  • 시대

현대

  • 성격

대학교, 사립종합대학교

  • 설립일시

1398년

  • 설립자

김창숙(金昌淑)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개설

성균관대학교의 연원은 1398년(태조 7)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성균관에서 시작된다. 성균관은 조선 최고의 국립교육기관으로서 국가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원 및 변천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1895년 성균관에 설치된 3년제 경학과()가 성균관대학교의 근대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시작이다. 성균관은 제향 기능을, 경학과는 교육 기능을 담당하여 유학 경전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역사학·지리학·수학 등 근대적인 교과목도 부과되었다.

그 밖에 교육의 목적, 교육과정의 운영, 입·퇴학 절차, 각종 시험 및 학생의 특전, 학기제 답변확정 등 전통적 교육기관에서 근대학교로의 제도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권상실 뒤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으로 개편되어,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주로 문묘()의 제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의 기능만 수행하게 되었다.

1930년 경학원에 로 교명을 회복하였다.

1946년 유림대회()가 개최되어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 설립을 위한 성균관대학기성회가 조직되고 독지가 이석구()가 재단법인 학린사()의 토지를 희사하였다. 이에 김창숙()의 주도로 종전의 명륜전문학교의 재단을 병합한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발족하면서 같은 해 9월 정규 단과대학인 성균관대학이 인가되었다. 문학부와 정경학부를 설치하고, 초대 학장에 김창숙이 취임하였다.

1953년 2월 종합대학인 성균관대학교로 승격되어 문리과대학·법정대학·약학대학의 3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의 편제를 갖추었고, 같은 해 6월 각 도의 향교재단()에서 재산을 기부함에 따라 재단법인을 성균관으로 확대해 개편하였다.

1958년 야간대학을 설치하였으며, 1963년 재단법인을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65년 삼성문화재단이 대학의 운영권을 인수하였다가 1979년 1월 다시 봉명재단()이 학교의 운영을 맡게 되었고, 경기도 수원시 천천동에 자연과학캠퍼스을 신축하였다.

1981년 8월 자연과학캠퍼스에 이과대학·공과대학·농과대학·약학대학 등을 설치하였고, 같은 해 11월 교육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83년 11월 경영행정대학원을 경영대학원과 행정대학원으로 분리하고, 1987년 11월 유학대학원, 1990년 2월 산업과학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7년 3월 의과대학, 9월 의학연구소, 10월 디자인대학원, 12월 경영대학원을 신설하였으며, 1998년 1월 건학 600주년 공식기 게양 및 현판 제막식 행사를 거행하고, 도봉선수촌 신관을 준공하였다. 같은 해 4월 북한 고려성균관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고, 6월 교수업적 평가제를 도입하였으며. 8월 도서관 100만 장서 확보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9월에는 건학 60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으며, 기념행사로 세계총장학술회의, 조선시대 성균관 재현행사, 동양학 학술회의, 연극공연, KBS 열린음악회 등을 개최하고, 『성균관대학교 600년사』를 발간하였다. 1999년 3월 자연과학캠퍼스에 의과대학 건물을 준공하고, 5월 법학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출처: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 University, 成均館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출판사들이 편찬하는 백과사전류에 나타난 성균관대학교에 대한 학술적 서술내용들.

1). 두산백과사전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

成均館大學校


  • 사립

  • 특성

    종합대학

  • 개교일

    1398년

  •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자연과학캠퍼스)

  • 교목

    은행나무

  • 면적(㎡)

    627,025

  • 홈페이지

    www.skku.ac.kr


성균관은 고려 때부터 있었지만 조선 개국 후 1398년(조선 태조 7)에 현 명륜동 캠퍼스에 설립된 국립 최고학부 성균관의 전통을 계승하여,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1895년 칙령으로 3년제 경학과(經學科)를 설치한 것이 그 시초이다. 경학과는 유학 경전을 위주로 교육하되 역사·지리·수학 등 근대적인 교과목을 부과하여 근대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으나, 국권피탈 후 일제의 탄압으로 교육기능을 박탈당하고 경학원(經學院)으로 축소되었다. 1930년 민족의 교육열 고조로 일제는 부득이 명륜학원을 설립하였고, 1939년 명륜전문학교로 승격시켰다. 

8.15광복이 되자 1946년 재단법인(현재는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을 설립하고 정규 단과대학으로 발족하였으며, 초대학장으로 김창숙(金昌淑)이 취임하였다. 교훈은 인·의·예·지이다.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1979년 수원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신축하였다. 1996년 11월에 삼성재단이 성균관대학교 재단을 인수하고 운영해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하 생략.... 



그리고 교육학사전이나, 종교학사전, 학습사전도 성균관대가 성균관에서 이어진 대학이라고 학술적의견을 가지고 있고, 성균관대와 제사기구인 성균관도 그렇게 일치하여 서술하고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서강대는 교황윤허 대학으로 그 Royal대 역사가 인정되고 있습니다.


....

1960년 2월 재단법인 한국예수회에서 서강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4월 개교하였다. 1948년 한국 가톨릭교회의 발의와 교황 비오(Pio) 12세의 윤허로 대학 설립이 기획되었고, 예수회 게페르트(Theodor Geppert) 신부의 주도로 1956년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발족되면서 대학의 설립에 이르게 되었다.

초대 학장에 킬로렌(K. E. Killoren) 신부가 취임하였으며, 영어영문학과·사학과·철학과·수학과·물리학과·경제학과를 두었다. 1963년 독어독문학과·생물학과·경영학과를 신설하였다. 1964년 국어국문학과·화학과를 설치하고 제1회 졸업생 62명을 배출하였으며, 같은 해 4월 「사립학교법」에 따라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학교법인 서강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출처:서강대학교[Sogang University, 西江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학술적.연구적인 측면에서 자료인용을 하였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예비 고3이니까 이번년도 입시가 끝나면 나오는 자료를 모아서 한번 보는게 좋을것 같아요

학교마다, 학과마다 매년 조금씩 변경이 있기때문에 확실하게 답해드리는것은 어렵습니다!

직접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찾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안녕하세요~저는 인천문예실용전문학교 소속 진로직업상담사 최진우라고 합니다.

요즘은 시대는 공부를 위해 대학을 가기보단 진로 즉 취업을 위한 진학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슬프지만 일반 4년제 대학을 가면 특정한 직업이 아닌이상 취업은 하늘에 별따기죠..

청년 실업률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청년 실업률이 올라가고 있으며

2014년 최종 조사치는 55만명에 이른다고합니다..

점점 취업하기가 어려워지는 실정이죠.. 그래서 요즘은 취업을 위한 진학을 많이들 한답니다!

괜한 오지랖으로 들리시겠지만 한번 진지하게 어떤 직업을 선택하는게 좋을까 고민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네요!!

일단 저희학교 홈페이지를 베너에 링크해두겠습니다 한번 구경해보세요!

저도 일을 해야하니.. ㅎㅎ 진지하게 진로에 대한 상담을 원하신다면 상담신청해서

진로상담사 최진우를 찾아주세요! 전화상담이라도 진행해드릴게요!

 이것저것 물어보세요~ 답변해드릴게요~ ^^



입학상담 : http://www.ica.ac.kr/2016/html/index.php

모집요강 : http://www.ica.ac.kr/2016/html/recruit.php

원서접수 : http://www.ica.ac.kr/2016/html/application_agree.php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정시질문이요.

... 학에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부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가능한 수리영역을 더 올려서 안정적인 지원을 권합니다.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 전 질문과...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에 대해 ?

... 이과생도 스포츠과학부지원가능합니다^^ 사실 스포츠과학부라는 자체가 자연계열 즉 이과에 가깝습 니다. 내신이 5등급이라면 성균관대는 수시보다 정시지원해야...

성균관대스포츠과학부

... 언수외가 각각 232 or 231 정도에 사탐 22면 성균관대스포츠과학부지원가능한가요? 답변 ( 내용에는 개인적인 견해가 있으므로 참고하면서 확인하길 바랍니다.) 수능보느라...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정시

정시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지원하고 싶은데 정시로가면 학교 체육활동에 관한 생활기록부를 전혀 참고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광릉한샘기숙학원...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에 대해서...

... 성대 스포츠과학부 지원할수있을까요 2. 수능 끝나구... 열심히하시면 가능합니다. 3. 이번에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수시를 전보다 더 많이뽑아서 정시로 뽑는 인원수가...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고3정시질문

... 영향을 미치는 대 학에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부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가능한 수리영역을 더 올려서 안정적인 지원을 권합니다.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수준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지원하고 싶은 사람입니다....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부는 2011학년도 정시전형이... 경우 가능하면, 실기변별력이 더 올라가니 실기변별력이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