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공대 VS 인하대 공대

성균관대 공대 VS 인하대 공대

작성일 2015.10.11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는 학생이 인하대 공대와 성균관대 공대를 고민하고 있는듯 한데 요즘 위 두 대학 좀 어떤가요?

90년대 후반에 대학입학한 사람인데 그때는 인하대 공대가 성균관대 공대보다 입학점수도 훨씬 높고 좋았고 우수한 학생들이 많이 들어갔던 것 같은데 요즘은 좀 어떤지 모르겠네요?

두 대학 다 인천 수원쪽이라 그 아이 집에서는 그다지 멀지 않아 다니긴 좋을 듯 한데...

삼성이 성대 인수후 투자많이 했다고 하던데 그래도 성대 공대출신 선배들 인하대 공대출신들에 비해 좀 뒤쳐지는 경향이 있어서(입학점수 및 사회적 위상,평가 등) 사회나오면 아무래도 인하대출신들에 비해 불리한 면도 있을 것 같고...

조언 좀 바랍니다...


#성균관대 공대 #성균관대 공대 위치 #성균관대 공대 입결 #성균관대 공대 정시 #성균관대 공대식당 #성균관대 공대 과잠 #성균관대 공대 편입 #성균관대 공대 등록금 #성균관대 공대 수시 #성균관대 공대 수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질문자님 훌리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네요. 요 며칠 갑자기 인하 까대는 훌리들이 과거 배치표 짤라오고 과거명성 어쩌구하면서 타 대학에게 욕먹이는 안티인하 전략을 짜더라구요..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결론 말씀드리면,

두 학교 중 성공 가시고 만약 성공 떨어지면 인하 가세요.



현실적으로 예전과는 다르게 성공 고민하는 학생들이 한대와 저울질 많이 합니다. 그만큼 우수한 학교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죠. 이는 학교 및 학생들의 상당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한편으로는 배울 점이 많다고 봅니다.


다음, 인하대학교는 종합대학교입니다. 그렇기에 각 전공별, 학문별로 노력하고 있죠. 특히 요즘 융복합 측면에서 타 학교들보다 발빠르게 움직여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아래 보시면 해양플랜트 특성화대학 선정시 조선해양공, 에너지자원공, 화학공, 신소재공, 전기공학과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해서 서울대,해양대와 더불어 최종선정되었죠.


현재 입결로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습니다. 성공 가세요. 각종 지표 및 고시 등의 순위에서 문이과 골고루 발전하는 성공으로 가시는 게 맞습니다. 다만, 성공이 떨어진다면 인하 선택도 나쁘지 않다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래 다양한 학교 지표 중 발췌한 a) ~ r)의 예는 인하가 성공보다 높다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비록 성공보다 입결은 낮지만 학교에서 열심히 잘 배우고 노력해서 성과물들이 그렇게 나쁜 편이 아니라는 것을 다른 분들께도 알려드리고 싶다는 것입니다.



+추가

마지막으로 두 학교와 관계없는 타 학교 훌리들에게 전합니다. 학교실력이나 순위는 입결이 아닙니다. 현 시점에서 인하가 성공에 비해 입결 낮습니다. 이것 가지고 이슈화시키려고 하지 마세요. 이럴수록 님들 학교 얼굴에 먹칠하는 꼴이 됩니다.  




a)

(중략)

특성화 연계전공 통해 일하게 될 R&D센터가 수도권으로 이전한다고 하고 초봉 6천부터 시작하네요.

조선해양공학, 에너지공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전기공학 등 공과대학 골고루 굉장하네요.

한편, 여러분들 또 다른 정보 확인하셨나요? 바로 다양한 전공별로 컨소시엄을 이루었다는 겁니다. 즉 공과대학 각 전공별로 골고루 뛰어나야 이런 프로그램을 선정받을 수 있다는 것 잘 기억하세요. 그렇기에 공대 진학시 각 학문별로 고르게 우수한 학교를 가야 시너지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b)

이건 신소재공 취업 현황입니다. 비전화기이지만 취업 질이 나쁘지 않습니다.


 


c) 성대가 취업률 뿐 아니라 진학률도 높습니다. 많이 발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서는 낮지만 인하대도 노력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인문/예술 등이 포함된 퍼센티지이기 때문에 순수공대만 따져도 낮지 않다고 봅니다.


졸업자 3000명 이상 4년제 대학(34개교) 취업률 및

진학률 순위 (교육부, 2014)

순위

학교명

취업률(%)

진학률(%)

1

고려대

69.3

23.9

2

성균관대

66.5

17.3

3

연세대

64.1

23.0

4

서울대

61.0

34.7

5

인하대

60.2

12.8

6

한양대

58.7

15.1

7

가천대

56.7

5.0

8

인천대

56.5

4.7

9

동의대

55.5

3.1

10

조선대

55.4

8.4

11

한국외대

54.2

9.5

11

원광대

54.2

4.8

13

국민대

53.6

9.6

14

동아대

53.5

5.8

15

건국대

53.1

9.3

15

울산대

53.1

5.3

17

부경대

52.3

8.2

18

대구대

52.2

4.7

19

계명대

52.1

5.3

20

부산대

52.0

14.6

21

전남대

51.4

10.0

22

단국대

51.3

9.8

23

영남대

50.8

6.9

24

경희대

50.6

10.8

25

경북대

49.7

10.5

26

충남대

48.5

14.0

27

중앙대

48.3

9.7

28

강원대

48.2

8.6

29

청주대

47.8

3.8

30

충북대

47.7

11.3

31

이화여대

47.5

22.5

32

공주대

47.2

6.8

33

전북대

47.1

11.5

34

명지대

46.6

8.1



d)

이 중 국민대는 합격자 80%이상이 자동차공, 홍대는 합격자 중 50%이상이 산업디자인이라 공대 전반을 논하기는 뭐 하지만 인하대의 경우 각 전공들이 골고루 합격하였습니다. 입결이 인하가 낮지만 학생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만든 결과물이라 보여집니다.



 


e)


(2015-09-14)

현대건설 채용, 합격자 출신 학교 인하대가 가장 많아신입연봉은 5000만원

 

현대건설 신입사원 채용이 2015 9월 오늘(14)로 마감된다.

 

현대건설 채용은 서류전형, HMAT, 면접전형, 신체검사 순으로 이뤄진다.

 

응시자격은 2016 1월 입사 가능자로 회사측은 관련 업무 전공자와 기사 자격증 소유자, 영어성적을 보유한 자 등을 우대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직무는 석사 학위 이상 소지한 자만이 지원할 수 있다.

 

면접은 11월초, 신체검사는 12월초로 예정됐다. 이번 신입사원 채용 모집전공분야는 토목공학, 건축공학, 화학공학, 원자력공학, 전기·전자공학, 환경공학, 안전공학, 인문·상경·법학·어문·사회 전계열 등이다.

 

현대건설 연봉은 2014 대졸초임 기준 5000만원이다.

 

현대건설 채용에 합격한 합격자의 스펙을 살펴본 결과 기계공학과가 가장 많았고 건축공학, 전기공학 경영경제 순이었다. 학교별로는 1인하대학교, 2위 중앙대학교, 3위 아주대학교, 4위 성균관대학교 순이었다. 또한 자격증은 평균 1.1, 연수 경험은 0.6, 봉사활동은 0.5회 등이었다




f)

한양/인하/아주/중대 이상급을 원하는 공고입니다. 이 정도 학교들이면 밥 먹고 사는 데 지장 없을 것 같습니다. 



 



g) 역시 비메이저 전공이지만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회인프라공학과, 2015 한국도로공사 신입사원 공개채용 
토목직군 53명 중 총 12명 합격
3년 연속 최다 합격자 배출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가 지난 3 24일에 발표된 ‘2015년 한국도로공사 신입사원 선발에서 토목직군 53명 중 총 12명의 합격자를 배출해 토목직군 중 최다 합격자를 배출했다.

 2015년 한국도로공사 신입사원 공개채용은 지난 2월에 모집을 시작해 3 24일 최종 합격자를 발표했으며, 사회인프라공학과는 2013 6, 2014 7명 합격에 이어 2015 12명을 합격시키며 한국도로공사 토목직군 3년 연속 최다 합격자를 배출했다.

 

 사회인프라공학과는 학과 교수 지도하에 공사 준비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수자원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에 매년 꾸준히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h)

서울은 아니지만 서울 최인접으로 인천권 공무원 합격률 높습니다. 오히려 지역적인 메리트를 받구요.

 

인하대학교가 지난 2015 8일 인사혁신처에서 발표한 지역인재 7급 공무원 견습직원 선발시험 최종 합격자 중 4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올해 지역인재 7급 공무원 견습직원 모집인원은 총 105(행정분야 60, 기술분야 45)으로, 전국 129개 대학에서 총장 추천을 받은 629명이 응시해 6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지역균형 선발원칙에 따라 16개 시·도에서 고르게 합격자가 배출됐으며, 합격자는 인천·광주·대전·강원·전남·경북 각 6, 서울·부산·경기 각 10, 대구 9, 충남·전북 각 8, 경남 7, 충북 4, 울산 2, 세종 1명 등이다.

  

 본교는 행정분야 5, 기술분야 3명 총 8명의 학생을 추천하였으며, 인천지역 6명의 합격자 중 총 4명의 합격생을 배출했다. 합격자는 행정 분야 주경근(법학·08) 씨와 기술분야 변태섭(사회인프라공학·08), 이혜미(건축공학·09), 장남진(화학공학·09) 씨이다.

 

 이번 합격자들은 내년 3월부터 1년 간 중앙행정기관에 배치 돼 견습 근무를 거친 후, 근무성적 및 업무추진능력 등에 대한 임용심사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일반직 7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지역인재 7급 공무원 견습직원 선발제도는 공직 채용경로의 다양화를 통한 공직의 개방성 및 다양성 확대에 기여하고 공직 내 지역대표성 강화를 목적으로 2005년 도입되었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았으며, 본교는 2005년 제 1회부터 현재까지 총 28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i)

성균관대 임원진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습니다. 문이과 골고루 발전한 학교가 그래서 선호되는 겁니다.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등기임원들의 출신 대학 비교(조선일보, 4 2일자)>

* 대학(인원)

구분

1

2

3

4

5

6

7

8

총계

삼성전자

서울대(115)

카이스트(98)

연세대(75)

성균관대(65)
한양대(65)

고려대(58)
경북대(58)

서강대(41)

인하대(23)

아주대(22) 
광운대(22)

747

현대차

부산대(33)

고려대(22)

서울대(16)
연세대(16)

인하대(15)

중앙대(11)

한양대(10)

성균관대(9)

아주대(6)
영남대(6) 
숭실대(6)

169

SK하이닉스

카이스트(20)

고려대(15)

연세대(14)

서울대(12)

성균관대(7) 
광운대(7)

경북대(5)

인하대(4)
한양대(4)

서강대(3) 
포항공대(3)

99

현대모비스

서울대(10)

연세대(8)

고려대(7)

한양대(6)
경북대(6)
부산대(6)

성균관대(5)

인하대(4)
중앙대(4)
영남대(4)

광운대(2)

 

66

기아차

성균관대(15)
한양대(15)

카이스트(12)

인하대(8) 
연세대(8)

서울대(7)
한국외대(7)

경북대(6)

부산대(5)

영남대(4)

아주대(2)

102

포스코

포항공대(27)

서울대(13)

부산대(10)

고려대(8)

카이스트(7)

연세대(6)
한양대(6)

영남대(5)

인하대(2)
아주대(2) 
한국외대(2)

96

서울대(6) 
연세대(6)

고려대(4)

카이스트(2)

인하대(1)
성균관대(1)
숭실대(1)

   

21

삼성생명

서울대(9)

고려대(4) 
성균관대(4)

연세대(3)
카이스트(3)
부산대(3)

인하대(1) 
한양대(1) 
경북대(1) 
중앙대(1) 
한국외대(1)

 

  

32

 

 인하대학교는 시가 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 중 7번째에 올랐으며 총 23명의 임원을 배출했다. 그밖에도 현대차에 15명의 임원 배출로 4번째로 많은 임원을 배출했으며,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기아차, 포스코, , 삼성생명 등에도 임원을 대거 배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j)


각종 지표에서도 성균관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구요.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15- Engineering Mechanical, Aeronautical and Manufacturing 굳이 따지면 기계공, 우주항공, 산업공 정도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카이스트(26), 서울(30), 포항/성균관/연세(51~100), 한양(101~150), 부산(151~200), 인하/경북/서강(201~300)

 

-------------------------------------------------------------------

영국의 타임즈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 ‘2015-16 THE 세계대학순위(2015-16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종합평가

 

서울(85), 포스텍(116), 카이스트(148), 성균관(153), 고려(251~300), GIST/연세대(301~350), 한양(351~400), 이화/경희/울산(401~500), 중앙/부산(501~600), 서강/시립/인하/아주/경북/건국/영남/전남/전북/충남/세종(601~800)

 

QS에서 2010년 분리/신설된 THE평가입니다. 200위권 밖은 그룹으로 묶어 발표하며 세부 순위에 대한 발표는 없습니다




k)


성균/인하 모두 반도체 관련에서도 높은 평가 받고 있습니다.

==========================================================================================

인하대학교, ‘차세대 반도체 초절전 집적 공정 플랫폼 연구개발 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5-10-02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최리노 교수(주관책임자)가 이끄는 차세대 초절전 집적 공정 플랫폼 개발 과제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15년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선행공정플랫폼기술연구개발 사업의 신규과제로 최종 선정됐다.

 

본 과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총액 55억원을 지원받아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사업이다.

 

사업팀은 인하대학교,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나노종합기술원 등 반도체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하대학교가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본교 연구진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결과이다.

 

이번 과제는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기술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Monolithic 3D 구조의 설계, 공정, 집적 등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국내 및 해외 반도체 소자 기업에 이전하여 상용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l)


=========================================================================================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해양 바이오디젤 혼합유 차량 국내최초 주행시험 성공

2015-05-28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이철균 교수팀은 5 28일 해양의 미세조류(식물 플랑크톤)에서 추출한 바이오디젤 혼합유(2.5%)를 차량에 주입해 서울-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차량 주행시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

 

서울 여의도 다목적운동장에서 출발해 부산 톨게이트까지 운행하는 이번 차량 주행시험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최순자 총장 등 관련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특히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과 최순자 총장이 주행 시험용 디젤 차량에 바이오디젤 혼합유 주입 후 직접 차량을 시범 운전하면서 국내 최초의 주행시험을 축하했다.

 

이철균 교수는 2009년부터 해양수산부의 해양미세조류 이용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개발 연구책임자로 총 490억원을 지원받아 미세조류 원료의 차량용 바이오디젤 대량생산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본 사업은 2010 11월에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한국석유관리원 품질 인증(국내 최초)을 받고, 지난해 12월에는 인천 영흥도 미세조류 해양배양장을 0.25ha까지 확대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연료는 화석연료 고갈, 지구 온난화 등 우리가 당면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세대 곡류 에너지, 2세대 목질류 에너지 등 육상 유래 바이오 연료가 곡물가격 상승, 높은 토지비용 등 문제로 한계에 봉착한 이후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연료가 3세대 바이오 에너지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책임자인 생명공학과 이철균 교수는 해양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개발 연구는 2009년 시작해 그동안 기술개발과 실증생산 배양장에서 경제성을 확인했다면서 오늘 주행을 통해 해양 바이오디젤 주유 차량의 연비와 안전성 등 주요 사항을 점검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주행은 국내 개발 중인 미세조류 바이오에너지 중 최초의 차량 주행 시험이라면서 앞으로 2019년까지 해양바이오디젤 대량생산공정 및 해양바이오에너지 원천 기술 확보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순자 총장은 해양수산부의 15대 핵심 성과과제 중 하나인 해양바이오디젤 사업을 인하대에서 수행하고 있는 만큼 해양 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개발 사업에 거는 기대가 크다면서 인천 영흥도 해양배양장의 환경 개선과 지원을 당부드리며 해양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개발연구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석유의 대체 에너지로 바이오디젤 사업은 블루 오션 분야라면서 인하대 이철균 교수팀이 연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m)


잘 가르치는 대학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중입니다.

===========================================================================================

 

인하대학교, 전국 4년제 대학 중 유일하게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로 선정

 

2015-05-21

 

인하대학교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센터장·신수봉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에 최종 선정됐다.

 

본 사업은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4년제 대학 중 62개의 공학교육혁신센터와 6개의 공학교육혁신거점센터, 1개의 공학교육정보센터, 1개의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 2년제 대학 중 9개 공학기술교육혁신센터와 1개 공학기술교육혁신거점센터를 선정·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는 전국 4년제 대학 중 1개 대학만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본교는 2015년부터 3년간 매년 2억원 규모의 지원금을 받게 될 예정이다. 본교는 산학간의 창의·융합적 환경 구축을 통해 공학교육의 혁신을 이루자는 슬로건 아래 공학교육의 체계적 수요 반영, 맞춤·현장실무형 융합적 공학 인재양성 기반 조성, 참여와 소통을 통한 우수성과 사례 보급 확산과 적용을 통해 79개 센터와 대한민국 공학교육을 선도할 계획이다.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는 국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창의·융합형 글로벌 공학인재 양성 체계 구축을 목표로 신기술·신산업 공학교육 분야의 발굴, 공학교육 거점·혁신센터 참여 기반의 공학교육 연구, 공학교육 소통을 통한 협력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n)

국제적인 감각을 키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

 

인하대학교 PACE, 국제 PACE포럼 종합 2(디자인/ 마켓 리서치 / 매뉴팩처링 부문 각 2, 엔지니어링 부문 3위 등 총 5개 부문 중 4개 부문 수상

 

2014-09-11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철희 교수와 PACE(PACE센터장·김주형 기계공학과 교수) 김재용(기계공학과 · 4), 이홍석(기계공학과 · 4), 이혜림(기계공학과 · 3), 신나라(조선해양공학과 · 3), 이주학(기계공학과 · 2) 학생이 국제 PACE(Partners for the Advancement of Collaborative Engineering Education)포럼에 출전하여 종합 2위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제너럴모터스(GM) 주관으로 지난 7 27일부터 31일까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본 포럼에서 본교 PACE팀은 디자인(Design), 마켓 리서치(Market Research) 그리고 매뉴팩처링(Manufacturing) 부문에서 각각 2위를 차지하고, 엔지니어링(Engineering) 부문에서는 3위를 차지하는 등 총 5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 포럼에서는 작년 포럼에서 설계 · 디자인했던 휴대 가능한 운송수단(Portable Assisted Mobility Device : PAMD)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실제 제작 및 도로주행 테스트까지 실시되었다. 국제적인 팀워크를 도모하고자 각 팀 마다 세계 각국의 학생들이 소속되어 진행되었으며, 인하대학교 팀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STIGO(전동기 킥보드 형태의 PAMD)’라는 획기적인 제품 선보였다.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Adams Program)을 통해 PAMD의 진동특성을 파악해 사용자에게 맞는 서스펜션의 최적 조건을 찾는 엔지니어링 분야와 앞 프레임 제작을 담당하였다. 또한 같은 팀의 미국 터스키기대(Tuskegee University), 노스웨스턴대(Northwestern University) 등 학생들과 함께 제작을 분담하고 의견을 교류하여 더 나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각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PACE GM이 휴렛-팩커드, 오라클, 지멘스 등 세계 유수의 글로벌 IT기업들과 손잡고 설립한 국제 산학협력 지원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우수 대학들이 모여 3~4개 학교간 팀을 구성해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해마다 30여개의 대학이 참가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2010년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에 PACE센터가 설립되었고, 미화 3 4054만 달러 상당의 자동차 엔지니어링 관련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지원받았다. 또한 인하대학교와 GM은 자동차 설계 및 개발 등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실용적 산학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글로벌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o)

인하대가 좀 더 노력해야겠습니다.

 
 

p)


======================================================================================

"국가R&D도 학벌우선 특정대학 편중 심각"

 

김제남 의원, 서울대 등 상위 10개 대학 산업부 R&D 지원금 51.3% 가져가

 

2015.10.05.

 

산업부의 국가R&D 대학지원 과제 중 SKY, 카이스트 등 상위 10개 대학이 인건비의 절반 이상을 가져간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제남 정의당 의원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2~2014년 대학지원 인건비 현황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 한양대,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포항공대, 인하대 등 10개 대학이 최근 3년간 대학지원 R&D 연구과제 4709건 중 43.7% 2056건을 수행했으며, 전체 인건비 1454억원 중 51.3% 746억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2014년까지 연도별 상위 20개 대학 인건비 지원현황을 보면, 29개 대학이 지역별로 서울 15, 부산 울산 경남 4, 대구 경북 3, 경기 인천 2, 대전 충남 2, 전남, 전북, 강원이 각각 1개 대학으로 나타났고 서울지역 대학이 1772건의 과제를 수행하며 전체 인건비의 42.9% 624억원을 지원받았다.

 

김제남 의원은 "SKY, 카이스트 등 상위 10개 대학이 전체 대학지원 R&D 인건비의 절반이상을 지원받은 것은 특정대학에 대한 연구과제 쏠림현상으로, 대학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국가 R&D 연구과제인 만큼 대학과 지역 안배를 고려하여 예산배분이 적정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q)

IT 관련해서도 삼성이 재단인 성균관대이기 때문에 성균관대의 삼성관련 산학협력 등은 더 이상 말이 필요없죠.


===================================================================================

(중략)

인하대학교 IT공과대학 내

2015 현재 삼성전자 STP, LG전자 맞춤형교육과정, LG디스플레이 LGENIUS, SK하이닉스 MODULE, 삼성전자 SCSC, 삼성전자SST IT공과대학 산학협력과정 중 눈에 띄는 과정 올립니다.

===================================================================================

  

인하대학교, 2015 창의적 종합설계 거점 경진대회 금상 수상, 인하 공학도 통합적 설계 능력과 우수성 입증

 

2015-10-08

 

지난 10 5일 개최된 2015 창의적 종합설계 거점 경진대회에서 본교 인하공방팀이 금상을 수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주최하고 성균관대에서 개최된 이번 대회는 창의력 및 시스템 통합설계능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창의적 공학교육을 확산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들이 직접 기획, 설계, 제작한 종합설계 작품을 전시와 더불어 학생들의 발표와 질의 응답 및 시연을 통해 우수 작품이 선정되었으며, 심사 결과 최영림(전자공학과3) 학생 등 총 12명의 인하공방팀이 금상(작품명: Automated Pallet Changer가 부착된 3D Printer)을 수상했다.

 

본 수상작은 오는 10 21일에 있을 2015 창의적 종합설계 전국 경진대회의 본상 후보작으로 추천되었으며, 11 19일에서 20일 양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되는 2015 전국 공학교육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된다.

 

이번 종합설계 거점 경진대회와 함께 진행된 2015 학생포트폴리오 거점 경진대회에는 14개 대학의 36개 작품이 출품되었으며, 인하대학교에서는 총 4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현장심사 결과 강혜윤(정보통신공학과4), 김예슬(건축공학과4), 이주호(정보통신공학과4) 학생이 상위 성적을 받아 2015 전국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인하대학교는 지난해 2014 창의적 종합설계 거점 경진대회 4개 팀이 참가하여 1개 팀이 은상(인하무인), 2014 학생포트폴리오 전국 경진대회에서는 은상(신예린, 컴퓨터정보공학과4)을 수상한 바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 대회에서도 상위의 작품으로 선정됨에 따라 인하 공학도들의 통합적 설계 능력과 체계적인 성과 관리 능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오는 10 21일에 개최되는 전국 경진대회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하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 이정훈씨, 세계 최대 버그바운티 대회 참가 상금 25천만원 수령

 

2015-03-23

HP 제로데이이니셔티브(ZDI)가 주최하고, 구글 프로젝트 제로가 후원한 세계 최대 버그바운티 대회 중 하나인 폰투오운(Pwn2Own) 20이5에서 컴퓨터정보공학과 이정훈(1학년) 학생이 참가해 225천달러( 25천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버그바운티는 취약점포상제로 그동안 보안패치가 이뤄지지 않은 제로데이 취약점을 발견해 제보한 연구원들에게 대가로 상금을 지급하는 성격의 방식을 의미한다.

 

지난 18~19(현지시간) 이틀 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대회에서이정훈군은 구글 크롬, 인터넷익스플로러, 애플 사파리에서 발견한 제로데이 취약점을 공개하면서 이러한 성과를 냈다.


--------------------------------------------------------------------------------


IT분야에서도 꽤 유명합니다. 인하대는 공과대학과 IT공과대학으로 구분해서 운영중이지요.

 

인하대학교가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지정하는 대학 IT연구센터(ITRC) 육성사업에 2014 6 2일 최종 선정됐다.

 ‘지능형 스펙트럼 엔지니어링 연구센터가 이번 대학 IT연구센터에 선정됨에 따라 본교는 2014 6월부터 2017 12월까지(2년 연장 가능) 4년간 총 48.1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어, 스펙트럼 및 전파 분야의 산··연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창의적 전파활용을 통한 창조경제를 위한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정보통신기술)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는 본교가 주관기관으로 총 16명의 교수(인하대 11, 연세대 3, 한양대 1, 고려대 1) ()에이스안테나 등 8개의 기업체가 참여하여 개방형 스펙트럼공학, 주파수효율 고도화, 생활친화형 전파응용, 근거리인식 레이더개발 및 스몰셀 기술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한다.

 본 스펙트럼 엔지니어링 연구센터의 센터장인 김재명(IT공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는 무한상상실 등 창의적인 연구환경 조성, 산업체와의 제품화 공동연구, 산업체 관점의 성과관리 시스템 도입, 배출인력의 산업체 고용연계, 전파관련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및 국제적 연구 역량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특히 연구수행 및 관리에 본 사업에 적합한 work method 방법을 적용하여 본 센터를 시스템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본 센터를 수요기업 중심의 연구개발과 기술지원을 통해 중소벤처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체 친화적 미래 전파통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새로운 산학연 공동연구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r)


===============================================================================

선정되는 특성화사업이 많은 편입니다.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학과장·권상기)가 산업통상자원부 시행 자원개발 특성화대학사업에 선정되어 지난 2014 11 5일 서울 SC컨벤션강남센터에서 협약식을 가졌다.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는 1단계에 이어 2단계 연속 사업에 선정된 서울대, 한양대 등과 함께 주관대학으로 자원개발 분야의 국내 전문 인력 양성을 주도하게 됐다.

 이번 2단계 사업은 종전의 개별 대학 및 학부 중심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연구능력 확충 중심 프로그램으로 개편되며, 5개의 연구 과제(석유·가스 : 물리탐사 생산증진 비전통자원개발, 광물 : 선광·제련 탐사·개발)를 중심으로 대학 간 연합체(이하 컨소시엄)를 구성한다. 각각의 컨소시엄은 관련 공기업과 함께 산·학 협력 연구단을 구성하고, ·박사과정 학생이 참여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능력이 강화된 전문인력 양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본교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서울대·동아대·한국해양대·고려대가 참여하는 비전통자원개발 연구과제(총괄책임자·신현돈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를 주관하며, 강원대가 주관하는 광물자원 탐사·개발 연구과제에 서울대·부경대·고려대와 함께 참여하여 총 5개의 연구과제 중 2개의 연구과제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서울대·한양대 등과 함께 협력그룹을 구성하여 대학 융합 프로그램, 글로벌 현장 전문가 초청 강의, 현장 전문가 진로상담·멘토링, 국내 현장 실습 등 다양한 산·학 협력 프로그램과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해외진출 프로그램 등을 기획·운영할 예정이다.

 

 2010년 공과대학 내 신설된 에너지자원공학과는 2009년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 특성화대학사업에 선정되어 지난 5년간 약 30억 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아 자원개발 관련 대학교육 정상화와 해외자원개발 활성화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체계적인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입결 삼성추천제등등 누가봐도 성대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같은 과라면 무조건 성대죠..

그 쪽 말대로 삼성이 인수해서 빵빵하게 밀어줍니다.

선배들이야 아직까지 인하대가 더 알아주겠지만, 요즘 사회에선 누구에게 물어봐도 성대라 답할겁니다.

무엇보다 자기하기 나름이죠~ 어느대학 가서도

저라면 성대가겠네요 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작년대학입시로 보자면


성대가 압승이고요

뭐 삼성후원이다보니 메리트도 좋고

인하대와는 솔직히 비교하기 힘듭니다


성대가 압도적으로 우수한편이죠



성대는 한양공대 바로다음순위고


인하대는 중앙대 시립대 아래입니다

차이가좀나는편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공대순위 >

 

서울대 카이스트 연세대 

포스텍 한양대 고려대

서강대 건국대 성균관대

 

인하대 경북대 부산대

경희대 중앙대 아주대

서울시립대 서울과기대

 

 

   

아주대공대vs인하대공대vs성균관대공...

... 아주대도 물론 좋지만요 2.성균관대랑 비교했을때 아주대 공대 어떤가요? 또 인하대 공대는요? 어느 학교가 밀린다느니 하는 것은 특정 학교를 비방하기 위한 인터넷...

인하대 vs 성균관대 (공대)

... 그래서 공대를 생각하고있는데 성균관대인하대를 생각중입니다. 인풋으로 본다면 성균관대가 높겠으나.. 아웃풋면에서는 인하대성균관대에게 밀리지 않는다 하네요.....

성균관대 공대vs인하대 공대

성대 공대(반도체 제외)랑 인하대 공대중에 뭐가 더 쎈가요??(자연과학부 제외) 그리고 둘 다 수능 몇등급 정도면 갈수 있을지?? 당연히 성대공대죠. 보통 아웃풋을 기준하면...

공대VS경북대 공대VS인하대 공대

... 성균관대, 아주대, 경북대, 인하대 중에 한곳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 일단 제가 아는것을 말씀드릴께요~ 성균관대공대는 요즘 삼성에서 밀어준다고해서...

편입할건대(공대)인하대VS성균관대VS서...

... 공대쪽은 인하대성균관대 공대보다 삼성더 많이 간다던대... 아 미티겠어요 ㅠ.ㅠ 현재 컴퓨터정보공학부 재학중이구요.... 공대의 평가는 그학교가 얼마나 많은 돈을...

시립대 공대 vs 인하대 공대

언어 123 93% 수리 124 87% 외궈 124 85% 물1 62 87% 생1 54 59% 물2 52 53% 가군 성균관대 공학계열... 정통과 신소재 사이의 4차원벽이;;) 결론은 시립대 공대 vs 인하대 공대 인데요....

인하대 정보통신vs성균관대 공대(내공...

이번 대입에서 인하대 정통과 성대공대 두군데 합격한 학생입니다(ㅡ.ㅡ)(_ _) 인하대와 성대의 공대간의 우열을 가리기가 참 어려운것 같아요; 그래도 답변들 좀 많이 해주시길.....

인하대공대vs성균관경영

인하대공대vs한양대경영 붙으시면 어디가 낫나요? 취업이 목적이라면 한양대여도 공대가는게 맞을까요?? 취업은 인하대 공대

성균관대공대vs인하대공대어디가낫나요?

6월모의 언 수 외 화1 생1 지1 생2 2 4 2 1 2 1 3 7월모의 언 수 외 화1 생1 지1 생2 2 4 2 3 3 1 1 이렇게떳는데 정시로 성대공대, 인하공대는지원가능할까요? 가능한건 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