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vs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vs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작성일 2014.02.01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2014학년도 수능보고 대학 등록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고3입니다,,

제가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를 합격했습니다. 두 학교 모두 너무 맘에들고 과도 둘다 마음에 들어서 등록 결정이 쉽지가 않네요;; 거리를 생각해보기도 했지만, 두 학교 모두 기숙사 생활을 하게될 것이여서 의미가 없는것 같구요,,

 친척분들하고 얘기해보니까 조선쪽은 성숙기라 포화상태라고들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보니 인하대는 조선쪽보다는 전망이 밝은 해양플랜트 공부를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해서요,,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도 보니까 원자력공학과가 전국에 5개(?)밖에 없는 메리트 있는 학과이고 원자력공학과를 가진 대학교중에 경희대학교가 좋은 평판을 받고 있는것 같더라구요,,

 두 학과 모두 마음에들어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자료로 장단점을 알고 싶어요, 깊이 있게 알고 선택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육과정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학과장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평생 후회하지 말고 무조건 인하대 공대 가세요.

두 학교가 비교가능한 학교가 아닙니다.

 

인하대 공대면 한양대 공대(서울)에 가장 근접한 학교고 사회나 대기업에서 명문공대 소리 듣는 학교입니다.

 

경희대 수원(용인) 캠퍼스는 굳이 말할 필요도 없을것 같습니다.

 

비교꺼리가 아닌 학굡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를 추천드립니다.

 

 

간판을 떠나서 학과를 분석해보자면,

 

조선해양공학과는 질문자님도 들었다시피 전망이 밝은 분야는 아닙니다.

 

학교 측에서도 커리큘럼 노선을 수정해나간다는 것은 학내에서도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원자력공학과는 국내 5개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원자력공학과를 운영하려면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원자로를 보유한 학교가 국내 5개밖에 존재하지 않거든요. (서울, 한양, 경희, 조선, 포스텍)

 

 

게다가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는 경희대 내에서도 지원이 가장 빵빵한 곳 중 하나입니다.


취업률도 전국 원자력 공학과를 통틀어서 1위이구요 (건강보험연계 DB 상으로 취업률 92%)

사회 나가서도 원자력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고있는 분들을 보면 거의 서울,한양,경희대 출신일 정도로
 
세 개의 TOP3 학교가 카르텔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근 에너지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원자력공학과 또한 선호도가 높아지고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두 학교간의 공대 수준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경희대와 인하대 하면 당연히 경희대가 월등히 우세한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공대이기 때문에 이런 비교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경희공대와 인하공대 둘 간의 비교를 해보자면,

 

경희공대가 2000년도 초반까지만 해도 중앙대 공대보다 입시성적이 앞서는 등, 경희공대가 입시성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저력이 있었지만, 2003년말에 KBS에서 성균관대와는 다르게 경희대 수원캠퍼스가 법적으로 분교라는 사실을 대서특필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경희대 수원캠퍼스에 위치한 경희공대에 대한 선호도가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었고, 이후 당분간 경희대 공대의 입시성적은 주춤하게 됩니다.

 

이에 반해 인하공대는 인서울 열풍에 따른 인기 저하는 약간 있었지만, 그래도 큰 악재는 없어서 무난한 입시결과를 이어가게 됩니다.

 

이후, 경희대는 2006년에 수원캠퍼스의 명칭을 국제캠퍼스로 고치고, 2007년에 서울과 국제캠퍼스의

대교협 코드를 통일시킵니다. (본교는 1, 분교는 2였던 코드명을 본교 코드번호인 1로 통일)

 

그리고 수 많은 노력 끝에 2011년 말, 경희대 서울-국제캠퍼스 간 법적 본교 통합 승인이 떨어지고,

2012년 3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경희대 서울-국제캠퍼스간 법적 본교 통합이 완료되면서,

그간 있던 오명을 말끔히 씻고 다시금 재도약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입시결과가 이전만큼 많이 회복되고, 계속 성장하여

2014년(올해) 입시에서는 서울-국제캠퍼스간 수시 최저등급까지 통합하여, 실질적으로 양 캠퍼스가 완전한 하나의 본교가 되었음을 확인시겼습니다.

 

(경희대 서울-국제 통합 관련 글 : http://blog.naver.com/ipsi_advice/40188037738)

 

 

 

 

현재 두 학교를 살펴보면

 

아까 말했듯이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당연히 경희대가 훨씬 앞서지만,

 

공대는 학과별로 다르다고 봅니다.

 

기계공 쪽은 아무래도 인하공대가 강세이며, 화공쪽 등은 경희공대가 강세이죠.

 

 

 

 

최근에는 경희대가 각종 공학/기술 분야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점하고 있고,

 

학과를 보더라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는 전자/화공/기계보다도 취업률이 높은 92%를 기록하고 있고

 

원자력공학과 자체가 국내 5개밖에 없는 희소성 있는 학과라 상당히 메리트가 있습니다.

 

인하대 공대가 아웃풋이 좋다지만 단순 두 학과로 살펴보면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아웃풋이 더 낫습니다.

 

따라서, 현재 추세로 따르자면,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매년 변동하는 입시성적을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므로

 

양 학교의 공대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처음으로, 2013년에 발표된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아시아와 국내 순위입니다.
 

 
 
경희는 국내 7위, 인하는 국내 16위를 기록했네요,
 
아무래도 QS 평가 자체가 이공계열 쪽 연구에 많은 비중을 두는 평가이다보니
 
위 순위를 보면, 이공계열에서의 각 대학 역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동 평가의 졸업생 평판도 순위입니다. 참고해보시구요.
 
 

 
 
 
 
 
 
 
다음은 2013년 QS 세계대학평가 학문 분야별 순위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자/전기학에 경희대가 국내 8위를 기록하고 있네요.)
 

 


추가로 올해 5월 30일 발표된 조선일보 대학평가 지표를 보시게 되면,
 
 

 
질문자님이 원하시는 분야인 공학/기술 분야 순위를 보시면 각 대학의 역량이 어떤지 대충 지레짐작
 
할 수 있겠습니다. (인하는 아쉽게도 국내 10위권 밖이라 게재되어있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 최고봉인 현대자동차에서 보는 공과대학 서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위 그림은

2012년 현대자동차 연구장학생 리크루팅 가는 대학 목록입니다.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인하대
유니스트
지스트
+(국민대 자동차학과)

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13년에 발표된 SIR월드리포트 정부 연구기관 세계 순위 지표입니다.
 

 
국내 이공계 연구에 한 획을 긋고있는 대학들을 나열한 지표입니다.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며칠 전에 발표된 BK21(두뇌한국 21) 사업 선정 결과 지표를 소개하겠습니다.
 
선정이 많이 될 수록 해당 분야 사업이 출중하다고 판단되어 정부에서 그만한 액수의 돈을
 
지원해주는 겁니다. 즉, 그 학교의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지표죠.
 
 

 
 
 
 
보시다시피 경희와 인하 모두 어느정도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 학교입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경희가 인문보다 오히려 과학기술과 과학기술 융복합 학문(공학) 분야에서
 
선정된 사업이 많다는 것이죠.
 
이는 학교 차원에서 이공계 역량 강화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했고, 결과를 인정받았음을 뜻합니다.
 
-------------------------------------------------------------------------------------
 
위 자료를 종합해보면, 현재는 이공계 역량도 경희공대가 인하공대를 능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을것입니다.
 
2010년까지만 해도 이공계에서는 인하공대가 경희공대보다 이런 대학 평가 지표에서 우위를 점하였지만,
 
 
경희대가 서울-국제 통합을 기점으로 고황재단의 막강한 이공계 역량 강화 사업 투자에 힘입어
 
경희대 이공계열의 외형뿐 아니라 내실 측면에서도 급성장을 이룰 수 있었네요.
 
 
 
 
이공계 역량 강화 투자가 막강하려면, 학교 재단의 규모가 당연히 중요시되는데요,

 
재단이 튼튼해야 공학에 대한 지원이 빵빵할 수 밖에 없겠죠.
 
2011년에 교과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또한 아무리 재단이 부유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학교에 쏟아붇지 않으면 무용지물인데요,

각 학교별 예산 총액 순위 지표도 발췌해왔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모든 것을 고려해볼 때 인하 조선해양공학보다는 경희 원자력공학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이미 서울-국제 통합이 발표된 2011년도 이후 대학평가를 보면 공학/기술 분야에서 경희대가 앞서있으며
 
이 추세로 볼 때 경희공대가 성장가능성이 더욱 뛰어남을 의미합니다.
 
최근 모든 지표에서 보시다시피 이미 이공계 쪽에서 많은 부분 앞서있습니다.
 
 
또한 학과만 보더라도 조선해양공학과는 공대이지만 전망이 그렇게 밝은 분야는 아닙니다.
 
학교 내에서도 학문을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보면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죠.
 
질문자님도 알다시피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는
 
국내 5개밖에 없는 희소성 있는 학과이며, 그에 따라 전망도 밝은 곳입니다. 취업률도 더 높구요.
 
공부 열심히하셔서 원하는 결과 꼭 이루세요!
 
긴 답변 읽느라 수고하셨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 분들 의견을 다 읽어 봤는데. 경희공대가 많이 좋아지긴 했죠.하지만 사회에 나가게 되면 학연이라는 것이 있읍니다. 취업 시 인하공대의 학연을 무시하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위에 해양플랜트공부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은 조선해양공학을 밀어준다는 것입니다. http://naoe.inha.ac.kr/ 옆에 있는 주소로 들어가 보시면 알 수 있읍니다. 인하대, 서울대, 한국해양대 이렇게 3개 학교가 해양플랜트특성화대학을 선정 되어 있읍니다. 한마디로 정부에서 밀어주는 과입니다. 그리고 위에 분이 조선해양공학의 전망이 밝지 않다고 하셨는데, 정부가 지원하는 곳이 전망이 밝지가 않으면 어느 곳이 전망이 밝은 지 잘 모르겠네요. 질문자님께서 조금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아 다시 바로 잡아 드리면 조선해양공학은 조선사업과 해양플랜트를 총망라한 학과라고 볼 수 있읍니다.http://www.cons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273 옆에 주소로 들어가 기사를 보면 정부에서 2017년까지 총 9000억을 투자해 이 학과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일본 원전사태가 있은후 여기저기 자료를 모으다보니 알게됐는데, 앞으로 원자력은 쇠퇴하는 시대가 올것입니다.원자력발전소를 정부 쪽에서 축소한다는 소리가 있더군요.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중에서 5~6기 정도가 가동을 안하는 상태이고, 일본과 체르노빌 사태에서 보듯이 국제적으로 그 안정성에 대해서 이야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그 안정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죠. 정부에서 지원하는 자체가 다르다는 소리입니다.

 

옛날에 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는데, 우연치 않게 비슷한 고민을 하는 학생을 만나게되어 이런 글을 쓰게 되네요. 원자력이 하도 말이 많아서 자료를 많이 찾아봤었어요. 그러다보니 알게 된 사실을 위에 적었네요. 이학과들을 얘기 하시는 거 보니 이과 이신것 같은데, 문과는 대학간판을 중요하게 보는 경향이 있지만 이과는 과별로 유망한 학교에 입학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과 자체는 인하대 조선해양공학이 더 미래 발전적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잘 선택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다른 답변을 지켜보면서 말씀드리건데

한 분은 여러 지표와 자료를 통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비교를 해 주신 반면

한 분은 자기가 속한 학교를 치켜세우기위해 비교대상의 학교를 근거없이 깎아내리고 자신의 학교를 터무니없이 띄우는 글을 써주셨네요..

정말 수준떨어져 보이는 학생입니다.. 자기학교 좋아보이게할려고 다른학교를 비방하다니.. 수준 참 알만하네요

우선 두 학교 간에 입시성적은 누가 더 높은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같이 원서를 쓴 것을 보니 큰차이가 나는 곳들은 아닌가보죠?

제 생각에는 이런 질문글 올려봤자 저런 학교비방하는 훌리들 많아서 제대로된 답변 얻기 힘들거에요.

그나마 입시컨설턴트 저 분이 객관적인 입장에서잘 써주신것 같군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 입시컨설턴트분은 무조건 경희대가라고 하시네...

글 쓰신거 보니까 전부다 경희대 가라고 해놓으심..

글에 쓴 내용도 거의 다 똑같고...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vs 경희대...

... 2014학년도 수능보고 대학 등록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고3입니다,, 제가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경희대 원자력공학과를 합격했습니다. 두 학교 모두 너무 맘에들고 과도...

(로봇학과)VS인하대(조선해양공학과)

... 로봇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면 광운대로 조선해양공학과에 관심이 있으시면 인하대로 가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합격 후 타 학과 전과를 노리신다면 전자공학과가 아닌...

전남대 기계공학과vs 인하대 조선해양공...

... 이름보면 인하대가 무조건이다 라는 사람도있고 지거국 전남에 기계공학과 메리트면 전남대가 무조건이다 라는... 일단 조선공학쪽은 서울대가 연구진ㆍ대기업임원진들로...

울산대 조선해양공학과 vs ~?

올해 조선해양공학과를 목표로 하는 고3입니다 잘알려진 대학or 과 중에서... 서울대 조선공학 2. 부산대 조선공학 3. 인하대 조선공학 4. 울산대 조선공학 5~6위권 부경대...

경희대 전자.전파공학과 vs 인하대...

... 일단 질문자께서는 인하대 전자공학과경희대 전자전파공학과를 놓고 고민중이신... 처음으로, 2013년에 발표된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아시아와 국내 순위입니다....

부산대 물리학과vs경희대 원자력공학과...

... 학과나 발전가능성 등 모든 면에서 경희대 원자력 공학과를 추천드립니다. 추가로 2012년 5월 30일 발표된 조선일보 대학평가 지표를 보시게 되면, 국내 공학/기술 대학...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 건국대...

... 현재 인하대는 최초합으로 예치금 들어가 있는 상황이고 경희대 (예비7) 와 건국대... 인하대가게되면 기계공학과로 전과를 생각하시는건가요? 전과도 결코 쉽지 않기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