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률 고1영어교과서(이찬승) 1과 본문 해석

능률 고1영어교과서(이찬승) 1과 본문 해석

작성일 2015.03.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능률 고1영어교과서 1과 본문 해석좀 해주세여ㅜ
부탁드릴게여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Being Friends with the Face in the Mirror

       

“Samantha is a perfect friend. She always supports her friends,” Alice wrote about me.

“Samantha는 완벽한 친구예요. 그 애는 친구들에게 힘이 되어줘요.”라고 Alice가 나에 대해 썼다.

 

I was shocked when I read this.

나는 이것을 읽었을 때 충격을 받았다.

 

Was she really talking about me?

그 애가 정말 나에 대해 말하고 있었나?

 

I couldn’t believe anyone would write such a positive thing about me -- especially Alice!

나는 누군가 나에 대해 그토록 긍정적인 것을 쓴 것을 믿을 수 없었다. - 특히 Alice!

 

We have had a lot of arguments since we became friends.

우리는 친구가 된 이후로 많은 말다툼을 해왔다.

 

Surely, she must know all my faults!

확실히, 그 애는 틀림없이 나의 단점을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When I look in the mirror, it’s hard for me to see anything positive in myself.

거울을 볼 때, 나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무언가를 보기 어렵다.

 

Rather, there are many things that I don’t like about myself.

오히려, 내가 스스로에 대해 좋아하지 않는 것들이 많다.

 

I’m not just talking about my big nose and bad skin.

나는 단지 나의 큰 코나 안 좋은 피부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다.

 

I’ve done lots of foolish things that I’m not proud of.

나는 자랑스럽지 않은 어리석은 일을 많이 저질렀다.

 

I’ve lied to my parents and sometimes stretched the truth with my friends.

나는 부모님께 거짓말을 했고 때로는 친구들에게 진실을 왜곡해서 말하기도 했다.

 

I’ve also started rumors about people, even Alice.

나는 사람들, 심지어 Alice에 대한 소문도 퍼트렸다.

       

Last year, I caused some problems between Alice and her boyfriend, Danny.

작년에, 나는 Alice와 그 애의 남자친구인 Danny 사이에 문제를 일으켰다.

 

I started a rumor that she had gone on a date with another boy.

나는 그 애가 다른 남자애와 데이트를 했다는 소문을 퍼트렸다.

 

However, this wasn’t true. I secretly liked Danny and was jealous that he wanted to go out with Alice, not me.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나는 남몰래 Danny를 좋아했는데 그 애가 내가 아닌, Alice와 사귀고 싶어 해서 질투가 났다.

 

Alice never found out that I had started the rumor. Looking back on what I had done, I felt guilty.

Alice는 내가 그 소문을 퍼트렸다는 것을 결코 알아내지 못했다. 내가 했었던 일을 돌아보며, 나는 죄책감이 들었다.

       

One day, my homeroom teacher, Mr. Roberts, had our class do a special activity.

어느 날, 담임선생님인 Roberts 선생님은 우리 반에게 특별한 활동을 하게 하셨다.

 

He made each of us stand in front of the class one by one, and talk about ourselves -- our interests, family, friends, and future dreams.

선생님은 우리에게 각자 한 명씩 반 친구들 앞에 서서, 우리의 관심사, 가족, 친구, 장래 희망과 같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게 하셨다.

 

While the person was speaking, the rest of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down one or more positive things about him or her.

한 사람이 말하는 동안, 나머지 학생들은 그 사람에 대해 긍정적인 점을 한 가지 이상 쓰라는 요청을 받았다.

      

When it was my turn to speak, I felt very nervous thinking about what my friends would write about me.

내가 말할 차례가 되었을 때, 나는 내 친구들이 나에 대해 뭐라고 쓸지 생각하며 매우 초조해졌다.

 

There was Amy, who knew that I had started the rumor about Alice, and Dave, who caught me cheating on a math test earlier that week.

내가 Alice에 대한 소문을 퍼트렸다는 것을 알고 있는 Amy도 있었고, 내가 그 주초에 치른 수학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는 것을 목격한 Dave도 있었다.

 

Lauren was in the class, too, who once asked me where I got the money for my new shoes.

Lauren도 우리 반에 있었는데, 그 애는 언젠가 내게 새 신발을 살 돈이 어디서 났는지 물은 적이 있었다.

 

I told her that I had lied to my mother that I needed money to buy some books.

나는 그 애에게 내가 엄마에게 책 몇 권을 사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고 거짓말을 했다고 말했다.

 

Most of all, there was Alice.

무엇보다도, Alice가 있었다.

 

She had the worst time last year because of the rumor that I had started.

그 애는 내가 퍼트린 소문 때문에 작년에 최악의 시간을 보냈다.

 

Considering all these, I was really on the hot seat.

이 모든 것을 고려할 때, 나는 정말 곤란한 처지에 있었다.

 

Could any of them think of even one good thing to write about me?

그들 중 누구라도 나에 대해 쓸 단 한 가지 좋은 점이라도 생각할 수 있을까?

       

After everyone had taken their turns to speak, Mr. Roberts collected every note.

모두가 차례대로 말한 후, Roberts 선생님은 쪽지를 모두 걷으셨다.

 

This time, we were told to write down what we think about ourselves.

이번에는,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쓰게 하셨다.

 

Then he gave us the notes back to let us see what we had written about each other.

그러고 나서 선생님은 우리가 서로에 대해 쓴 것을 보게 하려고 쪽지를 돌려주셨다.

 

I didn’t dare to see what Mr. Roberts had handed me at first.

나는 처음에는 Roberts 선생님이 나에게 건네신 것을 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

 

As I finally read them, however, I couldn’t believe my eyes!

하지만, 마침내 그것을 읽었을 때, 나는 내 눈을 믿을 수 없었다!

 

The notes were full of glowing comments about me.

쪽지는 나에 대한 극찬의 평으로 가득했다.

 

Two said I’m very friendly.

두 명은 내가 매우 친절하다고 말했다.

 

One said I have nice eyes.

한 명은 내가 멋진 눈을 가졌다고 말했다.

 

Three said I’m funny.

세 명은 내가 재미있다고 말했다.

 

One said I have a nice smile.

한 명은 내가 멋진 미소를 가졌다고 말했다.

 

Two said I’m a good listener.

두 명은 내가 말을 잘 들어준다고 말했다.

One even said I’m the prettiest girl in the class.

심지어 한 명은 내가 우리 반에서 가장 예쁜 여학생이라고 말했다.

 

My face turned red as I read this. I’d never heard such a thing before.

이것을 읽는 동안 내 얼굴은 붉어졌다. 나는 전에 이런 말을 들어 본적이 없다.

       

And then, there was Alice’s note.

그러고 나서, Alice의 쪽지가 있었다.

 

It said that I was a perfect friend and always supported her.

쪽지에는 내가 완벽한 친구이며 언제나 그 애에게 힘이 되어 준다고 쓰여 있었다.

 

Reading what she had written about me, I recalled the time when we were close friends.

그 애가 나에 대해 쓴 것을 읽으며, 나는 우리가 친한 친구였던 때를 떠올렸다.

 

She was always there for me when I was going through hard times.

그 애는 내가 힘든 시간을 보낼 때 언제나 그 곳에 있어 주었다.

 

She listened to my problems and tried to encourage me with friendly words.

그 애는 나의 문제에 귀 기울이고 다정한 말로 나를 격려하려고 노력했다.

 

Whenever I needed a shoulder to cry on, she used to be the first person I could depend on.

내가 기대어 울 누군가가 필요할 때마다, 그 애는 내가 의지할 수 있는 첫 번째 사람이었다.

 

I felt very sorry for what I had done to her.

나는 내가 그 애에게 했던 것에 대해 정말 미안해졌다.

 

I realized how badly I had treated her.

나는 내가 그 애를 얼마나 심하게 대했는지 깨달았다.

 

At the same time, I was grateful to her for always being a good friend to me.

동시에, 나는 그 애가 언제나 나에게 좋은 친구였음에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After reading all my friends’ comments, I looked down at what I had written about myself: “I would be prettier if my nose were smaller. I’m a good swimmer but I wish I were faster.”

친구들의 의견을 모두 읽은 후에, 나는 내가 나에 대해 쓴 것을 내려다보았다. “내 코가 더 작으면 나는 더 예쁠텐데. 나는 수영을 잘하지만 더 빠르면 좋을 텐데.”

 

I hadn’t been able to think of any nice things about myself.

나는 나에 대해 그 어떤 좋은 점도 생각해 내지 못했었다.

 

To be more exact, I hadn’t even dared to think about the question, “Is there anything good about me?”

더 정확히 말하자면 나는 내게 어떤 장점이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엄두조차 내지 못했었다.

 

My friends had made much nicer comments about me.

나에 대해 훨씬 더 멋진 말을 해주었다.

 

Thanks to them, I realized that I was a better person than I thought.

그 애들 덕분에, 나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Since then, I’ve been trying to see the good in myself, too.

그 이후에, 나도 나 자신의 장점을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I hope that I can see someone that I’d like to be friends with next time when I look in the mirror.

내가 다음에 거울을 볼 때는 내가 친구로 삼고 싶은 사람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Supplementary Reading

Bring Success with the Pygmalion Effect

      

There was a man in Greek mythology, Pygmalion, who used to hate women.

그리스 신화에 피그말리온이라는 이름의 한 남자가 있었는데, 그는 여성을 싫어했었다.

 

Feeling lonely, however, he made a statue of a perfect woman and fell in love with it as if it were real.

하지만, 그는 외로움을 느껴서, 완벽한 여성 조각상을 하나 만들었고 마치 그것이 실제인 것처럼 그것과 사랑에 빠졌다.

 

One day, Pygmalion went to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 and asked her for a woman just like the statue.

어느 날, 피그말리온은 사랑과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에게 가서, 그 조각상과 똑같은 여성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Listening to his prayer, Aphrodite realized how deep his love was and made the statue become a real woman.

그의 기도를 듣고, 아프로디테는 그의 사랑이 얼마나 깊은지 깨닫게 되어 그 조각상을 실제 여성으로 만들어 주었다.

     

The Pygmalion effect is named after the man and means one’s high expectations of or belief in someone create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son and brings satisfying results.

피그말리온 효과는 이 남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으로 누군가가 어떤 사람에게 갖는 높은 기대나 믿음이 그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불러일으키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occurs because people feel proud of themselves when they are respected and try to meet the expectations.

이것은 사람들이 존중받을 때 스스로에게 자부심을 느끼고 그 기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In 1968, Professor Robert Rosenthal from Harvard University and Lenore Jacobson, who had bee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carried out an experiment.

1968, 하버드 대학의 로버트 로젠탈 교수와 초등학교 교사였던 레노어 제이콥슨이 실험을 수행했다.

      

They first gave an IQ test to students and then chose some of them.

그들은 우선 학생들에게 지능 검사를 실시한 후 그들 중 몇 명을 선발했다.

 

They gave the list of the students to teachers, saying that those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show the biggest improvement.

그들은 이 학생들이 가장 큰 진전을 보일 것이라고 말하면서, 그 학생들의 목록을 교사들에게 주었다.

 

Eight months later, they tested all the students again and found out that those who were in the list had improved a lot on the test.

8개월 후, 그들은 학생들 모두를 다시 평가했고 그 목록에 있는 학생들이 시험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음을 발견했다.

 

The teachers’ expectations of those students had played a major role in this change.

이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가 이러한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었다.

      

To summarize, encouraging someone has positive effects on his or her ability and leads that person to success.

요약하자면, 누군가를 격려하는 것은 그 사람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그 사람을 성공으로 이끈다.

 

It is also important to believe in ourselves when trying to achieve something.

무언가를 성취하고자 할 때 우리 자신을 믿는 것 또한 중요하다.

 

능률교육 고1 영어 본문 1과~2과 해석...

본문 1과 2과 해석 이요 ㅜㅜ 2009년에 새로 나온 능률 영어책인걸 잇지마세요!! 좋은 답변이 됏길 바랍니다.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 Finding My Voice Translation...

능률 고1 영어1 이찬승 7과 본문

능률교육 고1 영어1 이찬승 교과서에서 7과 중에 Photographer Koo Bohn... 카페에 본문자료와 심화문제가 있으니 혼자 공부하시는데 많은...

고1 영어교과서 7과,8과 본문해석이요....

(주)능률교육 고1 영어교과서 7과, 8과 본문해석해주세요..ㅠ 제발요... 능률 이찬승.. 본문 제목을 보고 능률 이찬승인지 알았지 뭐에요ㅎ 좋은하루 되세요 ^ ^ 시험공부...

고1 영어교과서 1,2과 본문 해석좀...

능률영어사 영어 교과서 인데요 고1이요 1과, 2과 본문 해석좀 해주세요;;; 내일 셤치는데 자습서 사긴 그렇고 급하네요';;; 1과 : A Bright Future Is Waiting for You 2과 : How People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