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허블법칙

지구과학 허블법칙

작성일 2024.01.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은하 B와 A가 있는데 적색편이 B>A라면 현재 두 은하를 관측한다면 더 초기 우주의 모습이 관측되는건 A 아닌가요? 적색편이량이 크다는건 B가 더 멀리 있다는거고 그럼 더 예전에 생성됐다는거니까 나이가 더 많은거 아닌가요?? B라는데 이유 설명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 허블법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이가 더 많다는 건 지금으로부터 더 과거라는 거니까 초기우주에 더 가깝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B가 더 초기의 우주의 모습입니다.

지구과학 허블 법칙 질문

... 허블 상수를 시기별로 다르게 두고 후퇴 속도를 계산한 것인가요? 2. 관측 가능한... 현재의 허블 상수는 관측된 우주의 속도와 거리에 따라 정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구과학 허블법칙 문제

... 그리고 A에서 B까지의 거리는 200Mpc이니까 V=HR 공식 써서 17300= 70x200Mpc 이다 라고 하고 풀면 14000이 나와서 17300보다 작으니까 허블 상수는 70보다 커야한다. 라고...

지구과학 허블 법칙

1. 문제 1번에서 (빨간색으로 계산 써놓은거)mpc단위는 어디로 간건가요..? 2. 마지막 7번 문제 해설 풀이로 A와 B까지의 거리가 우리은하에서 A까지의 거리와 B까지의 거리의...

지구과학 허블법칙 질문

이거 어떻게 그림이 저렇게 나오는지 떠올릴 수 있는건가요 ?? 전 지금까지 삼각형만 그려봐서 .. ㅠㅠ 문제의 이해가 아니라 저런 발상을 어떻게 하느냐고 물으시는 거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