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학교 교과과정에 일반물리1,2

1. 대학교 교과과정에 일반물리1,2

작성일 2023.07.2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대학교 교과과정에 일반물리1,2 일반화학이 있는데
고등물리학1,2랑 고등화학1,2 내용을 다 알고가야 하나요?
그리고 만약 다 알고가야한다면 어느정도로 알고있어야해요??
예를들어 그냥 완자같은거 완벽하게 끝내놓은 정도면 되는지
아니면 거기에 플러스 다른 문제풀이 교재 이런것도 해야하는지..

2. 미적분 무조건필수라는데 얘는 개념이랑 기본문제만 할줄알면 안되고 엄청 익숙해지고 완전 자기거같이 될때까지 자유자재(?)될때까지 해야하겠죠?? 강의듣고 개념정리 정확히하고 문제 여러 풀어보는식으로요?
사실 어느정도로 해야되는지 잘모르겠는데
공대생분들이나 잘 아시는 분들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ㅠ


#1 대학교 #서울 1 대학교 #대학교 1 교시 #1-2등급 대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대학교 교과과정에 일반물리1,2와 일반화학이 있는 경우, 고등물리학1,2와 고등화학1,2 내용을 모두 알고 가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물리1,2와 일반화학은 대학에서 해당 과목을 처음으로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등물리학1,2와 고등화학1,2의 내용을 모두 다루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등물리학1,2와 고등화학1,2를 미리 공부해 놓으면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고등물리학1,2와 고등화학1,2의 내용을 미리 공부하고 이해하는 것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완벽하게 끝내놓을 필요는 없으며, 기본 개념과 문제 풀이에 익숙해지는 정도로 공부하면 됩니다.

2. 미적분은 대부분의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그러나, 완전히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을 때까지 깊이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미적분 과목을 별도로 개설하며, 해당 과목에서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게 됩니다. 따라서, 미적분의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의를 듣고 개념을 정리하고,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미적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일반물리1 일반물리2

... 저희 대학교에서 올해부터 교육과정을 고쳤다는데 이해가 안되서요 일반물리1을 안듣고 일반물리2만 듣는게 말이 되나요? 1. 대학교에서의 일반물리학의 경우 보통...

한서대학교 2025 내신 성적 교과과정 1,2

... 올해부터 한서대 교과과정1이 사라지고 교과과정2만 지원 가능하다고 들었었는데 한서대 2025 시행계획서를 보니 교과과정2부분이 빈칸이고 교과과정1만 지원가능하다...

대학 물리(고등학교 교과과정 물리1 물리2)

... 여기서 말하는 물리는 고등학교 교과과정 상의 물리입니다. 혹시 고등학교 물리1...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차라리 '일반물리학(또는 대학물리학)' 교재 중에서 내용이...

대학교 일반물리1 질문!!

... 문제는 올해 12월에 겨울계절학기로 일반물리1을... 대학강의용 교과서 예제를 완벽히 푸는것(풀이과정암기)을 목표로 하시길 바랍니다. 수능을 위한 강의와 대학교...

2009 개정교육과정 물리1,2 내용을 일반...

올해 고등학교가는 학생인데요,, 2009개정교육과정을... (할리데이 쓸검니다) 또 일반물리학 몇단원이 물리1,2... 1~12,13,15장 : 역학 14 : 유체역학 16,17 : 파동(기본 파동의 성질...

지2 나 물리1 교과내용 변경된게 있나요?

21년에 지2 물1 공부했었는데 올해 수능내용에 저때랑 비교해서 추가된 내용이 있나요? 아니오 그대로 2015 개정교육과정이라 성취기준이나 성취요소 달라진게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