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역학 평형은 주계열성일때만 있는 건가요?

정역학 평형은 주계열성일때만 있는 건가요?

작성일 2023.05.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1 과학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정역학 평형상태는 주계열성일때만 있는건가요?
적색거성이나 초거성일때 없다는 것은 이미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백색외성은 중력과 전자축퇴압이 평형상태를 이루는 거 아닌가요?
만약 아니라면
다른 별의 단계중에 정역학 평형 상태에 있는 별의 단계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역학 평형상태는 주계열성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다른 별의 단계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백색외성은 indeed 중력과 전자축퇴압의 평형 상태에서 존재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디젠도 상태" 라고도 부릅니다. 이는 백색외성이 더 이상 연소하지 않고, 전자축퇴압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질량의 브라운 왜성도 정역학 평형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브라운 왜성은 중력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열 방출로 인한 압력 간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열을 방출합니다.

하지만, 더 높은 질량의 별은 정역학 평형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적색 초거성은 중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방출로 인해 대부분 열적 폭발을 일으키고, 그 중에서도 초신성으로 폭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더 높은 질량의 별은 평형 상태보다는 폭발적인 진화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정역학 평형

... 팽창인데 주계열성 밖에 없는건가요? 백색왜성도 계속 중력수축 하고있는 상태인가요? 적색거성 단계에서도 헬륨핵융합이 일어나는 동안은 정역학 평형 상태가 잠시...

통합과학 주계열성

주계열성에서 정역학평형으로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데? 근데요 적색거성이나 초거성으로 넘어갈때 주계열성의 팽창으로 봐야하나요? 아님, 주계열성은 팽창하지않고...

주계열성 힘의 평형

주계열성은 내부압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어서 별의... 열을 받고 부피가 커지는 건, 보통 예를 들 탁구공을... 관련되어있는 모든 것에 해당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폭탄, 총...

별의 주계열성 단계에서 정역학 평형상...

그림에서 가,나,다 모두 정역학 평형 상태인가요? 가,나,다 모두 주계열성 단계이므로 그럴거라고 저는 생각하는데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가, 나. 다 모두 주계열성이 아니네요....

원시별, 주계열성

원시별일때 중력수축하여 주계열성이 되고 주계열성 단계에선 정역학평형 상태를 유지하는건가요? 넵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