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vs생공 도와주세요ㅠㅠ

화공vs생공 도와주세요ㅠㅠ

작성일 2022.12.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진로에 대해서 고민중인 이과 예비 고3 학생입니다 의치한약수는 성적 때문에 제외하고 자연계열과 공학계열 중에서 골라야 할 것 같은데 순수 자연계열은(화학과 생명과학과 등등)은 배 고픈 직업이라는 말도 있고 순수과학과에 큰 뜻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공대 중에서 고를 생각인데 컴공 기계 전자는 제 적성과 안 맞을 것 같아요.. 이렇게 계속 소거를 해 나가니 화학공학과(=화생공)랑 생명공학과 이렇게가 남았는데
1.둘의 전망,연봉,워라밸,대학원 유무,서울 직장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였을 때 어느 학과를 더 추천하시나요??(적성 흥미는 제외했을 때요)

2.근데 제가 고2 때 생명과학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서 좀 재미없고, 막전위나 유전 염색체에 대해서 공부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었는데 생명공학과를 선택해도 되나요?? 생명과학도 버거워하는데 생명공학과를 가도…..될..까요?

3.저는 소거를 한 뒤 화공이랑 생공만 남았다고 해서 둘 중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다른 학과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지구나 환경 물리? 신소재(재료)관련 공대는 빼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둘의 전망,연봉,워라밸,대학원 유무,서울 직장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였을 때 어느 학과를 더 추천하시나요??(적성 흥미는 제외했을 때요)

화학공학과를 더 추천합니다. 사실 저는 화학공학과를 졸업해서 매우 편파적인 답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생명공학과

생명공학은 학부만 졸업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고, 대부분 대학원 졸업을 하고 연구직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한 한국의 산업은 현재 그렇게 다양하지는 않습니다. 대충 생각나는 대기업들을 나열하자면,

(1) 생명공학 기반 대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 LG 생명과학, SK바이오사이언스 등

(2) 화장품 관련: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3) 제약회사: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 대부분의 연구소가 수도권에 위치. 대전에 있는 경우도 있지만 서울 근무를 원하면 잘 골라서 가면 됨.

이렇게 나열하고 보니 적지는 않은 것 같지만, 우리나라가 바이오 관련 산업에서 강자가 아니다 보니, 회사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습니다. 물론 앞으로 키워가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아마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미래는 모르는 거니까요.

사실 생명공학과 졸업생의 주 역할은 사실 연구 쪽이고, 그 경우 석사나 박사학위가 거의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질문자님이 화생공 (혹은 화학공학과)을 졸업하더라도 그 과의 생명공학 관련 연구실에서 학위를 하거나, 아니면 대학원을 생명공학과를 들어가더라도 충분히 잘 할 수 있고, 관련 직장을 갖는데 전혀 문제가 없어서, 학부는 생명공학과보다는 화학공학과를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에 비해 학부만 졸업해도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화학공학의 경우 대부분의 제조업 회사에서 하는 역할이 뚜렷해서 꾸준히 사람을 뽑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나 배터리 산업, 반도체 산업 등 앞으로 사람을 많이 뽑을 것이 확실한 회사들로도 진출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더 유망하다고 생각합니다.

학부 졸업시 하는 역할:

(1) 정유회사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스오일, 현대오일뱅크 등)나 화학회사 (LG화학, 한화케미칼, 롯데케미칼 등)에서 공장 관리 엔지니어: 공장이 있어야 하니 거의 무조건 지방 근무. 울산, 여수 등에 주로 위치.

(2) 건설/엔지니어링 회사에서 화공플랜트 설계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등): 건설/엔지니어링 회사 본사에서 주로 근무하므로, 서울에서 근무. 하지만, 주로 플랜트를 해외에 짓기 때문에, 아시아 지역 (베트남, 사우디 등등) 에서 장기 근무 하는 경우 많음.

(3) 정유/화학/건설 회사에서 구매팀, 영업팀 등에서 근무.: 본사에서 근무하므로, 서울 근무.

지방/해외 근무 장점: 추가로 받는 보너스가 많고, 돈 쓸 곳이 없어 돈을 모으기 좋음.

서울 근무 장점: 그냥 서울에 사는게 사실 장점.

대학원 졸업시 하는 역할:

회사 연구소 근무: 회사 연구소는 주로 수도권/대전에 위치. 예전에는 대전에 위치 했지만, 인재 확보를 위해 점점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추세. 어떤 분야를 전공하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주변에서 석/박사 졸업생들이 간 국내 대기업들을 떠오르는대로 써보자면,

(1) 정유회사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스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2) 화학회사 (LG화학, 한화케미칼, 롯데케미칼 등)

(3) 건설/엔지니어링 회사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현대건설, 삼성중공업 등)

(4) 신재생에너지나 배터리 관련 산업 (삼성 SDI, LG화학, SK에너지, 현대자동차 등)

(5) 소재나 디스플레이 관련 회사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삼성 물산, 삼성전기 등)

(6) 반도체 관련 회사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등)

(7) 화장품 회사 (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2.근데 제가 고2 때 생명과학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서 좀 재미없고, 막전위나 유전 염색체에 대해서 공부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었는데 생명공학과를 선택해도 되나요?? 생명과학도 버거워하는데 생명공학과를 가도…..될..까요?

가지마세요. 굳이 재미없는 걸 할 필요가 있을까요..

3.저는 소거를 한 뒤 화공이랑 생공만 남았다고 해서 둘 중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다른 학과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지구나 환경 물리? 신소재(재료)관련 공대는 빼구요)

이미 공대의 굵직한 과는 다 제외하셔서... 에너지 관련 학과 (원자력, 에너지시스템공학, 에너지자원공학 등)들이나 산업공학과 정도?가 생각나긴 하네요.

전북대 화공vs전남대...

제가 지금 이 두개의 대학교에 붙었는데요 내일 이제 등록을 해야하는데 결정을 못하겠어요ㅠㅠ 도와주세요ㅠ 둘다 국립 대학교이고, 화공과 기계공학으로 생각하되 자신이...

생명공학과 선택과목 도와주세요ㅠㅠ

현재 서울 일반고 고1이고 약학을 우선시로 두고 생기부도 채웠는데 저보다 성적 좋은 친구들도 약대 어려울거 같다고 다 화공이나 생공으로 돌려서 저도 화공이나 생공...

문화변동 사례 질문이요ㅠㅠ

... 꼭 화공생공 관련이 없어도 괜찮으니 도와주세요ㅡㅜㅜㅜㅜㅜㅜㅜㅠㅠㅠㅠ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개발: 아이디어: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 수집이...

고3 도와주세요...

... 부산대 화공이나 생공 아예 가망없죠...?ㅠㅠ 수능으로 가기엔 진짜 컨디션파라서 너무 걱정되서요... 일단 수시 어떤 전형은 가망없겠지요..? 정시만 희망이지요..? 부산대...

대학 편입

... 전공이랑 화공이나 생공의 전공이랑 달라서 전공시험이 문제입니다ㅠㅠ 이런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도와주세요 ㅠㅠ 제가 지금 제약공학과에 재학중인데...

상명대 서울캠

상명대 서울캠 농어촌으로 화공에너지랑 생공 학과 두 개 지원해도 되나요? 복수지원이랑 교차지원 어쩌구 하는데 잘 모르겠어요.ㅠㅠ 도와주세요!! 수시전형은 기본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