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과학 교육과정

고등 과학 교육과정

작성일 2019.11.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내년에 중3이 되는 학생입니다.
과학을 혼자서 선행 하려고 하는데 고등 교육과정을 잘 모르겠어요. 고1이 통합 과학인 것은 알겠는데 그 다음부터 어떻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등 과학탐구 주제 #고등 과학 문제집 난이도 순위 #고등 과학 #고등 과학 문제집 #고등 과학 실험 #고등 과학 교과서 #고등 과학 실험 키트 #고등 과학 공부법 #고등 과학 실험 주제 #고등 과학 인강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은 중학교 과학을 2015 개정 교육과정대로 배워왔고, 중3 때도 배우고

2023년 고3 때까지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겠군요.

(2020 개정 교육과정(임시 명칭)이나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고등학교 과학은 공통과목으로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이 있고

일반 선택 과목으로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이 있으며

진로 선택 과목으로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이 있습니다.

고등학교에 가서 이걸 다 배우느냐 하면 그건 절대로 아니고

해당 고등학교에서 최소 이수 단위 이상을 맞추면서, 어떤 목적에 의해 과목을 나눌 거예요.

먼저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공통과목이고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해서 듣게 될 것인데

모든 고등학교가 그런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고등학교에서는 고1 과정에서 가르칠 거예요.

그 다음 과학에서의 최소 이수 단위를 맞춰야 하고, 내신이나 수능을 위해

고2 과정에서는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최소 택 2를 하도록 설문 조사 등을 해서

반을 나눠서 하든지, 아니면 여기서 3~4과목을 듣게 하는 방식으로 갈 거예요.

(과학 최소 이수 단위는 채워야 하거든요. 문과 계열도 들을 수는 있는데 합반을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반 고등학교가 아니라 과학고라든지 과학중점고라면 다 배웁니다. (여기는 학교 설립 목적이 다르니까요)

이름이 알려진 자사고도 3과목 이상은 배울 거예요.

그 다음 진로 선택 과목이 문제인데, 전 과목 다 합해서 진로 선택 과목은 3과목 이상은 필수로 듣게 되어 있습니다.

과학에서 진로 선택 3과목이 아니라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다 합해서 3과목 이상이에요.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에서 3과목을 들어야 한다 이런 게 아니라는 것이죠.

그러면 여기서 자연 계열은 수학에서 '기하'라는 과목이 예전 교육과정에서는 필수였기 때문에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에 맞춰 학생들의 선택에 맡길 수도 있지만,

학교에 기하를 가르칠 수 있는 선생님들도 있고 해서 이걸 듣게 만들 가능성도 높다고 보입니다.

(과학고나 과학중점고, 자사고는 그러고도 남을 것으로 봅니다. 이과라면 그게 대학에서 필요하거든요)

이러면 진로 선택 과목에서 선택지가 2개 이상으로 줄어들죠.

이 2개 이상은 국어, 영어, 수학, 예체능(체육, 미술, 음악)에서 채울 수도 있고

과학에서 채울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고등학교에서 알려주지 않으면 모르는데, 학생들의 선택에 맡기는 학교가 있을 수 있고

그러지 않고 학교에서 밀고 나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서 확답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에요.

특정 대학교나 학과에서 제시하는 과목이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 밀고 나가는 경우를 예로 들자면,

서울대나 의학 계열 목표로 하는 학생이 있다면 생명과학2라든지 화학2를 들을 수 있게 할 것으로 보이고

카이스트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있다면 물리2도 들을 수 있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구과학2는 원래 가르칠 수 있는 선생님이 부족해서 가르치지 않는 학교가 많습니다.

저것도 어디까지나 그런 학생들이 있고 고등학교에서 그걸 가르칠 의지가 있을 때 가능할 거예요.

그래서 여기는 고등학교에 들어가고 나서 판단해야 할 듯합니다.

혹은 어떤 목표가 있으면 그에 맞춰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중에서 택 1으로요.

(필수는 아닙니다만 목표에 의해서는 필요할 수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1과목을 요구할 수도 있어요)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은 수능 과목도 아니고 내신 과목으로도 비중이 크지 않아서

다루지 않는 고등학교가 대부분이고, 다루는 고등학교도 심도 있게 다루지 않을 겁니다.

시중에서도 다양한 교재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고, 자습서 정도가 고작일 거예요.

무엇보다 II 과목들이 있으니, 선행으로 걱정할 과목들은 아닙니다.

만약 과학고나 몇몇 과학중점고, 일부 자사고라면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를 다 배울 수도 있으며

고급물리학, 고급화학, 고급생명과학, 고급지구과학에서 일부 과목을 가르칠 수도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질문자님이 과학고, 과학중점고, 이름이 알려진 자사고가 아닌

일반계 고등학교나 과학을 집중적으로 수업하는 곳이 아닌 자사고에 들어간다면

1학년 시기에는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배우게 될 것이고

2~3학년 시기에는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중에 최소 2과목 이상을 배울 것으로 보이며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중에서도 1~2과목 이상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 (가능성)

(화학1, 생명과학1은 사실 거의 배운다고 보면 되고 물리학1, 지구과학1을 가르치거나 가르치지 않는 학교가

있을 수 있는데, 보통은 가르칠 거예요)

가능성. 이렇게 적는 것은 한계점이 있어서예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인문, 자연 계열의 벽을 허물고 학생들의 선택 폭을 넓히자는 취지는 좋지만

고등학교가 대학교는 아니기 때문에 각 학생별로 진로에 맞춰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예체능 과목을

맞춤 형식으로 나눠서 가르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전 과목 선생님이 각 고등학교에 있는지부터 시작해서, 어느 과목은 몰리고 어느 과목은 몇 명 없고 이럴 텐데

교실을 어떻게 나눌지와 같은 문제도 있고.. 그래서 고등학교 입학 때부터 그렇게 나눠서 받으면 모를까,

지금처럼 입학하는 시스템에서는 고등학교마다 선택이 강제되는 것도 분명 있으리라고 봅니다.

(과학 같은 경우, II 과목 없이 I 과목만으로도 대학을 갈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저 한계에 의해서

선택자가 적어서 개설되지 않는 고등학교가 있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선행이라...

질문자님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나, 과학 공부를 선행하고자 한다면

통합과학을 먼저 하고, 과학탐구실험도 할 수 있으면 좋고요.

추후 시간이 된다면 물리학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까지 하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서울대, 카이스트, 의학 계열 등에 목표가 있어도 과학고에 들어갈 게 아니라면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중에서 공부할 과목이 있는데, 그건 나중에 해도 늦지는 않아요.

중간 과정으로 과학고 입학이 목표라면... 그 학생들은 중3 때 II 들어가느라 I 과목 정도는 거의 끝냈다고 보심이...)

답변은 여기까지 할게요. 과학에 대해서 궁금한 게 있으면 추가로 물어보셔도 됩니다.

고등과학 교육과정

전 예비고1인데요 평소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같은 물리학에 관심이 많고 천문학에 특히 관심이 많은데 고등학교 가면 이와 관련된것들을 배우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고등 2022개정 교육과정-과학

... 3.2022개정 교육과정 전의 통합과학보다 후의 통합과학이 몇배정도 어려워질까요? 1. 수능은 고1 과정에서만 나옵니다. 2. 물1,,, 내신 준비 하시는 거죠. 다만, 물화생지를...

고등 과학 교육과정

수학은 수학 상 하 1 2 미적분 으로 가는데 과학쪽은 어떻게 가나요? 일반고에서... 생명과학, 지구과학을 줄여서 표현했습니다 '2'과목은 학생부로 가거나 서울대로 가시는...

중등고등과학

안녕ㅎㅅㅇ 중2인데요 혹시 중3이나 고등 과학 교육 과정에 핵과 관련된 내용잇으르가요 핵이 원자핵을 뜻한다면 과학 전과목에서 그 전공과목에 맞게 모두 다룹니다 어차피...

고등 과학 교육과정

... 1학년 부터 3학년 까지 고등학교 과학교육과정을 설명해주세요 학교마다 다르다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걸로 알려주세요 고등과학 교육과정은 1학년 : 융합과학 2학년 : 물....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 질문!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 뭐 1학년땐 뭐배우고 2학년때 뭐 배우는지 자세하게 좀 알려주세용 ㅠㅠ 1학년은 통합과학, 2학년은 일반선택(물1, 화1, 생1, 지1), 3학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