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s님 도와주세요ㅠㅠ

hans님 도와주세요ㅠㅠ

작성일 2017.06.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다시 질문 올립니다ㅠㅠ 그분이 어떤분인지 모르겠지만 저에게는 hans님의 도움이 정말 너무 필요합니다. 제가 앞으로의 활동에 방향을 잡게 도와주세요ㅠㅠ 어떠한 추상적인 답변이더라도 저에게는 정말 큰 힘이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hans님께서 지금까지 올려주셨던 답변들을 보면 전혀 추상적이지도 않구요ㅠ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안녕하세요 전 지금 고3이고요 이번에 소논문을 쓰려고 하는데 주제 선정이 너무 막막해서 이렇게 hans 님의 도움을 받고자 질문드립니다

저는 전기전자공학과 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물리1과 2를 모두 이수했고 이 과목들을 배우며 다른단원은 몰라도 전기장파트에서는 다른 친구들보다 문제풀이같은 부분에서 잘 풀어낸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쪽에 흥미도 있고요. 이러한 이유들도 있고 제가 어렸을때부터 컴퓨터나 전자제품같은것들을 상당히 좋아해왔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전기전자공학과를 희망하게 됬습니다.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생활기록부에 기재될 수 있는 스펙을 쌓고자 소논문을 계획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주제선정에서 다음과같은 문제가 생겼습니다.

1. 전기전자공학과 관련된 주제들 중 실제로 내가 실험을 하거나 만들고 느껴볼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게 어렵다.
2. 고등학교 수준에서 전기전자공학에 관련한 전문적인 지식을 알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심화적인 내용으로 소논문을 작성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학교 물리 선생님께서 연세가 많으셔서 도움을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저는 여태껏 그저 '전자제품'(핸드폰, 컴퓨터 등)에 관한 흥미 때문에 단순히 전기전자공학부를 희망하게 된 것 같은데 곰곰히 생각해 보니 제가 전기전자공학과가 정확히 무엇을 하는 과인지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이렇습니다.
1. 제가 생각하고 있는 소논문 주제가 몇 가지 있는데 첫번째로는 향후 초정보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삼진법 반도체를 주제로 하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제가 요즘 음악을 신호로 바꾸고 하는 것에 흥미가 있어서 관련 정보를 찾아보던 중 생각난 것인데, 라디오가 회로의 공명진동수와 일치하는 신호를 받아내는 것을 이용하여 라디오의 공명진동수를 특정 악기의 특정 음(도~시)에 일치하게 설정한다음 각 음마다 간단한 반응(led에 불빛이 들어온다던지 하는 것) 을 하도록 유도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게 심화적인 내용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두 주제중 소논문으로 작성하기에 좋은 주제 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두개 모두 별로라면 제가 직접 계획/구상 등을 해볼수 있는 주제를 추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만약 3진법 반도체가 좋은 주제일 시 이를 어떻게 계획이나 실험을 해 볼 지좀 알려주세요ㅠㅠ)

2. 전기전자공학과가 정확히 무엇을 하는 과인가요? 저는 처음에는 막연히 반도체나 컴퓨터, 전기에너지 생산같은 것을 다루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것 같아서요. 그리고 음의 파동을 다루는 것이나 음향기술 같은 것들도 전기전자공학에 포함되나요?


막 작성하다보니 글이 두서없이 너무 길어진 겉 같네요ㅠㅠ 고민이 너무 많아 질문드리고싶은게 너무 많아서 이렇게 된거같습니다ㅠㅠ 너무 길고 무리한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아무쪼록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ㅠㅠ (내공이 어마 없어서 할당할수있는 내공이 최대 30밖에 안되네요 죄송합니다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더 잘 알아볼 수 있게 된다면 참 좋을 텐데 아쉽습니다.

워크넷, 커리어넷 등의 사이트가 도움을 줄 수 있긴 한데... 진로탐색, 자아성찰보다 문제 하나라도 더 맞히는 것이 더 우선시되는 풍조가 바뀌면 좋겠습니다.


제가 답변하면 좋겠다고 하시니 답변을 해보자면



삼진법 반도체는 최근 연구분야고 어렵습니다. '진법'하니까 우리가 십진법도 알고 이진법도 좀 들어봤으니까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게 뉴스에선 제목을 삼진법 반도체 그렇게 써놨는데 실제 논문 보면 내용은 순 기기로 분석한 거예요. 그래프들이요. 논문의 연구결과가 삼진법 반도체를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는 것이죠.

제가 볼 때는 이거 끄트머리 가는 것도 대학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불가능하고 받아도 어렵습니다. 지금 6월인데 수능 준비 해야죠?

그냥 진법에 대해 수학적으로 하는 것도... 사실상 그냥 기존에 알려진 것들을 쫙 재확인하는 것에 불과할 가능성이 99% 이상입니다. 정수론은 매우 오래 전부터 수많은 수학자들이 파온 분야거든요.

사실 많은 수학 R&E가 그러하죠.


 라디오 얘기를 하셨는데, 라디오는 기본적으로 전자기파를 받아서 소리를 내고, 악기가 내는 것은 음파입니다.  음파를 받아 전자기파 신호로 변환하는 어떤 '장비'가 있으시다면 뭐 할 수 있을 수 있을 수 있지만... 있다면 마음에 썩 들진 않지만 해볼 수 있을 수도... 있으면 말해주세요.


전기전자공학부는 네. 말씀드린 그런 것도 다 할 수 있습니다. 전기로 간다면 전기로 작동하는 기계들의 원리, 발전소의 발전원리, 송배전 시스템 등등을 배우고 전자로 간다면 회로(나중에 가면 회로를 복소평면에 올려놓고 돌리고 별 짓을 다 합니다.), 제어공학(부품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하는 걸 배우는데 매우 수학적), 통신과 신호처리 등등을 배우게 됩니다. 반도체도 물론 배울 수 있죠. 전기전자공학부로 입학하여 2학년 때 전기공학, 전자공학 중에서 선택하기도 하고 대학마다 다릅니다. 음의 파동이나 음향은 전기전자와는 거리가 멉니다. 혹시 신호 관련해서 건드릴 건덕지가 있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음은 그냥 진동입니다. 전자기파랑 아예 물리적으로 별개인 거예요. 물리학과에서 음향연구실을 두고 연구합니다.

많은 고등학생들이 착각하고 지내고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데요. 수학문제 잘 푼다고 수학과를 지망한다면 후회할 확률이 적잖아 있습니다. 수학과는 문제풀이를 하는 과, 평소에 봐왔던 수학 수수께끼 같은 거 풀거나 내는 방법 배우는 과기보다는('가 아니라' 라고 쓰고 싶지만) 증명하는 법을 배우는 과, 어려운 수학이론을 배우는 과입니다. 너무 어려운 이론들을 꾸역꾸역 배우는데, 그마저도 학부생 수준에선 그게 다 과거의 천재들이 다 밝혀놓은 거만 배우는 거니...

기계공학부는? 졸업할 때까지 냉장고 고치는 법 몰라도 크게 이상한 게 아닙니다. 동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생산설계 등등에 대하여 이론적인 것들을 주로 공부합니다.

전자공학은? 전자제품이 아니라 전자기학적 원리를 주로 배웁니다.

귀띔하자면 매~우 수학적입니다.  


대학이 상아탑이란 말을 흔히 하는데, 전문대나 어떤 특성화 과정 등을 제외하고는 대학에서는 이론을 주로 가르칩니다. 개편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래도 이론이 주입니다. 기본적인 틀이 되는 이론을 배워야지 어떻게 변해도 써먹을 수 있다고 말을 하는데 그것도 수긍할 만한 말이죠.




어... 아무튼간에, 전기전자공학부는 배울 수 있는 게 다양합니다. 자기가 수강신청하기 나름입니다.

목표하는 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한번 교육과정을 찾아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요즘은 학생들을 위해 책자나 홈페이지 같은 걸 잘 만들어 놔서 그런 걸 찾으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에서 가져온 책자 하나도 첨부해 드리...려고 했는데 가 첨부파일 용량을 1Mb로 제한해놔서 링크를 드립니다. http://cmsdv.yonsei.ac.kr/downlode/ys_hakbu/click.pdf

생각이 없는지, 활성화한답시고 별 쇼를 다 하면서 정작 제가 1년도 전에 제안한 첨부파일 용량 확대는 하지도 않아요. 카페는 몇십Mb로 해놓으면서... 매우 한심한데 더 말하려면 끝도 없고...



그럼 연구는 뭐 하냐. 글쎄요. 대학교랑 연계하는 R&E라면 할 수 있을 많은 주제들은 연계하지 않는 거라면 할 수 없습니다.

그 점이 매우 중요한데 밝히지 않으셨네요.



전기전자공학부에서 프로그래밍도 중요한데, 아두이노를 활용해서 뭔가 해보는 게 좋겠습니다. 자동 수위조절, 자세 교정 등을 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든지, 드론으로 운반을 시킨다든지... 그런 걸요.

이게 다른 R&E에서 시도되지 않은 건 전혀 아닌데, 하기 나름에 따라 독창적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소논문 제목은 '아두이노의 ~~~에서의 활용', '~~~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 이렇게 잡아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다만 고3인데 6월인 것이...


혹은 우리 생활 속의 전자기파 측정? 측정해 전자기파 지도를 만들어보기? 가능하다면, 그 지도를 따라, 전자기파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를 단 장치(로봇)가 움직일 수 있다면 뭐 수송에 활용될 수도 있겠군요... 다만 이것까진 어려워 이론상으로만 제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풍력발전장치를 실제로 조립해서 세워서 운용해보는데 풍력발전은 전기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으니까, 전기 주파수 특성이나 안정도에 대해서 다룰 수도 있겠는데(그러니까 우리가 이거 운용해봤는데 이렇게 분석결과가 나왔다 식으로요) 이거 하려면 반드시 대학과정 내용을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다른 것들도 대학공부 필요없다는 건 아니지만... 여기서 쓰는데 논문 잘 쓰려면 반드시 실제 논문들을 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스마트그리드는 녹색성장과 관련해서 뜬 건데 기술, 이론적으로 깊게 들어간다면 위 풍력발전장치 이상으로 대학과정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나 이론적만으로도 다룰 수 있긴 합니다.

이런 논문도 가능합니다.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430756851014




창의적으로 제 말을 응용해 보려 하십시오. 위에서 전자기파 지도를 만든다고 썼는데, 전자기파를 시간에 따라 측정해볼 수도 있습니다. 또, 위에서는 발전만 썼지만 변전, 송전은 다루지 못할 이유 없죠. 변전해보고 효율의 이론값과 실제값을 비교해볼 수도 있죠. 온도에 따라서는 어떻게 다른가 볼 수도 있고요. (이 때 대학 서적 도서관에서 빌려서 봐가면서 하세요. 고등학교 책에 모든 것이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연구 시작 전에 미리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결정하시는 걸 권합니다. 풍력발전 그거 하겠다고 했는데, 전기 주파수를 측정하는 장비가 학교에 없다면? 갑자기 연구방향 틀어야 하는 거죠.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교육기부답변

hans님 도와주세요ㅠㅠ

다시 질문 올립니다ㅠㅠ 그분이 어떤분인지 모르겠지만 저에게는 hans님의 도움이 정말 너무 필요합니다. 제가 앞으로의 활동에 방향을 잡게 도와주세요ㅠㅠ 어떠한 추상적인...

영어 해석좀 도와주세요ㅠㅠ!

영어해석도와주세요 ㅠㅠ 내공50걸께요........................... When Hans looked up, he saw a fairy. line up : 한 줄로 늘어서다. Can you imagine an animal as...

씨뿔뿔 도와주세요 ㅠㅠㅠㅠ

...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ㅠㅠ /* memory allocation */ hans = (float *)calloc(size,sizeof(float)); for(i=0;i<size;i++) hans[i]=0.; for(i=0;i<size;i++){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