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함수의 미분법 (미적분)

역함수의 미분법 (미적분)

작성일 2024.03.0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47번 문제 그냥 5y 네제곱 분의 4로만 나타내도 되지 않나요? 굳이 저기를 루트로 바꾸어주는건 왤까요? 만약에 루트로 꼭 바꿔야된다면 저기서 어떻게 바꿔야되나요?,



#역함수의 미분법 #역함수의 미분법 공식 #역함수의 미분법 문제 #역함수의 미분법 증명 #음함수와 역함수의 미분법 #삼각함수 역함수의 미분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서술형의 답을 쓰는 경우는 x에 대한 식으로 고치는 것이 맞습니다.

음함수 미분의 결과에서 y를 x로 바꾸는 것이 매우 복잡하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만 y를 남겨두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x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문제를 보면,

여기서 5가 홀수이므로, y = (x에 관한 식) 으로 나타냈을 때 플러스 마이너스 같은 건 붙지 않습니다.

이렇게 y를 x에 관한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제 도함수 식에 대입해 보죠.

뭐, 이 과정은 답지의 과정과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도함수 dy / dx가 x에 관한 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x라는 변수에 대한 y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문제인거 같습니다. 즉, 같은 의미지만 x값이 변할때 y값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갓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음함수의 미분법은 굳이 x에 관한 식으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꾸는 것이 꽤 어렵거나 아예 바꾸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냥 출제자의 의도에 따르면 됩니다.

굳이 바꾼다면

x = y^5 이므로 y = x^(1/5)를 대입하면 됩니다.

미적분 미분법에 대하여

미적분 정석을 풀고 있는데요. 각 문제에서 어떤 미분법(역함수의 미분법, 합성합수의 미분법, 역함수의 미분법)을 구분해 가면서 푸는게 의미가 있나요? 자꾸 푸는데 이게...

미적분 역함수미분법

f(2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f(4)=1이면 g(1)=2잖아요? 근데 왜 h(x)의 역함수가 k(2x)이고 h(1)=0일 때 k(0)=2가 아닌가요.. 왜 k(0)=1/2가 나오죠?? 2x x일 때 1/2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