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

작성일 2016.05.0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대충은 이해하겠는데 그래도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에서 판별식을 이용하는지 적당한 예시를 가지고 설명해주세요.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위치관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부등식의 해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실근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활용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이 d>0면 근이 2개이고 d=0이면 1개 d<0이면 근이0개인걸 알고계시죠? ax^2+bx+c=0의 판별식을 구하는개념을 정확히말하면 함수y=ax^2+bx+c
와 직선 y=0이라는 직선의 관계를 묻는것입니다 y=0은 x축이므로 x축과 만나는부분을 근이라고 합니다.그래서 엄밀히말하면 평소에 쓰는 판별식 d는 이차함수와 y=0의 직선과의관계입니다 d의 여부에 따라서 d가 0보다 크면 근이2개 d가0이면 근이 1개 즉 접하고 d가 0보다 작으면 만나지않죠 이차함수와 직선과의관계는 y=0이라는 직선대신에 다른 직선을 넣은거죠 그러므로 이차함수=직선에서 나오는 판별식에 따라 이차함수가 직선과 접하는지 만나지않는지 알수있습니다.
평소에 아무생각없이풀었던 이차방정식=0의그래프가 이차함수와 y=0인 직선의 관계인것을 안다면 이해가 바로될겁니다 y=이차식 이면 이차'함수'고 0=이차식이면 이차'방정식'인 이유는 y=이차식인 이차함수와 y=0인 직선을 연립한 방정식이기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림그리기가 지금 불가능해서... 그냥 말로 설명해드릴게요


이차함수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죠

1) 안만난다 (교점이 없다)

2) 한 점에서만 만난다 (접한다, 이때 직선은 접선)

3) 서로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때 직선은 할선? 배운지 좀 되서 맞다고 확신을 못하겠네요)


그럼 이차함수의 방정식, 그리고 직선의 방정식

이 두 식을 연립해서 나오는 실수 x값(근 또는 해라고 하죠)이 바로 교점의 x좌표라 할 수 있죠.


그래서 x의 근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 판별식을 쓰는겁니다.


예를들어 y=x^2+1과 y=-x+3를 볼까요 (참고로 x^2는 x의 제곱이라는 의미입니다)


두 식에서 y를 소거하면 x^2+1=-x+3

정리하면 0 = x^2+x-2 = (x+2)(x-1) 입니다.


즉 이 두 그래프는 x=-2와 x=1에서 교점을 가진다는 뜻이고

이는 직선과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서로다른 두 개의 점에서 만난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0 = x^2+x-2 식에서 판별식을 쓰면 D=1-4X(-2)=9 > 0

즉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갖습니다.

이는 아까와 마찬가지로 서로다른 두 개의 점에서 만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x가 가지는 실근이 1개나 0개(없음)다. 그러면 접하거나 아예 안만난다는 거지요


굳이 판별식을 왜쓰냐? 그것은 값을 굳이 안 구해도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인수분해 안되는 식에서 특히 좋습니다. 판별식 D가 양의 값이냐, 0이냐, 음수냐만 따지면 되니까요.


설명이 주절주절 길어졌네요. 이해 잘 안되시면 아래 의견 남겨주세요 :)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

... 그냥 말로 설명해드릴게요 이차함수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죠 1) 안만난다 (교점이 없다) 2) 한 점에서만 만난다 (접한다, 이때 직선은 접선) 3)...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색칠한 부분이 이차함수직선의 y좌표가 같아서 저런 식이 나온다고 하는데... html 여기에 들어가서 '그래프 읽기 (1)'을 보시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학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관계)

... 2.그리고 접한다는 것은 무조건 직선이차함수의 꼭짓점을 지나야 하는건가요? 이차함수직선이 접한다. = 이차함수직선이 한 점에서 만난다. 무조건 꼭짓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