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 자본주의에서 정부실패가 나타나나요?

상업 자본주의에서 정부실패가 나타나나요?

작성일 2023.10.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정 자본주의에서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로 갈 때에는 수정자본주의에서 정부실패가 나타나잖아요, 그러면 상업 자본주의에서 산업 자본주의로 갈 때에도 정부실패가 나타났나요? 아니면 그냥 산업혁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것만이 경제 체제 변화의 이유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부 실패가 나타나는 것은 큰정부를 지향하는 수정자본주의의 문제점입니다.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상업 자본주의에서도 정부실패가 나타났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발전한 자본주의의 초기 형태로, 무역과 금융을 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부가 경제에 대한 개입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정부실패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특정 기업이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장벽을 세우는 경우, 이는 오히려 경쟁을 제한하고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빈곤이나 실업에 대한 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할 경우, 사회 불안과 갈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것은 상업 자본주의에서 산업 자본주의로 넘어가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지만, 정부실패도 경제 체제 변화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경제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정부가 경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따라서, 상업 자본주의에서 산업 자본주의로 넘어가는 데는 정부실패와 산업혁명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상업 자본주의에서 나타난 정부실패의 예입니다.

  • 영국의 경우, 정부가 동인도 회사를 보호하기 위해 경쟁을 제한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는 동인도 회사의 독점으로 이어져 소비자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 프랑스의 경우, 정부가 빈곤층을 구제하기 위한 정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지는 사회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이러한 정부실패는 상업 자본주의의 한계를 드러내었고, 산업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