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정약용에 관해 질문합니다

윤리와 사상 정약용에 관해 질문합니다

작성일 2011.10.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반갑습니다

 

 

문제집을 푸는데

 

'정약용은 사단을 반복적 실천에 의해 형성되는 덕으로 본다'라는 문구가 틀렸다고 친구가 알려줬습니다.

 

 

 

친구가 설명하기를

 

정약용은 인의예지(4덕)과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4단)

 

4덕 4단 모두가 후천적이라고 했습니다.

 

 

후천적인 4단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면 4덕이 형성된다고 설명을 했는데,

 

 

제가 알기론 정약용은 실학자이자 성리학자 인걸로 압니다.

 

성리학에서는 4덕을 통해 4단이 형성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둘 모두가 선천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제가 묻고 싶은 것은

 

1.친구가 설명한 정약용은 4단을 통해 4덕이 형성된다고 하던데 이게 맞는건가요?

  (성리학과는 방향이 반대로 가는 건가요???)

  그리고 이 모두가 후천적인 건가요?

 

 

2.성리학자들은 4덕을 통해 4단이 형성된다고 주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둘 모두가 선천적인 걸로 알고있습니다. 제 생각은 맞는 건가요?

 

 

 

제가 시험에 꼭 필요해서 그런데 고수님들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문제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친구도 땡입니다.

정약용은 4단은 선척적이고 그 4단이 <단시>가 되어 후천적 실천을 통해 4덕을 형성한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맞게 고치기 위해선 정약용은 4덕을 4단을 통해 반복적 실천에 의해 형성되는 덕으로본다.

라고 해야 맞는 문장이 됩니다.

 

성리학은 마음속에는 성과 그 작용인 정이 있어서

성에는 4덕

정에는 4단과 7정이 있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즉 모두 선척적으로 가지고 있다는거죠.

그러니까 여기서 성리학과 정약용의 차이점은 4덕이 선척적이냐 아니냐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약용은 사단을 선척적으로 봤어요. 정약용은 성기호설이라고해서 선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경향인 영지기호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게 사단과 유사한 개념이저. 이것을 실천을 통해 확충해서 사덕을 형성하는 것이고요. 한마디로 선천적인 가능성인 사단을 확충해서 후천적 덕인 사덕에 이른다 정도로 보시면되고요.

반대로 성리학의 경우엔 하늘이 선한 본성인 사덕을 우리마음에 부여했는데 그게 겉으로 드러난게 사단이라고 보았저. 따라서 둘다 선천적인 것이고요

윤리와 사상 정약용에 관해 질문합니다

반갑습니다 문제집을 푸는데 '정약용은 사단을 반복적... 친구가 설명하기를 정약용은 인의예지(4덕)과 측은지심... 알기론 정약용은 실학자이자 성리학자 인걸로 압니다....

윤리와 사상 정약용 질문

... 기호에 관해 아무 의견도 제시하지 않아서 간과하는 거 아닌가요? 정약용의 비판은 이황과 이이가 영지의 기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지 않고, 영지의 기호를 지닌 인간은...

윤리와사상 정약용

... 윤사에서 그부분에 관해 알아야 할것은 1.정약용은 사단은 선천적, 사덕은... 이해되셧나요?^^ 궁금한점 있으시면 얼마든지 1대1 질문 해주시고 채택부탁드립니다~

철학(윤리)도서에 관해 질문합니다...

... 한창 공부할 때이지만, 책을 읽고싶어서요ㅜ_ㅠ 학교에서 윤리와 사상을 배우는데... 정신|정약용 지음|장승희 풀어씀|236쪽 08 자본론, 자본의 감추어진 진실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