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끼전 외재적 관점

장끼전 외재적 관점

작성일 2024.05.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장끼적 외재적 관점 자세허게 알려주세요ㅠ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국지기 샘입니다.

<장끼전>은 꿩을 의인화한 우화 소설로, 까투리의 말을 무시하다가 죽은 장끼와 죽은 뒤 곧바로 개가한 까투리를 통하여 남존 여비와 여성의 개가 금지라는 남성 중심의 윤리를 풍자하고 있습니다.

외재적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에는 표현론(작가), 반영론(사회), 효용론(독자) 등이 있습니다.

*<장끼전>의 사회적 배경-여성 개가 금지 풍속 - 반영론의 관점

조선 시대에는 '열녀불경이부'(열녀는 두 남편을 섬길 수 없다.)라는 유교적 예의를 준수하여 여성의 개가를 금지하는 사회적 풍속이 양반 사회뿐만 아니라 평민층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서 지켜지고 있었습니다. <장끼전>에서는 장끼가 죽기 전에 까투리에게 수절하여 정렬부인이 되기를 요구하는데, 이 유언의 내용에는 여성의 수절을 중시하고 개가를 금지하는 당시의 봉건적 유교 윤리가 나타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전문학 작품질문! (장끼전) 내공유!

ㅋㅋㅋ 안녕하세요~ㅋㅋㅋ 제가 장끼전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요! 궁금한게 잇어서요... 반면에 외재적 관점은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적 관점, 효용론적관점 이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