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언매 질문

국어 문법 언매 질문

작성일 2024.04.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국어 문법 언매 질문 제곧내
해설 자세하게 해주세용 13번 14번이염



#국어 문법 #국어 문법 검사기 #국어 문법 문제집 #국어 문법 정리 #국어 문법 총정리 pdf #국어 문법 문제 #국어 문법의 원리 #국어 문법 공부법 #국어 문법 pdf #국어 문법 문제집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3번의 정답은 2번입니다.

'넓고'에서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나서 '널고'가 된다면,

그 후 '널' 뒤에서 된소리되기가 일어날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넓고'에서 된소리되기가 먼저 일어나 '넓꼬'가 되고, 자음군 단순화로 [널꼬]가 된다고 하면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14번의 정답은 2번입니다.

'갚는[감는]'에는 (1)음절의 끝소리 규칙(2)비음화가 일어나고

'빠지+어→빠져'에는 (1)단모음화(2)반모음화가 일어나고

'찾고[찯꼬]'에는 (1)음절의 끝소리 규칙(2)된소리되기가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 세 단어는 모두 (1)의 현상이 일어나야만 (2)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비음화는 'ㄱㄷㅂ 뒤에 ㄴ이 올 때' 일어나는데

'갚는'은 ㄴ 앞에 'ㄱㄷㅂ' 중 하나가 오지 않았으므로 그대로는 비음화가 일어날 수 없고

먼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나 '갑는'이 되어야 비음화가 일어나 [감는]이 될 수 있습니다.

국어 문법 언매 질문!!

은/는 이 붙었는데 어떨땐 주어고 어떨땐 목적어 인가요 이유 좀 알려주세요 어떤 성분이 주어인지 목적어인지는 보조사와 전혀 상관없고 서술어의 의미구조나 텍스트의...

언매(국어 문법) 질문

... 'ㄴ다'가 2인칭(네, 그듸) 의문형 종결이미인데 왜왜 'ㄴ.ㄴ다'의 형태로 오는가에 대한 질문인 듯합니다. 2. -ㄴ.-는 중세국어에서 현재시제 선어말어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가...

언매 국어문법 질문

품사분류에서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뉘는데 가변어에 서술격 조사가 포함되잖아요 근데 서술격조사는 조사의 하위개념 아닌가요 조사는 불변어로 분류되는데 왜그런건가요?...

언매 국어문법 질문

벽이 손을 미는 느낌이 든다 에서 "미는"을 관형어라고 해도 될까요?? 벽이 손을 미는 느낌이 든다. 벽이(주어) / 손을(목적어) / 미는 (관형어) / 느낌이(주어) / 든다(서술어) 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