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 질문입니다

사미인곡 질문입니다

작성일 2023.10.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문 1번. 사미인곡에서 연지분으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잖아요, 근데 거기서 연국의 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연지분이라는 소재를 썼나요?

질문 2번. 임과 화자의 관계가 신선세계의 옥황상제와 백성의 관계에 대응될 수 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1번. 사미인곡에서 연지분으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잖아요, 근데 거기서 연군의 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연지분이라는 소재를 썼나요?

===> 예, 맞습니다.

<연지분(화장품)이 있다만은 누구를 위하여 고이(화장)할까>라는 설의적 표현으로 화장품은 있지만 나를 단장해서 보여줄 님(임금)이 없으니 화장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므로 <님이 있다면 연지분으로 예쁘게 단장(화장)할 것이다>라는 역의 의미이지요. 그러니 <연지분>은 님에 대한 나의 정성이나 사랑을 드러내는 소재가 되는 것입니다.

질문 2번. 임과 화자의 관계가 신선세계의 옥황상제와 백성의 관계에 대응될 수 있나요?

==>

<사미인곡>에서 엊그제는 님을 모셔 광한전에 올라더니 그 동안 어찌하여 하계에 내려와>에서 <하계에 내려와>라는 표현을 통해 시적화자가 천상세계에서 지상세계로 내려 왔음을 알 수 있겠지요. 따라서 <광한젼>은 하늘 나라에 있는 궁궐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임금이 계신 곳>이고요 자신이 있는 <하계>는 인간세상인 지상세계로 실제로는 작가가 귀양온 <창평>이랍니다. 도교에서는 하늘나라를 <상계>라고 하고요 지상세계, 즉 인간들이 사는 세계를 <하계>라고 한답니다.

또한

<속미인곡> 서사 부분에서 <천상 백옥경을 어찌하여 이별하고~>라는 대목이 나오지요. 천상 백옥경은 옥황상제가 사는 하늘 나라입니다. 즉 <도교>에서 나오는 소재이지요. 신선사상은 도교적 관념이랍니다. <선녀>는 도교에서 말하는 <하늘 나라의 여자>이고 <선남>은 <하늘 나라의 남자>를 지칭한답니다. 그리고 <옥황>은 <상제>의 이름으로 보면되고요 <상제>는 <하느님>의 한자어입니다. 하늘에 있는 황제라는 뜻이지요.

따라서 속미인곡에 나오는 두 명의 인물은 자신들을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에 빗대고 있답니다. 따라서 <옥황상제>는 <임금>을 상징하고 <화자>는 백성으로 봐도 되겠지만 백성보다는 <신하=관료>로 해석하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즉 이 작품은 교술가사로 교술문학은 작가의 체험을 직접 서술한다는 점에서 작가 자신이 곧 화자 자신이 된답니다. 따라서 이 작품의 작가인 <정철>이 귀양와서 님에대한 그리움과 애정을 <옥황상제>와 <선녀>관계에 빗대어 노래한 작품으로 분석한답니다.

임과 화자와의 관계는 <옥황상제 =임금>으로 <작가 = 화자 = 갑녀 = 신하=관료>로 분석하는 것이 좋겠네요

사미인곡 질문입니다

질문 1번. 사미인곡에서 연지분으로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잖아요, 근데 거기서 연국의 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연지분이라는 소재를 썼나요? 질문 2번. 임과...

사미인곡 질문

사미인곡 질문 1. 자연물을 주관적으로 변용한 시어 2개는 뭔가요? 2. 시적 화자는 천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온 존재이다 (O/X) 3.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여 비극성을...

사미인곡 질문

사미인곡에서 작가의 개입이나 목소리가 나오는 부분은 어느부분 인가요?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아도 괜첞아요!) 사미인곡에서 작가의 개입이나 목소리가 나오는...

사미인곡 질문

사미인곡에서 과거와 현재를 대조한 부분이 어딨어요? 사미인곡에서 과거와 현재를 대조한 부분이 어딨어요? * 평생애 원하요데 한데 녜자 아얏더니, 늘거야 므스 일로 외오...

사미인곡질문

사미인곡에 나오는 겨울의 긴 밤이 부정적 시간인가요 긍정적 시간인가요?? 사미인곡에 나오는 겨울의 긴 밤이 부정적 시간인가요 긍정적 시간인가요? -사미인곡 전체는 '서사...

사미인곡 질문

사미인곡 죽어서 범나비가 되리라 했으니까 죽어서 만나니까(?)낙관적인거 아닌가요? 비관적입니다. 사미인곡화자는 4계절 내내 님을기다립니다. 님은소식조차없고ᆢ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