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국어 슬픔이 기쁨에게 질문

고1 국어 슬픔이 기쁨에게 질문

작성일 2023.10.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일주일 뒤 국어 중간고사 보는데 슬픔이 기쁨에게라는 시는 "시적화자=나"  잖아요
선생님께서 시험 보기전에 힌트를 주셨는데 ''시적화자=나'' 가 아닌 부분을 찾으래요ㅜㅜ
시적화자가=나 아닌 구절 어딨나요 저번에 3등급 맞아서 1등급으로 올려야 하는데ㅠㅠ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용 ㅜㅠㅠ


#고1 국어 교과서 #고1 국어 #고1 국어 내신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모의고사 #고1 국어 교과서 pdf #고1 국어 문제집 #고1 국어 자습서 #고1 국어 문제집 pdf #고1 국어 문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얼마전에도 질문을 본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답변이 나오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질문하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묻는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답변을 해 줄 수가 없습니다

<선생님께서 시험 보기전에 힌트를 주셨는데 ''시적화자=나'' 가 아닌 부분을 찾으래요ㅜㅜ

시적화자가=나 아닌 구절 어딨나요>

<시적화자가=나 아닌 구절 어딨나요>라는 질문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또한 선생님께서 시적화자가 아닌 부분을 찾으라고 하신 것 같은데, 선생님이 잘못 이야기했거나 아니면 학생이 잘못 들은 것이겠지요.

<시적화자(나)가 아닌 구절>이라는 서술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문장입니다. 선생님께서 힌트를 주신 내용을 잘못 이해했거나 선생님이 뭔가 화자의 개념을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시적화자란 시속에서 이야기를 전달(서술)해 주는 사람을 말합니다.소설에 빗대어 이야기하면 <서술자>와 같은 개념입니다. 또한 시적화자는 작가가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창조된 허구적 인물입니다. 시에도 소설과 같이 시점이 존재합니다. 물론 고등교과과정에서는 지도하지 않습니다. 시의 시점은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 무인칭, 탈인칭이라는 시점을 갖습니다만 고등교과에서는 시적화자가 내부에 존재하느냐 아니면 외부에 본재하는냐, 즉 일인칭이냐 3인칭이냐만 구별하는 문제가 간혹 나옵니다.

즉 시적 표면에 <나><우리>라는 일인칭 대명사가 나오면 무조건 시적 화자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1인칭 시점의 시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나,우리>라는 대명사가 나오지 않고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되겠지만 현행 교과과정에서 생략된 것까지 질문을 던지지 않습니다.

예를들언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때에는>이라고 했을 경우 <나>라는 일인칭 대명사가 표면에 나오므로 화자가 표면에 존재합니다. 그러나 <엄마냐 누나야 강변살자>라는 작품에서는 일인칭 대명사 <나>가 표면에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적화자가 없는 것이 아니라 생략되어 있는 것입니다. 흔히들 샘들이나 학생들은 <나><우리>가 있어야 시적화자가 표면에 등장한다고 하지만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는 정의이지요. <나><우리>라는 일인칭 대명사가 없어도 시적 화자가 표면에 드러나는 일인칭 시점의 시는 많습니다. (이 부분은 이해가 안 가면 패스하세요)

그럼 <슬픔이 기쁨에게>를 살펴보지요. 이 작품은 시적화자가 <나>로 명시되어 작품 속에 이야기를 서술하는 일인칭 시점의 시입니다. 그리고 시적화자인 <나>가 시적대상인 <너>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대화체> 구성으로 분석합니다. 내용적으로는 <너>는 <부정형 인물>로서 현대사회의 비정한 인간형의 표본으로 화자는 너를 비판하고 너를 바른 길로 함께 걸어가겠다는 표을 통해 < 이기적인 현대사회의 삶>을 비판하는 작품입니다.

<위에 질문한 내용이 모호하나 추측해서 설명드릴께요 >

나는 이제 너에게도 슬픔을 주겠다.

사랑보다 소중한 슬픔을 주겠다. -----> 이 부분 시적화자의 태도를 직접 제시하는 부분입니다.

겨울밤 거리에서 귤 몇 개 놓고

살아온 추위와 떨고 있는 할머니에게

귤값을 깎으면서 기뻐하던 너를 위하여 ===> 아마도 이 부분을 묻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즉 시적대상의 부정적 삶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부분을 찾으라는 의미인 것 같네요.

나는 슬픔의 평등한 얼굴을 보여 주겠다. ----> 여기도 시적화자의 태도가 직접 제시됩니다.

내가 어둠 속에서 너를 부를 때

단 한 번도 평등하게 웃어 주질 않은,

가마니에 덮인 동사자가 다시 얼어 죽을 때

가마니 한 장조차 덮어 주지 않은

무관심한 너의 사랑을 위해 ===> 아마도 이 부분을 묻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즉 시적대상의 부정적 삶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부분을 찾으라는 의미인 것 같네요.

흘릴 줄 모르는 너의 눈물을 위해

나는 이제 너에게도 기다림을 주겠다.

이 세상에 내리던 함박눈을 멈추겠다.

보리밭에 내리던 봄눈들을 데리고

추워 떠는 사람들의 슬픔에게 다녀와서

눈 그친 눈길을 너와 함께 걷겠다.

슬픔의 힘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기다림의 슬픔까지 걸어가겠다. ===> 시적화자의 태도가 제시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질문 자체가 모호하나 <시적화자=나'' 가 아닌 부분을 찾으래요>라는 질문을 추측하면 아마도 시적화자의 의지나 태도가 드러난 부분이 아니라 <시적대상>인 <너>의 부정적인, 즉 이기적인 너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부분을 찾으라는 질문인 것 같네요. 따라서 위에 <빨간색> 부분이 너의 이기적 삶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부분이랍니다. 이 부분을 찾으라는 것 같네요.

그리고 ㅡ질문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표현입니다. 시적 화자가 <나>가 아닌 부분을 찾으라는 말 자체가 성립되는 표현이 아닙니다. 아마도 선생님 말을 잘못 이해하고 들어서 질문하신 것 같습니다.

고1 국어 슬픔이 기쁨에게 보고서쓰기

... 고1 국어 수업에서 '슬픔이 기쁨에게'라는 시를 보고서로 쓰려고 하는데, 시의 내용과 의미, 메시지 해석 등을 써도 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또는 이를 쓰기 위해 어떻게...

고1 국어 슬픔이 기쁨에게

1.슬픔이 기쁨에게슬픔과 고통, 기쁨과 희망을 대비하여 주제를 부각하나요? 2.화자는 너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지는 않고 비판적이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건가요? 3....

고1 국어 현대시 슬픔이 기쁨에게

... 답지엔 답만 나와있고 해설이 없어요 고1 국어 현대시 슬픔이 기쁨에게 이게 답이 5번이라는데 왜 5번이에용?? 맞는거 아닌가용? -착상만 잘 하면 비교적 쉬운 문제인데...

내신국어질문 슬픔이 기쁨에게

내일 고2중간고사치는데 슬픔이 기쁨에게 에서 “슬픔의 평등한 얼굴” “단 한 번도 평등하게 웃어 주질 않은“ 여기서 평등이 어떤의미이고 그래서 이 시구들이 어떤 의미를...

국어 슬픔이기쁨에게질문

... 속성 슬픔 기쁨 • ‘나’, 화자 • 이타적인 존재 • 소외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을 지님. ↔ • ‘너’, 청자 • 이기적인 존재 • 사회적 약자에게...

고1 국어 슬픔이 기쁨에게

... 보통 슬픔을 부정적인 감정, 기쁨을 긍정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시에서는 슬픔을 긍정적인 감정이라고 표현했기 때문에 우리가 알던 거와는 다르니까 낯설게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