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작성일 2023.03.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참 오래 오래, 노인의 자리맡에 밭은 기침 소리도 없을 양이면 벽 속에서 겨울 귀뚜라미는 울지요.떼를 지어 웁니다,벽이 무너지라고 웁니다.

문제집에서 박용래의 <월훈>이라는 시에서 나오는 귀뚜라미는 객관적 상관물이면서 동시에 감정 이입이라는데 제 생각에는 귀뚜라미가 객관적 상관물에만 해당된다고 생각하는데 어디를 잘못 판단해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문제집에 시적화자:외딴 집에 홀로 사는 노인을 관찰하는 인물(노인의 절절한 외로움과 고독을 알고 있는 사람)
대상:노인(이건 확실하지 않아요. 문제잡에 따로 나오지 않아요)

따라서 노인(대상)의 감정을 귀뚜라미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감정이입은 시적 화자의 감정을 이입하여 대상이 화자의 감정과 같은 감정을 느끼고 생각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므로 귀뚜라미가 감정이입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게 잘못된 걸까요?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의 차이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월훈>에서 <귀뚜라미>를 감정이입물로 분석하는 것은 잘못된 분석입니다. 시중 문제집에 일부 오류가 있습니다. 만약 감정이입물이라면 누구의 감정이입물인가를 먼저 확인해야 됩니다. 먼저 시적 화자는 표면에 등장하지 않으므로 시적화자의 감정이입물로 분석할 수 없답니다. 둘째 <노인>의 감정을 이입한 것으로 볼 것인가? 만약 <노인>의 감정이입물이라면 <노인>의 감정이 <슬픔>이라는 상화에 있음을 파악해야 됩니다. 귀뚜라미의 감정적 표현과 노인의 정서적 상황이 일치해야 감정을 이입한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월훈>에서 <노인>이 <슬프다>라고 감상할 근거가 없습니다. 따라서 <귀뚜라미>는 <노인>의 감정을 이입한 대상으로 볼 수 없답니다. 시중 문제집에 나와 있는 문제나 해설이 잘못된 것입니다. 월훈에서 <귀뚜라미가 운다>는 단순 배경적 기능을 하는 표현이고 <운다>은 보편적 관습에 의한 표현이지 감정을 드러내는 표현으로 볼 수 없습니다.

또한 시적 화자는 작품 외부에 존재하는 3인칭 시점의 시입니다. 시적 화자가 <노인>을 <외롭다, 고독하다, 슬프다>로 인식한 근거가 작품속에서 확인할 수 없답니다. 그 문제지의 출제자 개인적 감상일 뿐입니다. 즉 <외딴 집에 노인이 홀로~>라는 표현을 가지고만 시적화자가 노인을 외롭다고 고독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볼 수 없답니다. 이 작품을 읽고 감상한 특정인의 개인적 감상일뿐이며 그 개인적 감상을 가지고 해설을 붙이고 문제를 만든 것입니다. 시적화자가 노인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느냐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화자는 객관적 입장에서 상황을 진술하고 있을 뿐입니다. 노인이 외롭다, 고독하다, 슬프다라는 것은 비약적인 감상이랍니다. 작품 내적 요소에 그렇게 해석하고 감상할 근거가 없답니다.

끝으로 만약 감정입물이라고 한다면 감정을 빗댄, 즉 이입한 대상은 <객관적 상관물>이 되는 것입니다. 아래 객관적 상관물에 대해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시고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적 화자의 분신물이라고 했을 때에는 감정이나 태도를 빗댄 대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을 다른 대상으로 빗대어 표현하는 것입니다. 좁은 의미에서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객관적 상관물 안에 시적화자의 분신물이 포함되고 감정이입된 대상도 포함하기 때문에 시적화자의 분신물과 객관적 상관물은 일치하는 표현은 아닙니다.(뒤에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보충설명 추가하니 살펴보시고 공부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예를 직접 보면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념적 설명은 잘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지칭 : 대상을 정의한 표현 / 호칭 : 대상을 부르는 표현>

1. 홍랑의 시조 - 묏버들 = 객관적 상관물 중에서 시적화자의 분신물이라고 합니다.<지칭적 표현>

묏버들 갈희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에

자시는 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 화자 자신은 묏버들을 자기 자신과 동일시하는 대상으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 화자가 묏버들이고 묏버들이 화자이다>

2. 윤동주의 <자화상> - <사나이>는 객관적 상관물로 중에서 화자 자신을 다르게 호칭한 표현으로 객관화된 자아라고 합니다.<호칭을 달리 표현>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하략>

위의 작품에서 우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사나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자신을 다른 대상으로 바꾸어 호칭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객관화된 자아(화자)><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표현합니다. <시적화자의 분신물>이라고 묻지 않을 것입니다.

3. 김소월 <초혼 >

(상략)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 사슴은 화자의 감정만 빗댄 대상으로 객관적 상관물이며 감정이입(감정투영)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시적화자의 분신물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 지칭도 호칭도 아님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 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화자 자신이 <돌>이 된다고 했으므로 <돌>은 화자의 객관적 상관물이며 화자 자신과 동일시한 대상이므로 <시적화자의 분신물>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 지칭적 표현

시적화자의 분신물인가? 객관적 상관물인가? 감정 이입물인가?로 질문을 줄 때 애매모호하게 질문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시적화자의 분신물은 그냥 화자를 객관화한 표현에 포함해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세밀하게 구별한다면 차이는 있지만 굳이 세밀하게 분석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감정이입물은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정 이입물도 객관적 상관물에 포함되는 것입니다만 <정서>만 빗댄 대상이라는 점 중요하며 자주 출제됩니다. 따라서 <화자의 객관적 상관물>에서 화자의 정서를 빗댄 대상인 경우를 한정해서 <감정 이입물>이라고 정리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1. 화자를 다르게 지칭하고 있다 = 화자의 분신물

2. 화자를 다르게 호칭하고 있다 = 객관화된 화자

3. 화자를 다르게 호칭, 지칭한 것이 아니라 정서를 빗댄 대상 = 감정이입물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관점에 따라 분석자에 따라 각기 다른 해석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능에서는 모호한 표현을 절대 사용하지 않고 정화된 용어를 주고 물어보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그냥 <객관적 상관물>에 해당하는 대상을 찾으시면 됩니다.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 - 사슴은 화자의 감정만 빗댄 대상으로 객관적 상관물이며 감정이입(감정투영)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시적화자의 분신물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 지칭도 호칭도 아님 설움에...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질문

...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질문 1) '저 물은 내 근심을 머금은 듯, 저 풀은 내 눈물을 뿌리는 듯'이라는 표현에서 물과 풀은 객관적 상관물일뿐, 감정이입의 소재는 아닌가요?...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구분

... 제기된 객관적 상관물감정이입과 매우 유사하여 많은 학생들이 혼동하는 개념입니다. 이 둘을 엄밀히 구별하자면 객관적 상관물은 감정을 표현하는데 동원된 사물인 반면...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이지만 감정이입은 아닌 예시는 뭐가 있을까요..? 최대한 고전시가에서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객관적 상관물이지만 감정이입은 아닌 예시는 뭐가...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 시에서 감정이입물은 객관적 상관물입니다.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 김소월 <초혼 > (상략)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 [네이버 지식백과] 감정이입객관적 상관물의 차이?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2013. 9. 15., 강영준, 아방) 객관적 상관물 : 감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주는...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 -그렇습니다. 위의 설명은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면 다음을 참조하세요. * 5.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 네이버 카페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