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념어 색채의 대비 질문

문학개념어 색채의 대비 질문

작성일 2023.03.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답이1번인데 꽃,열매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 아닌가요? 또 숲과 나무는 초록색을 나타내는 단어같은데 왜 색채의 대비가 아닌가요? 색채의 대비는 두 개 이상의 색깔이 나오면 된다고 하는데 전 꽃 열매는 빨강, 숲 나무는 초록 해서 색채의 대비 같아요. 또 위 시에서 색채의 대비가 없다면 노골적으로 녹수,청산,홍진 등과 같이 이름에 색을 나타내는 한자어가 있어야만 색채의 대비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색채 대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첫째, 두 개 이상의 색채어나 색채 이미지가 있어야 하고, 둘째 두 색채를 통한 차이점, 즉 대조적 차이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색채어가 두 개 이상 나온다고 색채의 대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미술에서 말하는 색채 대비, 즉 보색 대비와 같은 색상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색채를 통한 의미나 모양의 차이가 드러나야 되지요. 또한 <나무, 꽃, 열매, 숲, 들판>이라는 시어 자체에는 <색채>가 없답니다. <푸른 나무>< 검은 나무><흰 나무>등으로 수식 관계를 통해 색채가 드러나는 것이지요. 또는 <꽃은 붉다><꽃은 하얗다>와 같이 서술 관계를 통해 색채가 형상화되는 것이지. 꽃이나 나무 자체에는 색채가 특정되지 않습니다.

만약 <눈>이라는 시어가 색채를 드러내는 이미지로 사용되었다면 <색채 이미지>라고 하고 <흰색>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고 <눈>이라는 시어가 계절적 이미지로 사용되면 <계절적 이미지>가 되는 것입니다. <눈보다 더 하얀 이빨>이라고 사용하면 <눈>은 색채를 드러내는 이미지로 사용되는 것으로 <색채어>가 아니라 <색채 이미지>가 되는 것입니다. <가을이 가고 온 세상이 눈으로 덮일 때>라고 했을 때, <눈>은 색채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계절>을 드러내는 것이므로 <계절적 이미지>가 되는 것이지 <색채>를 드러내는 것은 아니랍니다.

<하얀 꽃, 노란 꽃 꽃밭 가득 피어도~>에서 색채어가 사용되었다고 대비가 성립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하얀 꽃은 화사한데 노란 꽃은 시들었네>라고 했을 때, <화사하다>를 생명력이 넘치고 아름답다로 본다면 노란꽃은 시들어 있으니 차이를 드러내고 있으므로 대비를 이룬다고 할 수 있겠지요. 또는 <온 세상에 하얀 눈이 쌓였지만 이제 올 봄은 푸르름으로 가득차리>라고 했다면 <하얀과 푸름>은 <겨울과 봄>이라는 계절적 차이를 드러내므로 색채가 대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답니다.

<홍진>은 <십장홍진>이란 말로써 <붉은 먼지로 가득찬 세상>을 뜻합니다. 여기서 <붉다>는 상징적 색채이미지로 인간의 욕망을 상징하는 색채 이미지입니다. 즉 홍진은 인간세상, 즉 속세를 의미한답니다. 그러나 속세와 대비되는 관념적 공간으로 우리 문학에서는 <자연>을 소재로 형상화 했답니다. <자연>이란 말은 19세기에 와서 사용된 단어로 우리가 공부하는 고전문학에서는 <자연>이라는 단어를 확인할 수 없지요. 따라서 우리 선조들은 자연의 의미를 <강호, 산수, 벽계수=녹수, 청산>과 같은 자연물을 통해 대유적으로 표현했고요 또는 자연의 대표적 색채를 통해 <푸르름>으로 상징화해서 표현하기도 했답니다. 그래서 <붉음>과 대비되는 색채로 <푸름>을 사용했지요.

그렇다고 해서 모든 작품에서 <붉음>과 <푸름>이 대비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속세의 이미지로 <붉음>을 사용할 때 <푸름>은 속세와 대비되는 관점적 세계인 <자연>의 색채 이미지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색채어가 대비를 이루는지 대응을 이루는지는 작품의 내재적 관점에서 분석해야 되는 것이지 획일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아래 <율포의 기억>에서 <푸름>과 <검은>은 색채 대비를 이루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문맥상 어머니가 나를 바다로 데려간 것은 <푸른 물>을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라 <검은 뻘밭>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죠. 따라서 <푸른 물>과 <검은 뻘밭>은 의미지 대조성을 갖으므로 색채도 대조성을 갖는 것입니다. 시에서 색채 대비가 이루지는 지 안 이루어지는지는 문맥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지 색채어 자체만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아닙니다.

율포의 기억 - 문정희

일찍이 어머니가 나를 바다에 데려간 것은

소금기 많은 푸른 물을 보여 주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바다가 뿌리뽑혀 밀려나간 후

꿈틀거리는 검은 뻘밭 때문이었다

뻘밭에 위험을 무릅쓰고 퍼덕거리는 것들

숨 쉬고 사는 것들의 힘을 보여 주고 싶었던 거다

먹이를 건지기 위해서는

사람들은 왜 무릎을 꺾는 것일까

생명이 사는 곳은 왜 저토록 쓸쓸한 맨살일까

일찍이 어머니가 나를 바다에 데려간 것은

저 무위한 해조음을 들려주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물위에 집을 짓는 새들과

각혈하듯 노을을 내뿜는 포구를 배경으로

성자처럼 뻘밭에 고개를 숙이고

먹이를 건지는

슬프고 경건한 손을 보여 주기 위해서였다.

문학개념어 색채의 대비 질문

... 상징하는 색채 이미지입니다. 즉 홍진은 인간세상, 즉 속세를 의미한답니다. 그러나 속세와 대비되는 관념적 공간으로 우리 문학에서는 <자연>을 소재로 형상화 했답니다....

문학 개념어 정리

... 색채의 대비를 통해 간접인용을 활용하여 표면에 드러난 화자 - 언어의기술2에 나오는 이해황쌤이 정리하라고 한 문학 개념어 입니다. 그래서 정리할려고 인터넷 검색 몇번...

문학색채 대비 질문

... 예를 들어 봄눈 오는 밤에서, 밤은 깜깜하고 눈은 하얘서 색채 대비인가요? 국어에 대해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 질문을 달아주세요 국어 전공...

수능 문학 개념어 질문

수능 문학 개념어 질문 문학에서 회의, 낙천적 태도 등 이런 단어들 개념어들 정리된 책... 동시 대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타 문제집 대비 최다 문학작품 수록 및 문학...

색채대비 질문

눈 위에 피가 떨어진다 라는 문장이 문학에서 색채대비가 될 수 있나요? 된다면 색채어가... 추가로 궁금하신 게 있으시다면 추가질문해주세요. 채택하시거나 채택+좋아요...

언정보,나쁜언어,문학 개념어와 논리적...

질문1) 언정보,나쁜언어,문학 개념어와 논리적 해석,수능영어 독해기술 이러한 공략법?... 독서활동하는 게 몇년째 확장되어가는 수시전형에 대비하는 것에 대비해서 1000000000배...

대조 대비

... 우리가 문학의 시를 배울 때 매우 자주 등장하는... 색채의 대비를 활용하여 시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보면 개념어 학습에서 많이 등장하고 있으니 잘 파악하시는데...

고2 정시대비 공부 질문..

... 풀고 문학개념어라는 인강 듣고 있습니다 현재 계획은 수학은 그냥 쭉 수1 수2 확통... 내신대비필살기를 진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1 2022년에 일클취클 들으면...

수능 국어영역 문학 기출문제집...

... 수능 대비 자이스토리 수능 국어 문학 실전 추천드려요.... 문학 독해력을 기르려면 다양한 어휘 개념어를 알고... 추가로 국어 실모에 대한 질문도 하셨는데, 실모는 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