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참회록 - 고등 국어

윤동주 참회록 - 고등 국어

작성일 2022.04.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윤동주 참회록에서 의문형 진술을 반복 적으로 사용했나요??


#윤동주 참회록 #윤동주 참회록 해설 #윤동주 참회록 주제 #윤동주 참회록 시 #윤동주 참회록 창작 배경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윤동주 참회록 - 고등 국어

윤동주 참회록에서 의문형 진술을 반복 적으로 사용했나요?

아닙니다.

참회록은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 내 얼굴이 남아있는 것은 /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 이다지도 욕될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한다. 거울에 녹이 꼈다면 표면은 거칠어졌고, 제대로 반사되지 않을 것임이 뻔하다. ‘나’는 실제로는 비치지 않는 거울 속에 자신의 얼굴이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얼굴이 거울에 남아있으며, 왕조의 유물이고, 욕되다는 것은 ‘나’만의 생각이다. 다른 사람들은 녹이 슨 거울에서 화자의 얼굴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화자는 어떠한 이유로 자신을 혐오하며 반감을 가진다.

2연에서 화자는 ‘참회’를 적으며, ‘만 이십사 년 일 개월을 /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왔던가’라고 한다. 여기서 화자는 자신의 과거를 전부 부정한다. 자신이 제대로 걸어오지 못했음을, 지나온 삶을 전부 반성한다. 하지만 이어지는 3연에서 곧바로, 2연에서의 참회를 ‘부끄러운 고백’이라 일컫는다. 미래에 다가올 ‘그 어느 즐거운 날’에, ‘그때 그 젊은 나이에 /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하고 참회한다고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현재 화자가 어떤 절망적인 상황에 빠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스로 자신을 욕되고, 효력을 잃어 쓸모가 없어졌다-즉, 유물이다-고 생각하며, 지나온 시간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을 보니 말이다. 하지만 동시에 화자는, 시간이 지난 후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는 지금의 감정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지나온 삶을 전부 부정하는 것은 ‘부끄런 고백’일 뿐이었다고 말이다.

이제 4연에서 화자는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고 한다. 녹슨 거울이 겨우 손으로 닦는다고 깨끗하게 닦일 리 없다. 녹이 슨 것은 산화작용이며, 녹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어떤 화학적 물질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화자가 하고 싶은 것은 실질적인 녹 제거가 아닐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자신의 마음을 닦고, 자아 성찰을 하는 것을 거울을 닦는 행위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 연에서는 그렇게 한다면 ‘거울 속’에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나타난다고 말한다. 처음에 거울에 비쳤던 것은 부정적인 것으로 형상화된 내 얼굴이다. 하지만 거울을, 즉 마음을 닦은 후에는 단지 고난을 겪을 뿐인 ‘슬픈 사람’으로 보이게 된다. 내가 잘못한 게 아니라, 단지 그때 나는 힘든 시간을 겪었을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때 화자는 비로소 과거의 자신을 안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언어영역 공부

... 내공 많이많이 전 고등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입니다. 막막한 심정 이해합니다. 시간은... B 반성적 태도 윤동주의 <참회록> 나는 나의 참회(懺悔)의 글을 한 줄에 주리자. ---- 만...

포항대동고등학교 배치고사

배치고사범위가 이렇게 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3국어], [고등국어(상)(하)]에 있는내용은... 교목/윤동주 참회록/서정주 견우의 노래/김수영 사령 <현대소설> 현진건 운수좋은 날...

고2문학에대해

안녕하세요 교과서 문학책 처음에보면 서시 윤동주... 이 때 고민해야 할 것은 국정교과서인 고등국어... (3) 참회록(3) 청노루(3) 초혼(3) 푸른 하늘을(3) 피아노(3) 휴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