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칭 관찰자 시점 vs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vs 1인칭 주인공 시점

작성일 2021.04.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는 서술자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서 일기처럼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서 독자에게 친근감을 주잖아요 근데 1인칭 관찰자 시점도 주변에 있는 이야기들을 관찰해서 말하는건데 둘이 무슨 차이인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예시 #1인칭 관찰자 시점 특징 #1인칭 관찰자 시점 효과 #1인칭 관찰자 #1인칭 관찰자 시점 객관적 #1인칭 관찰자 주인공 차이 #1인칭 관찰자 3인칭 관찰자 #1인칭 관찰자 시점 작품 #1인칭 관찰자 시점 주관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윗분이 잘못된 답변을 단 것 같아서 남깁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과 1인칭 관찰자 시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작품 전개에 있어서 중심 사건과 관련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전통적으로 소설은 갈등의 문학이었고 갈등의 정도에 따라서 소설의 전개 방식에 구분이 생깁니다. 중1 때 배우는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이 그것입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은 말 그대로 자신의 주인공이 되어 중심 사건과 갈등의 축에 있지만 1인칭 관찰자 시점은 서술자가 갈등의 중심 축에 없습니다.

윗분의 말대로 감정이 드러나는지에 따라 구별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1인칭 주인공이든 관찰자든 감정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죠.

1인칭 관찰자 시점의 대표적인 작품은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정도인데, 이 작품에서 갈등의 중심축은 사랑 손님과 어머니이며 서술자인 옥희는 갈등의 중심 축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그럼에도 '옥희'의 내면 심리 서술은 잘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등장 인물의 감정 표현 유무로 나누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1인칭 관찰자 시점 vs 1인칭 주인공 시점

소설을 쓰는데 서술자가 다른 인물을 관찰도 하고 서술자가 자신의 생각도 서술을 한다면 1인칭 관찰자 시점인가요 1인칭 주인공 시점인가요? 스토리 전개가 상대방을...

1인칭 주인공 시점이랑 1인칭 관찰자

1인칭 주인공 시점이랑 1인칭 관찰자 시점이 구분이 안 돼요 ‘동백꽃’에서 주인공은... 서술 < 시점 이해하기 - 보충설명 > 1. 일인칭 시점은 이야기 전달자인 서술자가 사건...

1인칭관찰자시점. 1인칭주인공시점.

1인칭관찰자시점. 1인칭주인공시점. 등등 무슨무슨 시점 ㅈㄴ많잖아요 그거 종류별로 알려주시고 각각 뭘 의미 하는지 알려주세요..❤️ 1인칭 주인공 시점-서술자가...

1인칭주인공시점1인칭관찰자시점의...

1인칭 주인공 시점1인칭 관찰자 시점이 헷갈립니다. 예시를 글로 써주세요 ㅠㅠ 1인칭 주인공 시점 예시: 나는 오늘도 학원에 간다.. 참으로 씁쓸하다.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vs 관찰자 시점

... 묘사할 수 있는 사람은 없죠) 그리고 기존의 작품속 화자는 초점화자(단수초점)가 되겠네요. 1인칭 관찰자시점은 잘 알려진 우리나라 작품 자체가 얼마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급함)1인칭 관찰자 시점 vs 1인칭...

... 있ㄴ는데 관찰자 시점 아닌가요?? 설명좀해주세요ㅠㅠ급해요 1인칭 주인공시점입니다. 두 명의 서술자인 1과 0이 번갈아 가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형식의...

1인칭주인공시점소설,1인칭관찰자시점...

... 3인칭관찰자시점소설 대충구분방법이랑 대표적인소설2개씩만갈켜주센 1나라도빠짐내공없음 1. 1인칭 주인공 시점 주인공인 '나'가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