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의 구성요소중 언어적 맥락이 정확

담화의 구성요소중 언어적 맥락이 정확

작성일 2020.07.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담화의 구성요소중 언어적 맥락이 정확히 뭔가요.. 예시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 담화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 상황에서 나온 말을 보세요.

두 상황에서 똑같이 “너밖에 없다.”라는 말이 나왔어요. 하지만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너밖에 없다.”의 의미가 서로 다르지요. 왼쪽 그림에서는 “너밖에 없다.”라는 말이 친구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말인데, 오른쪽 그림에서는 너말고 다른 사람은 없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어요.

맥락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오해가 생길 수도 있고, 의미 해석이 어려울 수도 있다.

위의 두 문자 메시지에는 똑같이 ‘영화 어때?’라는 문장이 쓰였어요. 그러나 왼쪽은 영화를 같이 보러 가자고 제안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오른쪽은 영화가 재미있었는지 물어보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이처럼 발화나 문장은 모두 맥락과 함께 담화를 이루고,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담화가 만들어져요.

담화 談話

담(談) 말 | 화(話) 말 → 말, 이야기

하나 이상의 발화 또는 문장이 맥락과 어우러져 이루어진 단위

‘담화’라는 용어의 쓰임

담화는 발화로 이루어졌느냐 문장으로 이루어졌느냐에 따라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로 나뉘어요. 일반적으로 발화로 이루어진 ‘구어 담화’를 그냥 ‘담화’라고 부르고,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어 담화’를 ‘글’이라고 불러요. '담화’라는 용어의 쓰임도 맥락을 고려해서 사용해야겠지요?

4. 맥락이라고 다 같은 맥락이 아니다

담화의 의미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맥락은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어요. 상황 맥락은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맥락이에요. 상황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는 담화의 참여자, 담화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장소, 담화의 의도와 목적 등이 있어요.

상황 맥락

담화나 글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관련되는 요인. 말하는 이, 듣는 이, 시간과 장소, 의도와 목적 등이 이에 해당함.

“밥이 많은데요.”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황 맥락을 고려해야 해요. 아침에 남편이 밥이 많다고 하는 것은 자기가 먹기에 밥이 너무 많다는 것을 의미하죠. 따라서 여기에서의“밥이 많은데요. ”라는 발화는 밥을 덜어야겠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반면에 저녁에 아내가 밥이 많다고 하는 것은 아침에 해 놓은 밥이 아직도 많이 남았다는 것을 의미해요. 따라서 아내의 발화는 오늘은 외식을 하지 말고 집에서 남은 밥을 먹자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어요.

맥락 중에는 상황 맥락말고도 특정 사회나 문화에서 오랜 시간 동안 만들어진 사회·문화적 맥락이 있어요. 아무리 상황 맥락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면 담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돼요.

사회·문화적 맥락

특정한 공동체에서 사회적, 문화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진 맥락

세대에 따른 사회·문화적 맥락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은 세대나 성별, 지역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아요. 담화의 내용은 같지만 세대, 성별,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표현이 사용되기도 해요. 또 담화가 이렇게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은 사회·문화적 맥락 때문이라고 볼 수 있어요. 최근 점점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정착해서 살고 있어요. 하지만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담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맥락

맥락이란 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지만 ‘상황‘, '관계’ 같은 말과 함께 생각해보면 이해하기가 쉽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귀한 선물을 할 때도 ‘별 거 아닙니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해요. 하지만 선물을 받는 사람은 그 말을 듣고도 선물을 준 데 대한 감사의 표시를 합니다. 이러한 담화가 생기는 까닭은 우리나라에서는 자신이나 자신과 관련된 것을 낮춰 표현하여 겸손함을 드러내는 사회·문화적 맥락이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의사소통을 하기가 어려워요. 이런 경우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겠지요.

[ 지식백과] 맥락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국어 문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언어적 맥락이란 말은 없습니다.

담화는 발화의 연속체라고 정의하는데 담화의 구성요소는 화자,청자,내용,맥락으로 구성됩니다.

맥락은 다시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황 맥락은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그 상황을 포함하는 모든 요소를 의미합니다. 가령 '식사는 어떠세요'라는 내용을 상황 맥락에 따라 이해하면, 화자와 청자 관계가 식당 주인과 손님은 '음식은 어땠느냐' 또는 치과 의사와 환자는 '식사에 불편함은 없었느냐' 정도로 해석되는 것입니다.

사회 문화적 맥락은 내용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틀이 사회, 문화적 관습에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담화의 구성요소중 언어적 맥락이 정확

담화의 구성요소중 언어적 맥락이 정확히 뭔가요.. 예시 부탁드립니다! 언어적 맥락이란 말은 없습니다. 담화는 발화의 연속체라고 정의하는데 담화의 구성요소는 화자,청자...

담화의 구성요소 질문이요 (중2 국어)

... 담화의 구성 요소 중 '맥락'은 '상황'이나 '장면'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심리적 거리에 따라 높임 정도가 달라지는 것도 상황 맥락이라 할 수 있다. 3. 담화의 구성 요소 중...

담화 관련 질문

... 일반적으로 구성요소 중 하나라도 빠지면 담화의 완성도가 낮아지지만, 반드시 모든 구성요소가 존재해야만 담화가 성립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맥락이 없으면 담화의...

중2 국어 담화의 구성 요소

이 사진에서 ㄱ,ㄴ,ㄷ가 각각 담화의 구성 요소중에서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ㄱ 시간적 배경 ㄴ 공간적 배경 (보통 ㄱ ㄴ을 합쳐 상황적 맥락이라 합니다) ㄷ 의도ㆍ목적

2 국어 담화

담화의 구성 요건은 화자, 청자, 내용, 맥락이 맞나요? 담화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구성요건이라고 하셨군요. 담화의 구성요건은 통일성과 응집성이 언급됩니다. 담화의...

국어 중2 담화기준 질문

... 담화의 구성요소 화자 청자 내용 맥락은 충족하는데 발화의 연속체가 아닌것... 담화는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언어적 상황입니다. 따라서, A가 B에게...

담화 발화 구분

안녕하세요 발화는 문장단위이고 담화는 화자,청자,맥락,담화가 모여 이루어지는 걸... 그럼 담화구성요소 4가지 하나라도 없으면 담화가 될 수 없는 건가요? 질문2)...

중2 국어 담화

... 정확하게 정해지지않는다고 배운거같아서요 왜 2번이 맞은건지 설명해주세요..ㅠ '담화'의 구성 4가지 요소에서... 맞는 선지입니다. 나머지는 '발화, 맥락'이 포함됩니다.